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14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4-01 11:25
[칼럼] 전기차 충전, 200만대 시대가 와도 지금처럼 할 수 있을까?
국내 전기차 대수는 약 57만 대 남짓이다. 우리나라 총 등록대수(약 2600만 대)에 비교하면 적은 수지만 정황상 기하급수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환경과 에너지 부문에서 반길일인데 걱정스러운 것도 있다. '빠르게 늘어나는 전기차에 맞춰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까?'라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잉여전력이 있어서 심야 완속충전이 가능하다. 완속 충전은 배터리 수명에도 좋고 가장 낮은 비용의 장점도 갖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전기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실제 전기차 등록 대수가 약 200만 대 이상이면 시간대에 따라 공급량에 고민이 발생할 수 있다.
일본 등 다른 선진국은 24시간을 시간대로 나누어 저가와 고가의 비용 차이가 10배 이상이 난다. 수요자 스스로 낮은 비용을 찾아가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이나 중국처럼 시간대별 비용을 부과하지 않고 매우 복잡한 누진세 형태만 고집하고 있어 전기 요금 체계의 전환을 고민해야 한다.
전기 에너지 약 97%를 수력 등 무공해 방식으로 생산하는 노르웨이는 완전한 무공해 국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이를 기반으로 2025년부터 전기차 등 무공해차만 판매할 수 있게 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어렵고 가장 복잡한 과정으로 생산하는 한계가 있다.
완전한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 불가능한 나라다. 현재 전체 전기 에너지의 약 10% 미만을 태양광 등 무공해 발전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이 역시 환경 파괴, 폐기물 등 다양한 부작용만 부각되고 있다. 전기 에너지를 대체하는 것 이상으로 기존 방식에서 효율성을 보완하는 일이 시급한 이유다.
또 원자력 발전, 특히 부각되는 소형 모듈 원전이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친환경 에너지믹스 조건이 핵심이라는 뜻이다. 전기 에너지는 전기차만 쓰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산업과 가정, 공동 시설은 물론이고 인공 지능, 데이터 산업 그리고 도심항공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도 추가적인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에너지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 잉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 부족한 전기 에너지를 원자력 발전으로 보충하는 등 패러다임의 전환도 필요하다.
여기에는 연료전지 발전을 이용한 수전해 방식 그린 수소 에너지도 포함된다. 앞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고 충분이 활용할 만한 전기에너지 생산 구조를 구축하는 일이 당면한 해결과제하고 봤을 때, 정부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때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포드 추격하는 BYD, 순위 급상승... 4월 수입차 판매 전월 대비 14.8% 감소
-
'전기 부품 밀봉 불량' 현대차, 美 팰리세이드 차주에게 야외 주차 권고
-
5월 가정의 달, 패밀리 SUV '팰리세이드ㆍXC90' 중고차 시세 상승 주도
-
쉐보레 콜벳, 2026년형 혁신적 업그레이드... 비대칭 인테리어 최초 적용
-
국내 최대 원메이크 레이스 ‘현대 N 페스티벌’ 개막... TCR과 공동 개최
-
비유럽권 시장 확대 전환점...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중남미 수출 개시
-
'중국판 아이오닉' 북경현대, 700km 달리는 전용 전기차 일렉시오 공개
-
쉐보레 '캡티바' 부활, EV 버전으로 중남미 · 아프리카 등에 출시 계획
-
롯데렌터카, 업계 최초 ‘차방정 플러스 멤버십’ 출시…월 3천 원으로 차량 유지비 절감
-
이비오스, 자외선·HEVL 동시 차단 ‘더마쉴드’ 출시…차량용 윈도우 필름에 헬스케어 접목
-
2028년 친환경 수소열차 본격 상용화… 국토부 실증 사업 착수
-
'예상보다 빠른 출시' 테슬라, 모델 Y 롱레인지 RWD 美 판매 돌입
-
美 NBA 전설 샤킬 오닐, 애지중지 사이버트럭과 결별한 이유? “너무 짧아서”
-
아우디, 말레이시아서 고급 Q7 조립 시작… 동남아 시장 공략 강화
-
현대차, 북미 겨냥 차세대 엑시언트 수소 트럭, 자율주행 기업과 협력
-
BYD, 4월 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38만 대 돌파… 해외 판매도 '고공 행진'
-
유럽서 테슬라 판매 급감 지속… 신형 모델 Y 출시에도 '수요 부진' 심화
-
日보다 높은 자동차 생산 인건비, 韓 우수한 엔지니어링과 자동화로 통제
-
[EV 트렌드] 아우디, 트럼프발 관세 회피 위해 미국산 전기차 생산 가능성
-
테슬라의 강력한 견제에도 BYD 글로벌 판매량 급증... 4월 독일에서도 밀려
- [유머] 이들중에 스파이가 있는것같다.
- [유머] 한국과 완전히 반대라는 헝가리 스킨십 문화
- [유머] 탁구의 위험한 서브기술
- [유머] 우오오오! 임신해라! 임신해라! 임신해라앗!
- [유머] 맘스터치
- [유머] 이사왔는데 옆집 문상태가
- [유머] 31살이라고 전세계에서 생일축하받음
- [뉴스] 보아가 야밤에 공개한 '라부부 구매 인증샷', SNS 발칵 뒤집혔다... 공개 저격까지
- [뉴스] 댄서 리정, '찐친' 노윤서와 집 번호공유하고 커플템까지... '이건 우정 그 이상의 우정'
- [뉴스] '인생 망했다'며 법정서 끌려나간 '투블럭남'... '서부지법 난동범'들의 최후
- [뉴스] 홍준표 '고작 15% 관세 협정 체결하고 선방했다는 정권, 정상적이냐'
- [뉴스] 한동훈 전 대표 '세제개편 주도, 주식 투자 경험 없는 진성준이... 무더위 싹 가시는 무서운 일'
- [뉴스] 택시 뒷바퀴에 발 넣어 '고의사고' 50번 내 합의금 뜯은 20대, 범행 이유 물어보니...
- [뉴스] 부모 때리다가 형한테 맞은 30대 남성, 3명 모두 살해... 구속 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