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342

'태계일주2' 기안84, 덱스X빠니보틀과 이별하고 본격적인 '나홀로 여행' 시작 (+영상)

조회 5,953회   댓글 0건

레벨3 3

머니맨

2023-08-07 02:35

인사이트


[인사이트] 강유정 기자 = '태계일주2' 기안84와 빠니보틀, 덱스, 3인 체제의 여행이 막을 내렸다.


6일 방송된 MBC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2'에서는 '타그랑 라'를 마지막으로 셋의 여행이 마무리되고 기안84의 솔로 여행이 시작됐다.


먼저 기안84, 덱스, 빠니보틀은 해발고도 4,400m에 위치한 푸가 온천에서 캠핑을 즐겼다.



셋은 고산병으로 인해 힘들어하면서도 커피를 마시며 여유를 즐겼다.


인사이트


이후 빠니보틀과 덱스는 한국에서의 일정을 위해 여행을 끝내야 했다.



세 사람은 이별에 앞서 텐트 안에서 추억이 담긴 그림을 그리며 여행을 추억했다.


빠니보틀과 덱스는 앞으로 혼자 여행을 해야 할 기안84에게 술을 선물했다.


또한 빠니보틀은 즉석 사진기를 주며 '만나는 사람들과 추억을 나누면 좋겠다'라는 말로 감동을 전했다.


인사이트


셋은 아쉬운 인사를 나눴고 곧 빠니보틀과 덱스는 차를 타고 떠났다.



덱스는 '이번 인도 여행이 심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힘들었다'라면서 '그런데 기안 형님과 지내다 보니까 너무 좋았다. 너무 의젓하고 괜찮은 형이다'라고 여행 소감을 밝혔다.


빠니보틀 또한 이번 여행이 특별하며 기억에 남았다고 전했다.


이후 혼자가 된 기안84는 '기분이 되게 이상하다'라면서 '원래 뒷자리에 타 있었는데 빈자리가 느껴진다'라면서 동생들을 그리워했다.



인사이트


기안84는 코르족 마을로 향했다. 코르족 마을은 외부인과의 교류가 전혀 없는 곳으로 캠핑했던 지역보다 해발 고도가 더 높은 곳으로 전해져 모두를 놀라게 했다.


과연 코르족 마을에서 기안84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목 작성정보
발사된 지 벌써 일 년…제임스 웹이 관찰한 초기 우주의 모습은

발사된 지 벌써 일 년…제임스 웹이 관찰한 초기 우주의 모습은

미 항공우주국(NASA, 이하 나사)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이하 웹)이 촬영한 성단 NGC 346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초기 우주와 비슷한 별과 행성 형성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천체다.나사는 11일(현지시간) 불과 20광년 떨어진 소마젤란 은하 속 성단 NGC 346을 웹으로 포착한 이미지를 공개했다.소마젤란 은하는 지구 남반구에서도 육안으로 보이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다. 대마젤란 은하에 비해서는 작지만 전체 질량은 태양 질량의 70억 배에 달한다.특히 이 안에서 웹이 촬영한 NGC 346은 가장 가까운 성단 중에서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중원소(금속성)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과학자들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된다.금속성 원소의 비중이 낮다는 것은 빅뱅이 일어나고 불과 20~30억년 지난 초기 우주를 가리키는 ‘우주의 정오’와 비슷한 형태라는 뜻한다. 별들이 가장 활발하게 생성된 시기다.NGC 346 내부에 있는 원시성(protostar)을 관찰하고 우리 은하의 별들과 비교하면 별의 형성과정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관찰했을 때에는 태양의 5~8배 질량을 가진 거대한 원시성들만 관측할 수 있었는데, 웹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는 태양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질량의 원시성들까지 포착해냈다.한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지난 2021년 12월 25일(현지시간) 아리안 5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한 달간 지구와 달 거리의 4배에 이르는 약 150만km를 날아 목표로 했던 라그랑주2(L2, 지구와 태양간 중력이 없어지는 지점) 지점에 무사히 도착했다. 이어 조정을 마치고 2022년 7월 첫 이미지를 공개했다.

조회수: 10,777|댓글: 0

150레벨1 1

머니맨

2023-02-01 12:19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스코틀랜드 고원에서 독특한 '아이스 팬케이크'가 포착돼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아이스 팬케이크는 수면 위에 얼음이 원형으로 얼어있는 현상을 뜻한다. 이 모습이 둥근 팬케이크를 닮아 '아이스 팬케이크'로 불린다.아버지와 함께 먼로(Munro) 강 인근을 등산 중이던 댄 브라운(32)은 거대한 아이스 팬케이크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는 "작은 폭포 아래 완벽히 둥근 얼음이 천천히 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스 팬케이크는 일반적으로 극한의 온도인 북극이나 남극 바다에서 주로 목격되며, 그 외의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까지 보고된 아이스 팬케이크의 지름은 약 20cm에서 200cm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아이스 팬케이크는 남극이나 북극 등 극한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친 바다에서 형성된다. 파도가 얼음조각들을 서로 부딪히게 해 가장자리를 둥글게 만든다. 빠르게 흐르는 바닷물에서 작은 얼음조각들이 표면에 모여 형성되기도 한다.

조회수: 11,907|댓글: 0

149레벨1 1

머니맨

2023-02-01 12:16

머니맨 텔레그램 고객센터: https://t.me/ajslaos79
먹튀검증,토토사이트추천,먹튀사이트차단,스포츠중계,전세계모든경기 중계,업계최초 mlb심판정보제공 대한민국1등 토토커뮤니티 머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