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81기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조회 8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4-28 14:25
기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기아 오토랜드 광명 1공장 EV9 생산라인 모습. (기아)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기아가 2025년 1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고수익 체제를 이어갔다. 영업이익률은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평균의 두 배를 웃도는 수익성을 유지했다.
기아는 지난 25일 기업설명회(IR) 컨퍼런스콜을 통해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이 기간 기아는 도매 기준 77만 2648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6% 증가를 기록했다. 이에 따른 매출액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28조 175억 원, 영업이익은 12.2% 감소한 3조 86억 원으로 집계됐다. (IFRS 연결기준)
기아는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선호 확대와 미국 관세 이슈에 따른 선구매 수요, 인도 및 신흥시장의 판매 호조가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고수익 RV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로 수익성 방어
1분기 기아의 글로벌 판매는 국내 13만 4564대(2.4%↓), 해외 63만 8084대(2.5%↑)로 해외 판매 호조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국내는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등의 인기에도 K3, 모하비 단산 여파로 소폭 감소했다.
특히 친환경차 부문이 호조를 보였다. 하이브리드 모델 중심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7만 4000대가 판매되며 전체 판매 비중은 23.1%에 달했다. 유형별로는 하이브리드 10만 4000대(10.6%↑), 전기차 5만 6000대(27.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만 4000대(26.3%↓)가 각각 판매됐다.
국내(42.7%), 서유럽(43.9%), 미국(18.4%) 등 주요 시장 모두 친환경차 비중이 확대되며 전동화 전환의 기반을 다졌다.
매출 성장에도 수익성 일부 둔화… 그러나 '고수익 체제'는 견조
1분기 매출원가율은 인센티브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한 78.3%를 기록했다. 판매관리비율은 11.0%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확대, 원자재 가격 하락, 원화 약세 등 긍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분기의 낮은 인센티브 기저효과, 북미 EV9 판매 믹스 변화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10.7%를 기록하며 글로벌 OEM 평균(약 5%) 대비 두 배를 넘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아는 2022년 4분기부터 10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2조원 이상,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며 안정적 고수익 구조를 지속하고 있다.
타스만과 PBV 투입... 글로벌 시장 대응 전략 강화
기아는 향후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소비심리 위축 등 불확실성 심화에 대응해 수요 기반 유연 생산, 인센티브 최적 운영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EV4에 이어 EV5 출시를 통해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최초 픽업트럭 '타스만'과 PBV 모델 'PV5'를 선보여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미국에서는 EV6, EV9 현지 생산을 통한 전기차 판매 비중 확대와 하이브리드 모델 공급 증가로 수익성 제고를 노린다.
유럽에서는 EV3에 이어 EV4, EV5, PV5까지 전동화 모델을 순차적으로 투입해 전기차 선도 이미지를 강화하고, 인도에서는 '시로스' 성공적 출시와 함께 카렌스 상품성 개선 모델을 선보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확보하는 사업 구조를 지속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테슬라, 모델 3 롱레인지 무보증금 리스 출시
[0] 2025-04-29 17:25 -
지커, 첫 PHEV 플래그십 SUV '9X' 공개…BMW X7·GLS 겨냥
[0] 2025-04-29 15:25 -
현대차, 'ACT 엑스포 2025'서 북미 수소 물류시장 본격 공략
[0] 2025-04-29 15:25 -
중국 세레스, 상하이 모터쇼서 지능형 안전 생태계 공개…미래 자동차 안전 표준 제시
[0] 2025-04-29 15:25 -
비스테온-볼케이노 엔진, AI 기반 스마트 콕핏 솔루션 공개…차량 내 경험 혁신 예고
[0] 2025-04-29 15:25 -
일렉트로비트-메톡,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혁신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0] 2025-04-29 15:25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상하이 모터쇼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대규모 협력 계약
[0] 2025-04-29 15:25 -
스트라드비젼-악세라, 자율주행 혁신 가속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0] 2025-04-29 15:25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의 품격, 가장 안락한 퍼스트클래스급 승차감을 제공한다
[0] 2025-04-29 15:25 -
BYD, 1분기 순이익 두 배 증가…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0] 2025-04-29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테슬라, 모델 3 롱레인지 무보증금 리스 출시
-
지커, 첫 PHEV 플래그십 SUV '9X' 공개…BMW X7·GLS 겨냥
-
현대차, 'ACT 엑스포 2025'서 북미 수소 물류시장 본격 공략
-
중국 세레스, 상하이 모터쇼서 지능형 안전 생태계 공개…미래 자동차 안전 표준 제시
-
비스테온-볼케이노 엔진, AI 기반 스마트 콕핏 솔루션 공개…차량 내 경험 혁신 예고
-
일렉트로비트-메톡,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혁신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상하이 모터쇼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대규모 협력 계약
-
스트라드비젼-악세라, 자율주행 혁신 가속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의 품격, 가장 안락한 퍼스트클래스급 승차감을 제공한다
-
BYD, 1분기 순이익 두 배 증가…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
두 비즈니스맨의 관계에 균열이 시작되었다 – 트럼프와 머스크
-
[르포] 보이지 않는 곳에서 2억 불 수주를 향해 땀 흘리고 있는 현대모비스
-
화물 운송 마을택시 ㆍ수용응답형 전세버스... 운송 서비스 규제 확 풀린다
-
한국토요타, 모터스포츠 짜릿함 체험 '2025 보령·AMC 페스티벌’ 참가
-
마세라티, 순수 전기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국내 출시…풀 라인업 완성
-
사막을 달려야 트럭! 타타대우모빌리티 막시무스와 더쎈, 중동 시장 론칭
-
르노, 전동화 호조 1분기 판매량 6.5%↑... 한국, 그랑 콜레오스 효과로 선전
-
[김흥식 칼럼] 상하이오토쇼, BMW의 메인은 왜 자동차가 아니었을까?
-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 이사회 독립성·투명성 강화
-
하만, 느끼고 생각하는 자동차...미래 커넥티드카 생태계 주도 Ready!
- [포토] 아름다운 여인
- [포토] 섹시 뒤태
- [포토] 연에인 닮은 얼짱여
- [포토] 섹시 속옷
- [포토] 섹시미녀 뒷태
- [포토] 섹시미녀 노출팬티
- [포토] 얼짱몸짱
- [유머] 토스트 창업 이름 레전드
- [유머] 바닥도 개판이네
- [유머] 일본에서 실제로 판매 중인 인도인 완전 무시 카레
- [유머] 자기 컴퓨터 선 정리 한 거 자랑하는 레딧 유저
- [유머] 계곡 바베큐 대참사
- [유머] 유치원 졸업 현수막
- [유머] 사모아인 중학생들의 맞짱
- [뉴스] 김종민, 결혼 전 녹화에서 축의금 농담했는데... '주 PD가 1000만원 정도 내줬다'
- [뉴스] '추성훈♥' 야노시호, '엄태웅♥' 윤혜진과 10년 찐친이었다
- [뉴스] 홍진희, 촬영 중 '무릎 통증' 호소하더니 병원에 '긴급 이송'
- [뉴스] '워킹맘' 이정현, 두 아이 위해 출근 전 '뚝딱' 만든 반찬 공개
- [뉴스] 헤어지자는 16살 연하 여친 의식 잃을 때까지 짓밟은 30대 남성... 포항 모텔에 감금까지
- [뉴스] '日 배우 겸 가수' 호시노 겐, 9월 13일 '첫 내한' 확정
- [뉴스] 엔믹스, K팝 걸그룹 '최초'로 타이베이 돔 시구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