시계&자동차
9,412
EREV: 과대광고인가, 값비싼 우회로인가? 새로운 분석, '진정한 돌파구 아냐'
조회 5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7-16 16:45
EREV: 과대광고인가, 값비싼 우회로인가? 새로운 분석, '진정한 돌파구 아냐'

유럽 환경 NGO T&E가 항속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에 대해 혁신적인 기술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엔진은 발전기 역할만 하고 전기모터로 구동해 배터리 전기차 충전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에게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중국시장에서 성장세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추격하고 있다. T&E의 주장을 정리해 본다.(편집자 주)
유럽 전기차 시장이 올해 새로운 성장 국면에 접어들면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EU의 새로운 자동차 CO₂ 목표에 힘입어 1분기에만 전기차 판매를 45% 늘렸다. 2만 5,000천 유로 미만의 수십 대의 저가 전기차가 시장에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항속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라는 오래된 하이브리드 기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EREV는 판도를 바꿀 것으로 예고되었지만, 이는 진정한 돌파구일까, 아니면 이전 수소차처럼 과장된 다음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기술일까?
.
EREV는 본질적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유사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다. 중소형 배터리와 내연기관을 결합하며, 내연기관은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때 바퀴에 동력을 공급하는 대신 발전기 역할을 한다. 엔진과 전기 모터가 모두 바퀴를 구동할 수 있는 기존 PHEV(병렬 시스템)와 달리 EREV는 전기 모터만이 바퀴를 구동하는 직렬 구성을 사용한다.
이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2010년대 초반의 시도는 배터리 범위 개선과 충전 인프라 확장에 따라 중단된 바 있다. 폭스바겐은 적어도 유럽 시장에서 EREV의 관련성에 대해 여전히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EREV의 새로운 물결이 일고 있다. 2024년 항속거리 연장형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79% 증가한 약 120만 대를 기록하며 큰 성장을 보였다. 신에너지차 분류에 따른 후한 인센티브에 힘입어 EREV는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가 되었지만, 판매량은 여전히 PHEV의 3분의 1, BEV의 5분의 1 수준이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EREV가 여전히 드물다. 현재 사용 가능한 모델은 스텔란티스가 부분적으로 소유한 중국 브랜드의 중형 SUV인 리프모터 C10 REEV와 소형 SUV인 마쓰다 MX-30 R-EV 두 가지다. 이들 차량은 최대 950km의 총 주행거리와 10g/km에 불과한 CO₂ 배출량이라는 눈길을 끄는 수치로 판매된다.
하지만 보닛 아래를 살펴보면 이러한 주장이 오해의 소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전기 주행거리와 연료 기반 주행거리를 결합하며, 인상적인 주행거리의 대부분은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된다. 두 유럽 EREV의 실제 전기 주행거리는 C10의 경우 145km, MX-30 R-EV의 경우 85km에 불과하다.
중국 시장 데이터도 비슷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T&E가 가장 많이 팔린 약 20개의 중국 EREV 모델을 분석한 결과, 평균 전기 주행거리는 185km로, 실제 주행에서는 이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가 고갈되면 종종 부피가 큰 SUV인 이들 차량은 100km당 평균 6.4리터를 소비하며, 이는 기존 가솔린 SUV보다 나을 것이 없다. 하지만 2025년 4월 중국에서 더 높은 주행거리를 가진 몇몇 새로운 EREV(전기 주행거리 284km의 럭시드 R7 EREV와 전기 주행거리 300km의 폭스바겐 ID.Era 콘셉트 SUV)가 출시되었다.
서류상 EREV와 PHEV는 일상적인 이동을 위한 전기 주행 능력과 장거리 이동을 위한 백업 엔진의 확신이라는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후 변화에 대한 이점은 차량이 얼마나 자주 충전되고 전기 모드로 주행하는지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
유럽 PHEV의 실제 배기가스 데이터에 따르면 공식 테스트 결과에서 제시된 것보다 3.6배 더 많은 CO₂를 배출하는데, 이는 주로 많은 운전자가 플러그를 꽂고 충전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동 패턴이 극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EREV는 동일한 실패를 반복할 위험이 있으며 결국 대부분의 주행거리를 화석 연료 엔진으로 달리게 될 것이다.
내연기관 백업의 필요성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전기차 주행거리가 증가하고, 더 저렴한 모델이 시장에 진입하며, 공공 충전 인프라가 확장됨에 따라 연료 기반 안전망에 대한 필요성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값비싸고 부족한 전기 연료 또는 바이오 연료로 소형 휘발유 탱크에 연료를 보급한다는 아이디어는 시대에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터무니없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전기는 더 저렴하게 유지되고, 충전기는 더 널리 보급되며, 틈새 충전소를 찾는 것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EREV는 PHEV와 마찬가지로 2035년까지 시간 제한 하이브리드 기술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제대로 설계되고 사용되며 배터리 전기차가 아닌 가솔린 자동차를 대체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소비자가 완전한 전기차를 구매하지 못하게 되면, EREV는 기후에 대한 골칫거리이자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
유럽은 석유 의존과 내연기관 오염에서 벗어나는 전략적 목표에 계속 집중해야 한다. 앞으로 나아갈 길은 중간 솔루션이나 리브랜딩된 하이브리드가 아니라 탄력적이고 깨끗하며 완전한 전기 모빌리티 시스템이다.
EREV는 혁명이 아니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우회로이며, EV 전환은 더 이상 산만함이나 막다른 길을 감당할 수 없다.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파워링크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중국 선전(Shenzhen)에서 세계 최초로 지하철을 이용한 로봇 물류 배송 시스템이 시험 운행에 성공했다. 로봇이 정해진 구역 내에 | 오토헤럴드 |
![]() | 볼보코리아는 2일 서울 광진구 소재 워커힐 호텔에서 신형 XC90, S90을 선보이고 본격적인 국내 판매에 돌입한다고 밝혔다.이번 모델은 전동화 시대에 맞춰 현 | 오토헤럴드 |
![]() | 푸조의 3세대 3008은 스텔란티스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 적용되면서 디자인과 공간, 파워트레인, 기술 전반에 걸쳐 혁신을 이뤄낸 부분이 | 오토헤럴드 |
![]() | BMW 신형 1시리즈는 완전변경을 거쳐 더욱 세련되고 역동적인 디자인과 함께 강력해진 파워트레인, 최신 디지털 기능, 고도화된 주행 보조 시스템 등 차량 전반에 | 오토헤럴드 |
![]() | KG모빌리티 라인업 두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로 등장한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준수한 외모에 부족함 없는 편의 및 안전 사양 그리고 무엇보다 신 모델 등장과 함께 | 오토헤럴드 |
![]() | XC90은 수입 대형 SUV 중에서 안정적인 판매량과 고객 충성도를 보여주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볼보 플래그십 SUV 부분변경 XC90을 시승했습니다 | 오토헤럴드 |
![]() | 골프 GTI는 '핫해치'라는 장르를 새롭게 개척한 모델로 1976년 첫 생산된 이래 글로벌 230만 대 이상 판매고를 달성하며 콤팩트한 차체에 강력한 주행 성능 | 오토헤럴드 |
![]() |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차그룹이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한 '휠셰어' 서비스를 인천국제공항에 도입했다.현대차그룹은 16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 | 오토헤럴드 |
![]() |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7월 15일, 브랜드 최초의 전기 왜건 모델인 새로운 CLA 슈팅 브레이크를 공개했다. 새로운 보급형 전기차 제품군의 두 번째 EV | 글로벌오토뉴스 |
![]() | 유럽 환경 NGO T&E가 항속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에 대해 혁신적인 기술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엔진은 발전기 역할만 하고 전기모터로 구동 | 글로벌오토뉴스 |
2년 전 뉴스 목록보기
2년 전 글이 궁금하신가요?
다나와 커뮤니티에서는 보다 안정되고 빠른 성능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커뮤니티 글을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작성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글은 해당 버튼을 클릭하신
후 2년 전 글 목록에서 확인 및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제공을 위해 커뮤니티 글을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작성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글은 해당 버튼을 클릭하신
후 2년 전 글 목록에서 확인 및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EREV: 과대광고인가, 값비싼 우회로인가? 새로운 분석, '진정한 돌파구 아냐'
-
현대차·기아, 산업용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 첫 공급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 'GMR-001 하이퍼카' 르망 24시서 실전 경험
-
대륙의 불치병 '짝퉁' 中 둥펑차, 기아 EV3 쏙 빼닮은 나노 06 출시
-
롤스로이스, 제임스 본드 비스포크 '팬텀 골드핑거’ 세계 최초 공개
-
KGM, 전기차 무상 점검… 고전압 배터리부터 여름철 필수 점검까지
-
2025년 6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
전기차는 어쩌고? GM, 6세대 V8 엔진에 사상 최대 1.2조원 투자
-
이베코, 신선물류 특화 ‘데일리’ 냉장ㆍ냉동차 업그레이드 버전 출시
-
포르쉐코리아, ‘고객 경험 중심’ 조직 개편… 전략 체계 재정비
- [유머] 캣맘들을 도망가게 한 안내문
- [유머] 누르면 약 10억을 줌..
- [유머] 브라질 피자 배달부
- [유머] 작으면 좋은 이유
- [유머] 토끼의 점프력
- [유머] 환장의 콤비
- [유머] 친오빠를 거래사이트에 판매한 여동생
- [뉴스] [속보] 경기 오산서 높이 '10m' 옹벽 붕괴 '차량 1대 매몰... 1명 사망 추정'
- [뉴스] 한 장에 '888만원'짜리 음악 페스티벌 티켓... 논란 일자 판매 중단
- [뉴스] 신혼여행 미룬 김준호♥김지민이 결혼식 후 찾은 곳... 의리 지켰다
- [뉴스] '우리 아들은 숙제 안 하니까 주지 마세요'... 교사에 '숙제 거부' 편지 쓴 사유리
- [뉴스] 넷플릭스 애니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한 '스파이시 챌린지'... 불닭소스 존재감 입증
- [뉴스] '현커 아니에요?'... 드라마 세계관 연장시킨 '박보영♥박진영'의 달달한 네컷사진
- [뉴스] '50만 넘으면 공개할 것'... 유튜브서 '♥이병헌' 모자이크 처리한 이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