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2,75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6-02 14:25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자동차 실내재로 주로 사용되면서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에도 치명적인 플라스틱( PVC) 소재를 친환경 소재인 TPE로 대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쳇 GPT)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화합물에 대한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특히 일상 곳곳에서 쓰이고 있는 플라스틱은 생산 단계부터 폐기 이후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을 오염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미세플라스틱으로 전환돼 인체에 축적되는 유해물질로 작용한다. 결국 플라스틱은 안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고, 그만큼 규제 역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 가운데 PVC, 즉 폴리염화비닐은 환경 유해성의 상징으로,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감하는 추세다. 염소계 화합물인 PVC는 연소 시 치사량에 가까운 염산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공인기관 시험 결과 확인된 바 있다. 더 큰 문제는 본래 딱딱한 성질을 지녀, 유연성을 위해 프탈레이트 계열 가소제를 첨가한다는 점이다.
이 화학물질은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장기간 공기 중에 퍼지면서 실내 공기 질을 오염시키고, 인체 접촉을 통해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유발 등 복합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아동용 장난감, 의료용 튜브, 식품 포장재 등 인체 접촉이 직접적인 제품에까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은 더욱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국은 PVC 사용 제한을 법제화하거나, 최소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흐름으로 가고 있다.
PVC 사용 문제는 자동차 분야에서 더욱 심각하게 다뤄져야 한다. 자동차는 사람의 이동 공간이자,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장시간 머무는 환경적 특성상 실내 공기 질, 유해물질 방출에 대한 영향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내 마감재나 부품에 PVC가 사용될 경우, 특히 여름철 고온에 노출된 차량 내에서는 유해가스가 다량 방출될 수 있다.
그 가운데 프탈레이트 성분은 온도 변화나 습도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해 점차적으로 휘발되며 사람의 호흡기 및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된다. 심지어 ‘신차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각종 접착제, 가공물질에서 발생하는 냄새로 인해 수개월, 길게는 수년간 운전자와 동승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제작사들 역시 이에 대응해 친환경 접착제 및 재료 사용을 확대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업계 전체의 기준이 체계적으로 마련됐다고 보기 어렵다. 애프터마켓용 차량 액세서리에서도 문제는 심각하다. 대표적으로 바닥매트를 예로 들 수 있다. PVC 재질로 제작된 매트는 겨울철에는 딱딱하게 굳고, 여름철에는 유해가스를 내뿜으며, 중량도 무거워 차량 연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매립형 구조로 된 일부 PVC 매트는 표면이 깔끔해 보이지만, 오히려 내부로 이물질과 수분이 스며들어 곰팡이나 악취,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유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소재가 바로 TPE, 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다. TPE는 고무의 탄성과 플라스틱의 가공성을 동시에 갖춘 친환경 신소재로, 내한성, 내마모성, 충격 흡수 능력이 뛰어나며 환경호르몬 걱정도 없다. 특히 자동차처럼 온도차가 크고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TPE 재질로 제작된 바닥매트는 쉽게 세척이 가능하고, 빠른 건조는 물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내구성 역시 PVC 대비 우수해 소비자의 만족도도 높다. 이런 점에서 소비자는 제품 구매 시 단순한 외관이나 가격만이 아니라, 사용된 소재가 인체에 얼마나 무해한지, 환경에 얼마나 안전한지를 꼼꼼히 따지는 '슬기로운 소비자'가 되어야 한다.
지금은 단순한 편의성보다 친환경성과 건강, 그리고 장기적인 경제성을 고려할 때다. 자동차라는 공간이 더 이상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생활 공간’이 되고 있는 지금, 바닥매트 하나도 환경과 건강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 'GMR-001 하이퍼카' 르망 24시서 실전 경험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CES 2024] 현대모비스 '사방팔방' 조향의 한계를 벗어난 '모비온' 첫 공개
-
'차를 거의 찍어내는 수준' 지난달 테슬라 中공장 생산량 전년비 69% 증가
-
[CES 2024] '자동차로 들어온 AI' 폭스바겐, 인포테인먼트에 ChatGPT 도입
-
[기자 수첩] 수소의 재 발견, 개똥도 쓸모가 있네
-
[CES 2024] '이것은 자동차인가 게임기인가' 소니혼다, 양산형 아필라 공개
-
CES 2024 5신 - 현대차, 수소는 공정하고, 평등하다.
-
CES 2024 4신 - 기아, PBV 시장을 리드하는 전략과 결과물
-
CES 2024 3신 - 폭스바겐, 내 차로 들어 온 챗GPT
-
CES 2024 - 소니혼다모빌리티, 업그레이드된 아필라 프로토타입 최초 공개
-
CES 2024 - 콘티넨탈, 레벨 4 자율주행 트럭 2027년 상용화
-
CES 2024- 발레오, BMW iX로 드라이브 포유 리모트 시연
-
CES 2024 - HD현대, 무인 자율화 기술을 활용한 미래 건설현장 구현
-
CES 2024 - 엔비디아 옴니버스, 글로벌 자동차 컨피규레이터에 채택
-
[CES 2024] 보쉬 '에너지 지속과 효율에 집중' 수소를 직접 연료로 쓰는 엔진 소개
-
[수입차] 롤스로이스 '컬리넌 효과' 119년 역사상 최고의 글로벌 판매 달성
-
[CES 2024] BMW, 자동차가 아닌 자동차로 차세대 혁신 프로젝트 선보여
-
[CES 2024] 현대차, 수소와 소프트웨어 대전환...과학과 휴머니티, 동전의 양면
-
JLR 코리아, 국내 첫 레인지로버 하우스에서 '올 뉴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공개
-
[CES 2024] 콘티넨탈, 세계 최초 '파셋 컷' 투명 크리스탈 센터 디스플레이 공개
-
[국산차] 르노코리아 'XM3 E-TECH for all' 가격 확 내리니 계약 900% 급증
- [유머] 용돈 2600만 원 받게 된 일본 초1
- [유머] 검소한 남편
- [유머] 24살 이소룡의 운동루틴
- [유머] 물수제비를 위해 태어난 돌
- [유머] 쥐며느리
- [유머] 민주주의가 목숨보다 소중하냐는 일본인
- [유머] 바나나킥 대참사
- [뉴스] '한강 라면 먹으려고 줄 섰어요'... 일본 도쿄 하라주쿠 핫플 된 '농심 신라면 분식집'
- [뉴스] 전생체험 떠난 정동원... '가장 사랑한 사람, 현생 OOO와 닮았다'
- [뉴스] '여기 지상파인데'... 본의 아니게 한 침대서 파격적인 장면 연출한 탁재훈과 추성훈
- [뉴스] '교육비 월 300만원' 고백했던 김성은... '성적 높아 예고 입학했다'
- [뉴스] 송영규, '만취운전' 혐의로 송치... '트라이'·'아이쇼핑' 등 출연작 줄줄이 비상
- [뉴스] '더 글로리' 동은이와 연진이, 절친됐다... 송혜교에게 커피차 선물한 임지연
- [뉴스] '폭싹 속았수다' 제니엄마 김금순 '난 생계형 배우... '애들 반찬값 벌 수 있구나' 생각으로 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