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40[시승기] 새로운 디자인·세단 같은 승차감 앞세운 ‘BMW 뉴 X3’
조회 1,19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11-29 11:00
[시승기] 새로운 디자인·세단 같은 승차감 앞세운 ‘BMW 뉴 X3’

글로벌 350만 대 이상 판매된 X3…4세대로 거듭나
4세대 모델로 새로 거듭난 BMW 뉴 X3의 외관에는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됐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키드니 그릴 내부를 수직과 대각선으로 조합, 새로운 구조로 꾸렸으며, 그릴 윤곽 조명인 BMW 아이코닉 글로우를 모든 트림에 적용했다. 헤드라이트의 경우, 기존 트윈 헤드라이트를 L자 형태로 재해석해 키드니 그릴 양 옆에 적용했다.


옆 모습을 살펴보면, 후면부로 갈수록 내리뻗은 스포티한 실루엣의 루프라인이 도드라진다. 뉴 X3의 전장(자동차 길이)은 4755㎜, 전폭(자동차 폭)은 1920㎜, 전고(자동차 높이)는 1660㎜, 축거(자동차 앞바퀴 중심에서 뒷바퀴 중심까지 거리)는 2865㎜다. 이전 세대보다 전고는 15㎜ 낮추고, 전폭과 축거는 각각 30㎜, 65㎜ 확대했다.



후면부에는 BMW 특유의 T자형 그래픽을 새롭게 해석한 LED 테일라이트와 긴 루프 스포일러, 에어 디플렉터를 배치했다. 트렁크 적재공간은 이전 세대 대비 20리터 늘어나 기본 570리터, 뒷좌석 등받이를 접으면, 최대 1700리터까지 확대된다.


실내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4.9인치 컨트롤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합친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배치했다. 컨트롤 디스플레이 하단과 앞좌석 도어 핸들, 센터패시아 하단 수납공간을 감싸는 형태의 조명 디자인으로 앞좌석의 3차원적인 특성을 강조했다. 운전석에는 트림에 따라 육각 형태의 2-스포크 스티어링 휠 또는 D-컷 디자인의 3-스포크 스티어링 휠이 장착된다.

모든 트림에는 기본으로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를 장착, 실내에 탁 트인 개방감을 제공한다. 비건 소재인 베간자(Veganza)를 적용한 스포츠 시트도 뉴 X3 M50 xDrive를 제외한 모든 모델에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며, M 스포츠 프로 트림과 뉴 X3 M50 xDrive 모델에는 재활용 소재로 만든 럭셔리 대시보드를 추가했다.

2열 공간감은 다소 아쉬웠다.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는 커졌지만, 성인 남성이 앉아 장시간 탑승할 정도의 공간은 아니었다.
세단처럼 안정적인 승차감 돋보여
BMW 영종 드라이빙센터에서 인천 국제공항고속도로와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를 거쳐 김포를 왕복하는 약 90km 거리를 코스로 시승에 나섰다. 시승 차량은 가솔린 모델인 뉴 X3 20 xDrive로, 연료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주행가능 거리는 약 745km였다.

TMAP 기반의 한국형 BMW 내비게이션이 증강 현실 뷰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를 시작했다. 신호 대기 시에는 전방 도로 상황을 확인하도록 영상을 제시했다. 한국형 BMW 내비게이션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와도 연동돼 다양한 주행 정보를 제공했다.

본격적인 주행을 시작하자, 뉴 X3의 우수한 승차감이 돋보였다. 중형 SUV 차량이지만, 마치 세단을 타는 것과 같은 안정감이 느껴졌다. 비결은 차량에 적용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 덕분이다.
메신 카타리나 BMW 코리아 상품기획팀 매니저는 “뉴 X3에는 최초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적용됐다. 해당 기능은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저주파수의 소음을 제거, 운전에 온전히 집중하도록 돕는다”며 “이전 세대보다 낮아진 뉴 X3의 전고와 확대된 윤거, 향상된 서스펜션도 세단과 같은 주행감을 발휘하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가속 구간에서도 거칠기보다는 부드럽게 차체에 속도가 붙었다. 시승차량인 뉴 X3 20 xDrive에는 최고출력 190마력, 최대토크 31.6kg·m를 발휘하는 BMW 트윈파워 터보 4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됐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53g/km로 이전 세대보다 11.6% 줄었다.

여기에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이 맞물려 작동한다. 일반 모델에 탑재되는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11마력을 발휘하는 스타터-제네레이터를 활용, 엔진을 보조해 주행 성능과 연료 효율 개선한다. 덕분에 공인 복합연비는 이전보다 리터당 1.1km 늘어 리터당 10.9km 주행이 가능하다.

86km 거리를 주행한 후 살펴본 연료 효율은 리터당 13km로 공인 복합연비를 상회했다. 주행하는 동안 스톱&고 기능을 포함한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차선 변경 보조, 정면 충돌 및 전방 차량·보행자·자전거 접근 경고, 차선 유지 보조, 후방 충돌 경고 기능 등이 포함된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이 주행 피로를 덜어줬다. 주차 시에는 주차 보조 기능과 서라운드 뷰, 후진 보조 기능 등이 포함된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가 안전한 주차를 도왔다. 앞좌석 통풍 시트와 열선 스티어링 휠 및 열선 시트, 뒷자석 선블라인드 등의 편의 사양도 전 모델에 기본 적용돼 운전자와 탑승자의 편안한 여정을 돕는다.
시승 차량 외에도 디젤 모델인 뉴 X3 20d xDrive에는 최고출력 197마력, 최대토크 40.8kg·m을 발휘하는 BMW 트윈파워 터보 4기통 디젤 엔진이 탑재됐다. 여기에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이 맞물려 공인 복합연비는 기존 모델보다 리터당 1.6km가 향상된 리터당 14.0km의 효율을 보인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36g/km로 이전 세대 대비 11.7% 감소했다.
고성능 모델인 뉴 X3 M50 xDrive에는 성능을 한층 강화한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 18마력의 최대출력과 20.4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하는 전기모터가 8단 자동변속기에 통합된다. 해당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M 트윈파워 터보 3리터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과 결합해 뉴 X3 M50 xDrive가 최고출력 398마력, 최대토크 59.1kg·m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돕는다.
덕분에 뉴 X3 M50 xDrive는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4.6초 만에 가속할 수 있다. 해당 차량에는 가변형 스포츠 스티어링을 포함한 어댑티브 M 서스펜션과 M 스포츠 브레이크, 후륜 차축에 통합된 M 스포츠 디퍼렌셜 등이 기본 탑재된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 적용으로 공인 복합 연비는 기존모델 대비 리터당 1.4km 늘어난 리터당 10.6km,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59g/km으로 14.6% 개선됐다.
뉴 X3 모든 트림에는 8단 스텝트로닉 자동변속기와 BMW xDrive 지능형 사륜구동 시스템이 조합된다.
뉴 X3의 가격은 트림에 따라 뉴 X3 20 xDrive가 6890만 원에서 7990만 원, 뉴 X3 20d xDrive가 7270만 원에서 7890만 원 사이며, 단일 트림으로 출시한 뉴 X3 M50 xDrive는 9990만 원이다(부가세 포함).
IT동아 김동진 기자 ([email protected])
]]>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한 때 최고급 사양으로 불렸던 'CD 플레이어'... 아직 4대가 남았다
[0] 2025-02-24 17:25 -
테슬라, 모델 3 · 모델 Y 파워 스티어링 리콜 'OTA 업데이트로 끝?'
[0] 2025-02-24 17:25 -
실구매 3000만 원대… 국내 첫 전기 픽업 '무쏘 EV' 사전 계약 돌입
[0] 2025-02-24 14:25 -
매우 긍정적...아이오닉 5 신규 구매자 74%, 타브랜드에서 갈아탄 소비자
[0] 2025-02-24 14:25 -
도요타 드림카 콘테스트, 아프면 바로 달려가는 'X-레이 자동차' 대상 수상
[0] 2025-02-24 14:25 -
현대차그룹 ‘Pleos 25’ 참가자 모집... 28일 개막, 새로운 오픈 플랫폼 공개
[0] 2025-02-24 14:25 -
현대모비스, 협력사와 수평적 소통 강화 ‘2025 파트너스 데이’ 개최
[0] 2025-02-24 14:25 -
BMW, 최소 600km 더 멀리 가고 빠르게 충전...Gen6 기술 사양 공개
[0] 2025-02-24 14:25 -
'더 고급스럽고 스포티하게' 아우디 부분변경 RS Q8 퍼포먼스 출시
[0] 2025-02-24 14:25 -
'전기버스 수준으로 완화' 국토부 수소버스 연료보조금 상향 조정
[0] 2025-02-24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포스코인터, 현대차ㆍ기아 유럽 현지산 전기차 '구동모터코아' 공급
-
폭스바겐 티구안 올스페이스, 내년부터 타이론...포르쉐 느낌 디자인 노출
-
어! 하이브리드 하면 도요타 아니었어...혼다 美 시장서 의외의 반전
-
[EV 트렌드] 中 BYD, 파우치형 배터리 생산 중단 '전해액 누출 가능성 커져'
-
대동모빌리티, 배터리 교환형 전기 스쿠터 GS100 B2C 판매 사전 예약
-
도요타 올해 글로벌 생산량 1030만 대 목표 '2년 연속 사상 최대치'
-
타이어는 국산, 수입차 포함 교체할 때 5명 중 3명 선택...한국타이어 1위
-
[컨슈머인사이트] 타이어 바꿀 때…국산차 87%, 수입차 61% ‘국산’으로
-
테슬라, 유럽시장에서도 가격 인하 단행
-
중국 상하이자동차, 2025년 해외 판매 150만대 목표
-
SK온, 미국 솔리드파워와 협력 강화… 전고체 배터리 개발 가속
-
이스라엘 스토어닷, 셀 투 팩 설계 I-BEAM XFC 컨셉을 공개
-
중국 BYD, 새로운 스마트카 시스템 슈안지 출시
-
볼보, “올 해 전기차 판매 큰 폭 증가 예상”
-
새로운 운전자 경험의 세계를 열다, CES 2024 하만 익스폴로어
-
쉐보레 孝車 '트레일블레이저' 지난해 국산차 수출 1위...트랙스 크로스오버 4위
-
화재 가능성 르노 SM3 · 주행 중 멈춤 기아 카렌스 등 10만여대 리콜
-
람보르기니 '우루스 효과' 지난해 사상 첫 1만대 기록...한국 7위 시장
-
'배터리 사업 무한 확장하나?' 中 BYD, 브라질 리튬 생산업체 인수 타진
-
'내년 말에는 이렇게 변해요' 아우디 3세대 완전변경 Q7 프로토타입 포착
- [유머] 코하루와 백룸 만화
- [유머] 생활관에서 배달음식 시켜 먹는 국군 장병들
- [유머] 스토리 컷신을 스킵하면 안되는 이유
- [유머] 오니쨩! 그만둬.. 거긴 오줌누는 곳이란 말이야...!
- [유머] 사람을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야생동물
- [유머] 울음소리가 특이한 뇌조
- [유머] 꿀잠자고 물벼락
- [뉴스] '아빠보다 잘 생겨'... 심형탁♥사야 아들 첫 공개에 'BTS 정국 닮아' 감탄
- [뉴스] 싸이, 연세대 찾아가 '학사모' 써... '명예졸업생' 된 사연 봤더니
- [뉴스] 커리X버틀러 크로스!... NBA 골든스테이트, 댈러스 꺾고 3연승
- [뉴스] '조부 친일 논란' 이지아, '아버지와 의절했다' 사과에도 결국
- [뉴스] 지난해 클럽 마약 836명 검거한 경찰...'역대 최대 실적·특진까지'
- [뉴스] 尹 탄핵 앞두고 '8인 체제' 선고 수순 밟는 헌재... 朴 탄핵 때도 '문제 없다' 판단
- [뉴스] 기저귀·분유 '반값'... 서울시, '탄생응원몰' 오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