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16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5-16 14:25
美 환경보호청, 공회전 방지 장치 '불편하다?' 탄소 크레딧 폐지 공식 검토
미국 환경보호청(EPA)가 자동차의 ISG 기능에 부여하는 탄소 크레딧을 폐지를 공식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신호 대기, 정차 중인 자동차의 공회전을 줄여 연료 사용량과 배출 가스 저감 효과 큰 것으로 알려진 '공회전 방지 장치(ISG)'가 도마에 올랐다. 이 논란이 ISG의 연료 및 배출가스 저감 효과를 신뢰하고 탄소 크레딧을 제공해 왔던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EPA는 최근 해당 기능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불확실하고, 운전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ISG 탑재 차량을 탄소 크레딧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공식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ISG는 차량이 정차할 때 엔진을 자동으로 꺼두었다가 출발 시 다시 시동을 거는 시스템이다. 2012년 미국 오바마 행정부 시절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연비 기준 강화와 함께 비순환(off-cycle) CO₂ 저감 기술로 분류돼 규제에 반영됐고 ISG를 탑재한 차량의 연비 인증 시 추가로 탄소 크레딧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2012년 전체 차량 중 단 1%만이 탑재한 ISG는 2021년 45%, 2023년에는 신차의 65%로 급증했다. EPA 추산에 따르면, 해당 기능은 연료 효율을 약 4~5%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운전자의 불만도 급증했다. 신호대기 시마다 엔진이 꺼지고, 가속 타이밍이 지연되거나, 스티어링 감각이 일시적으로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되며 불안감과 운전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불만을 받아 왔다. 특히 엔진 재시동 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는 배터리와 스타터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우려도 제기돼 왔다.
실제로 최근 리 젤딘 EPA 청장은 X(구 트위터)에 “모두가 싫어하는 기능을 EPA가 승인했지만 이제 고치려고 한다'라고 했다. ISG 탑재 차량에 탄소 크레딧을 제공하는 제도를 폐지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발언이다.
EPA의 최근 논평에 따르면, ISG가 연비 개선에는 일부 기여했으나, 배출가스 시험에서 명확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추가 비용을 들여 탑재할 유인이 줄어든다는 의미하다. 만약 탄소 크레딧 대상에서 제외된다면, 향후 신차에서 해당 기능이 점차 축소 또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EPA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초 서명한 규제 개혁 행정명령에 따른 첫 조치 중 하나다. 해당 명령은 신규 규제 1건당 기존 규제 10건을 폐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EPA가 ISG 탄소 크레딧 폐지 결정을 확정할 경우,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를 신차 연비 인증 전략에서 제외해야 하며, 동시에 또 다른 연비 개선 기술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342. 르노그룹, 앙페르와 중국 R&D센터 중심으로 미래 개척한다
[0] 2025-05-22 16:45 -
엘앤에프, 국내 배터리업체와 LFP 공급 협약 체결…중저가 전기차·ESS 시장 본격 진출
[0] 2025-05-22 16:45 -
피아트, 첫 3륜 전기 상용차 ‘트리스’ 공개
[0] 2025-05-22 16:45 -
볼보, 구글과 협력 강화…차량에 '제미나이' AI 도입 예정
[0] 2025-05-22 16:45 -
BMW, i7 테스트 차량에 전고체배터리 탑재…솔리드파워와 공동 개발
[0] 2025-05-22 16:45 -
닛산, 6세대 '마이크라' 전기차로 유럽 출시
[0] 2025-05-22 16:45 -
포드·현대에 이어 토요타도…미국 소형 트럭 시장 진입 예고
[0] 2025-05-22 16:45 -
현대차·기아-인천국제공항공사, 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검증 협력
[0] 2025-05-22 16:45 -
현대차그룹, '월드 하이드로젠 서밋 2025' 참가…글로벌 협력 강조
[0] 2025-05-22 16:45 -
자동차 美 관세 부과 직격탄… 전달 이어 5월 수출도 6.3% 감소 비상
[0] 2025-05-22 16: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기아 타스만 전격 해부 '온 · 오프로드 아우른 특화 기능' 완전 공개
-
'판매 급락한 이유는 오너 리스크' 美 성인 67%
-
현대차그룹, ‘Pleos 25’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 차량앱 생태계 본격 시동
-
이베코코리아, 노후 경유 트럭 조기 폐차 지원… 최대 2400만 원 혜택
-
르노코리아, 스텔란티스 출신 정우곤 신임 영업 및 마케팅 본부장 선임
-
르노그룹, 전기차 사업부 앙페르 새로운 CEO 임명
-
폭스바겐그룹, 발레오 및 모빌아이와 협력해 ADAS 레벨 2+로 업그레이드 협력
-
닛산, 4월부터 신임 CEO 취임과 함께 구조조정 시작한다
-
현대 미국 전기차 공장 생산용량 120만대로 늘린다.
-
중국 BYD, 2025년 550만대 판매목표… 수출은 92% 증가한 80만대 목표
-
테슬라, 중국시장에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이름 중 FSD(Full self Driving) 문구 삭제
-
[인터뷰] 개발진에게 듣다, 타스만이 다른 픽업과 다른 이유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4월 2일 이후가 굉장히 중요한 시기
-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래 모빌리티 선도할 신제품과 신기술 대거 공개
-
혼다코리아 ‘2025 한국산업 브랜드파워’ 모터사이클 부문 23년 연속 1위 달성
-
현대차그룹, AI 엔드 투 엔드 자율주행 기술력 ‘2025 자율주행 챌린지’ 개최
-
기아,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PBV 등 14개 부문 미래 모빌리티 핵심 인재
-
메르세데스-벤츠, 2세대 완전변경 GT 및 최상위 15개 모델 서울모빌리티쇼 공개
-
[영상] KGM의 첫 하이브리드, 토레스 하이브리드 시승기
-
혼다코리아,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모터사이클 부문 23년 연속 1위 달성
- [유머] 불면증 환자들도 꿀잠 자는곳
- [유머] 감동실화)저혈당 쇼크로 쓰러진 아빠를 구한 2살 아기
- [유머] 미슐랭을 안 좋아하는 사람
- [유머] 세금도둑이 하는 일
- [유머] 19) 독일의 성문화
- [유머] 건설현장 화장실 문을 자꾸 뜯는...
- [유머] 제대로 선을 넘어버린 요즘 군대 근황
- [뉴스] 남편 심현섭 위해 신혼집·예물 전부 준비한 ♥정영림... '키는 1.5cm 더 크다'
- [뉴스] god 박준형, 줄리엔강 '만취 속옷 활보' 흑역사 소환... '다시 한번 사과'
- [뉴스] '아이 셋 낳고 77kg돼'... 전직 걸그룹 연습생이었던 여성이 공개한 49kg 리즈 시절 모습
- [뉴스] 박진주·이미주 '놀면 뭐하니' 떠난다... 유재석·하하·주우재·이이경 4人 체제로 전환
- [뉴스] '지금 상상하면 끔찍한 상상'... 8살 조보아가 귀중품 다 훔쳐간 도둑에게 '연민' 느꼈던 이유
- [뉴스] 이준석 '10%대 지지율 나와, 이제 가속화할 것... 단일화는 없다'
- [뉴스] '포르쉐 뚜껑 열고 '신호위반+과속' 질주'... 인천공항 공식 주차대행 업체 직원의 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