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280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4-07 17:00
[시승기] BMW, 3세대 완전변경 뉴 X1 '확 바뀐 주행 성능에 깜짝'
2009년 1세대 모델을 시작으로 지난해 6월, 3세대 완전변경모델이 글로벌 최초로 공개된 BMW 뉴 X1은 신형 7시리즈에 이어 내연기관 모델과 순수전기차가 동반 출시되며 전동화 전환의 시대 BMW그룹 전략이 엿보이는 모델이다.
새롭게 적용된 FAAR 플랫폼 영향으로 차체는 더욱 커지고 실내 공간 활용성 또한 증대됐다. 무엇보다 독특한 테마로 엮인 주행모드 선택에 따라 극명하게 나뉘는 달리기 성능으로 인해 때로는 편안한 세단과 같은 승차감을 또는 다이내믹한 스포츠카에 준하는 역동성을 동시에 만날 수 있다. 최근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서 지난달 27일, 본격적인 국내 판매에 돌입한 BMW 뉴 X1을 경험해 봤다.
먼저 신형 X1의 차체 크기는 전장, 전폭, 전고가 각각 4500mm, 1835mm, 1640mm에 휠베이스 2690mm로 이전 세대에 비해 전반적으로 덩치를 키운 모습이다. 전장의 경우 55mm, 전폭과 전고의 경우 각각 15mm, 40mm 그리고 휠베이스는 20mm 늘어나 더욱 여유로운 공간 구성을 자랑한다.
외관 디자인은 매끈한 차체 패널과 긴 루프라인을 통해 전반적으로 역동적인 실루엣을 나타낸다. 여기에 전면부는 새롭게 적용된 'ㄱ'자 형태의 LED 주간주행등과 일체형 키드니 그릴을 통해 강렬한 존재감을 과시하고 액티브 에어 플랩 컨트롤과 히든 타입 도어 핸들 등을 통해 공기저항계수 0.26Cd를 달성했다.
후면부는 양끝이 상단을 향해 날카롭게 꺾이는 디자인의 LED 테일램프가 입체적으로 적용되고 하단에 자리한 대형 디퓨저는 한층 더 날렵한 인상을 전달한다. 이는 마치 약 10년 전 출시된 해치백 형태의 순수전기차 i3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다.
이 밖에 신형 X1 실내는 최근 출시되는 BMW 신모델에 공통 적용 중인 10.25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0.7인치 센터 디스플레이 조합의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새롭게 탑재됐다. 또 큼직한 크기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눈에 띄고 무엇보다 신형 7시리즈를 통해 첫선을 보인 BMW의 최신 운영체제 OS 8이 적용되면서 다양한 차량 정보는 보다 손쉽게 파악되고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 센터콘솔 디자인 역시 완전히 바뀐 모습으로 플로팅 타입 암레스트와 함께 기어 셀렉터와 컨트롤 패널이 묶여 깔끔하고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이 밖에 소형 SUV 세그먼트에 속한 해당 모델은 곳곳에 다양한 수납공간이 자리하고 2열의 무릎 및 머리위 공간까지 여유로워 이전 세대의 불편함이 많이 해소된 분위기다.
또 BMW 신형 X1은 앞서 언급했듯 차체가 커지면서 공간 활용성도 증대된 부분이 주요 특징으로 트렁크 적재 용량은 기본 540리터에 2열 폴딩 시 최대 1600리터로 넓어져 다재다능한 활용성을 자랑한다.
신형 X1 파워트레인은 2.0리터 4기통 가솔린과 디젤 등 2가지 사양으로 국내 출시됐다. 이들 중 최근 시승한 가솔린 모델인 sDrive20i의 경우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0.6kg.m을 발휘하고 디젤 모델인 sDrive18d는 최고출력 150마력, 최대토크 36.7kg.m을 나타낸다.
두 모델 모두에는 스텝트로닉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가 맞물려 효율적이면서도 경쾌한 주행질감을 나타내고 참고로 해당 모델의 복합 연비는 가솔린이 11.7km/ℓ, 디젤 모델이 14.6km/ℓ를 보인다.
이 밖에 해당 모델에는 차선 유지 보조 기능, 스탑 앤 고 기능이 포함된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으로 구성된 드라이빙 어시스턴트가 기본 적용되고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도 기본 탑재되며 진입 경로에 따라 후진 조향을 돕는 '후진 보조' 기능 및 서라운드 뷰도 지원하고 있어 사실상 동급 경쟁 모델 중 가장 최신의 시스템을 자랑한다.
실제 주행에서 신형 X1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앞서 신형 7시리즈를 통해 처음 접했던 테마로 엮인 주행모드 변경이다. 각각의 모드에 따라 실내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변경되고 공조 및 조명 등 보다 다채로운 변화가 눈에 띄었다. 여기에 당연히 스티어링 휠 무게감을 비롯해 서스펜션 세팅, 엔진회전 영역 등 주행 관련 사양 변화가 극명하게 바뀌는 부분이 인상적이다.
가장 큰 차이는 스포츠와 릴렉스 모드로 각각의 모드에 따라 완전히 다른 콘셉트 차량을 운전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큰 변화를 보인다. 스포츠 모드는 이전에 비해 더욱 역동적인 세팅으로 가속과 감속 페달에 대한 반응이 즉각적으로 진행되고 무엇보다 중고속 영역에서도 민첩함을 보이는 변속 세팅은 경쟁 모델 중 가장 스포티한 성능을 전달했다.
또 릴렉스 모드에선 스티어링 휠의 무게감이 극단적으로 가벼워지며 마사지 기능이 작동되고 서스펜션 세팅 역시 불규칙한 노면에서도 부담스럽지 않을 정도의 안락함을 나타낸다.
한편 BMW 신형 X1의 국내 판매 가격은 sDrive20i xLine 5870만 원, sDrive20i M 스포츠 6340만 원으로 책정되고 sDrive18d xLine과 M 스포츠는 각각 5770만 원, 6240만 원이다.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ㆍ기아, 美 전기차 차별 무색...상반기 16% 증가한 78만 8946대
-
[EV 트렌드] 美, 테슬라 슈퍼차저로 가는 이유 있었네...현대차도 따를 듯
-
테슬라, 스토어닷 XFC 배터리 시스템에 주목 '5분 충전으로 160km 달려'
-
현대자동차, 안산시 대부도서 '이동케어 똑버스' 운행
-
[Q&A]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개발 엔지니어 인터뷰
-
만트럭버스코리아, 강원지역 서비스 강화 ‘만트럭버스센터 동해’ 확장 이전
-
미국 AAI, 새로운 배기 가스 규제안 완화 요망
-
페라리, SF90 스트라달레 기반 SF90 XX 스트라달레 · SF90 XX 스파이더 공개
-
중국, 신에너지차 구매세 면제 2027년까지 연장
-
아우디, 마르쿠스 뒤스만 해임 게르노트 될너 9월 1일부로 CEO에 임명
-
GM, 쉐보레 블레이저EV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 개시
-
토요타다운 세계화. 토요타 크라운 크로스오버 2.5 하이브리드 시승기
-
2023 국제그린카전시회 개막
-
벤틀리, 특별한 컨티넨탈 GT '코리안 리미티드 에디션’ 티저 렌더링 이미지 공개
-
'과장 광고 말라' 영국서 현대차 아이오닉 5 초급속 충전 속도 때문에 제재
-
한국토요타, 세종문화회관과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
[EV 트렌드] '美 전기차 충전 대세는 NACS' 볼보ㆍ폴스타, 테슬라 충전 규격 채택
-
아우디, BMW 등 프리미엄 경쟁에서 밀린 마커스 듀스만 사장 해임
-
[공수전환] '11세대 E-클래스 Vs 8세대 5시리즈' 수입 베스트셀링 영원한 맞수
-
불면증 유발하는 이륜차 소음 기준 강화...인증치 5dB 초과시 과태료 200만원
- [유머] 스포 떡상한 샹크스스포
- [유머] 신뢰안가게 생긴 과학자 관상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유머] 딸 선호율 세계 1위 국가
- [뉴스] '쏘니라고 부르는 것 불쾌해'... 미국 '프로불편러'의 황당 주장, 손흥민이 직접 종결시켰다
- [뉴스] 허안나, 코 성형 부작용에 결국 재수술... '구축 와서 콧구멍 비뚤어져'
- [뉴스] 李대통령, 새로운 '여가부 장관' 픽... 국힘 의원이 이례적으로 환영한 이유
- [뉴스] 검찰, '제작사 고가 인수' 혐의 김성수 카카오엔터 전 대표에 징역 10년 구형
- [뉴스] '남편 상간녀만 무려 3명... 시댁은 상간녀랑 여행까지 다니더라' (영상)
- [뉴스] '감히 내 아내한테 욕을 해?'... 10대 알바생 야구방망이로 '폭행'한 고깃집 사장
- [뉴스] '조국 딸 조민 못 지켜 미안' 슬퍼했던 이 사람, 국가교육위원장에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