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284680 원통형 전지, 누가 강자가 될 것인가?
조회 3,98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3-14 17:00
4680 원통형 전지, 누가 강자가 될 것인가?

테슬라가 2020년 9월 22일 배터리데이 행사에서 4680 사이즈의 중대형 원통형 전지를 새로운 목표로 제시하면서 업계 최초로 중대형 원통형 전지를 도입하는 회사가 되었다. 지름 46mm의 4680 사이즈의 중대형 전지는 시작에 불과하고, 이것보다 지름과 높이가 더 큰 진정한 의미의 중대형 원통형 전지가 개발된다면 목표 가격인 $100/kWh의 벽을 넘으면서 BEV가 생존 가능할 것이다.
테슬라는 파나소닉의 18650 원통형 전지만 사용하다가 물량이 부족해지자 21700 원통형 전지로 전지 크기를 키우면서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과 중국의 CATL에게도 공급 기회를 제공했다. 테슬라는 2020년대에 4680(지름 46mm, 높이 80mm) 원통형 전지 개발을 추진하면서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의 양산 단계에 돌입했다. 4680 원통형 전지 개발에는 테슬라, 파나소닉,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CATL 등의 주요 전지 업체들이 달려들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4680 배터리 양산 투자 돌입
LG가 4680 배터리셀의 양산을 위한 마지막 단계의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향후 양산 라인을 통해 Tesla와 같은 고성능 배터리를 요구하는 고객사들을 위한 제품 공급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LG가 생산한 4680 배터리가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나 세미트럭에 장착되어 고객에게 인도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테슬라가 4680 배터리를 장착하여 양산할 차량 모델들은 미국에서 생산되어 북미 시장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결국 4680 배터리가 한국에서 생산되어 테슬라의 미국 공장에 납품될 경우에는 물류 비용을 비롯한 추가적인 비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고 또한 현재 보여지고 있는 미국 정부의 행태나 Tesla의 장기적인 배터리 내재화 계획 등을 고려하면 LG 오창 에너지플랜트가 테슬라 EV용 배터리 공급 기지 역할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GM, 파우치형 배터리에서 원통형 배터리로?
GM은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력을 본격화하면서 파우치형 배터리를 기준으로 전기차를 설계, 생산해왔지만 원통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만일 원통형을 채택하게 된다면 파우치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Ultium Cells 1-3공장과는 다른 장비와 소재, 제조 공정을 처음부터 익혀야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통형 배터리 도입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면 – 합리적인 판단에서 도출된 결과라면 – 원통형 배터리의 생산성에 매력을 느꼈을 것이다.
재료비 비중이 높은 조립 산업인 배터리 제조에서 원가를 줄이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생산성을 높여 대당 고정비를 낮추면서 생산량을 늘리고 여기에 재료비 절감을 조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삼성SDI도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로 주목받는 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양산 준비에 착수했다. 이달부터 천안에 46파이 배터리 생산 설비를 갖춘다.포스코는 4680급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케이스 소재를 개발할 계획이다.
테슬라는 4680 배터리 셀 생산량이 주당 1,000대 이상 자동차 생산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음을 확인했다.
테슬라는 왜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를 원하는가?
Tesla는 18650 원통형 전지를 전기차에 적용한 최초의 자동차 회사이다. 7,000개 이상의 전지 셀을 연결하여 전기차가 요구하는 전압과 용량에 대응하는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원통형 전지를 고수했다. Tesla는 2020년 9월 22일 배터리데이 행사에서 4680 사이즈의 중대형 원통형 전지를 새로운 목표로 제시하면서 업계 최초로 중대형 원통형 전지를 도입하는 회사가 되었다.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최초로 추진한 업체도 Tesla이다. Tesla의 이런 전략은 전기차용 전지는 공장 자동화를 통한 무인공장이 되지 않으면 승산이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인지 모른다.
지름 46mm의 4680 사이즈의 중대형 전지는 시작에 불과하고, 이것보다 지름과 높이가 더 큰 진정한 의미의 중대형 원통형 전지가 개발된다면 목표 가격인 $100/kWh의 벽을 넘으면서 BEV가 생존 가능할 것이다. 중국은 2020년에 $100/kWh의 목표 가격을 달성하지 못하자 2020년 12월까지 주기로 한 정부 보조금 제도를 2년 더 연장하여 2022년 12월까지 주었다. 2022년 12월이 되었으나 전지는 또 한 번 목표 가격 달성에 실패했다. 중국 정부는 2023년 1월 1일부터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면서 더 이상의 지원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BEV는 이제 시장 논리에 의하여 생존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중대형 원통형 전지가 주력 전지가 되지 못한다면 BEV는 대륙 횡단용 차량에서 시내 주행용으로 위상이 격하되면서 시장이 급격히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원통형 전지는 중대형 전지로 가는 길을 찾고 있는 중이다. 1991년 Sony가 리튬 이온 전지를 상업화할 때 두 종류의 원통형 전지를 출시했다. 건전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지인 AA 사이즈의 14500(지름 14mm, 높이 50mm) 원통형 전지와 캠코더에서 사용하는 니카드전지 사이즈인 20500(지름 20mm, 높이 50mm) 원통형 전지이다. 20500 원통형 전지가 캠코더에 잘 맞지 않는다는 생각에 1992년에는 캠코더용 전지로 20500 원통형 전지와 용량이 같은 전지로 18650(지름 18mm, 높이 65mm) 원통형 전지를 출시하면서, 리튬 이온 전지는 기존의 전지 표준 규격과는 다른 길을 갈 것임을 보여주었다. 용량이 더 필요하자, 1990년대 말 21700(지름 21mm, 높이 70mm) 원통형 전지가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후발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일본보다 10년 이상 늦게 21700 원통형 전지를 개발하게 된다.
(자료 : 배터리 인사이드 : batteryinside.com)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고성능 럭셔리 로드스터 라인업 강화' 벤츠 AMG SL 43 신규 트림 출시
[0] 2025-02-21 18:00 -
[스파이샷] 기아, EV3 GT 개발 중...2026년 출시 예정
[0] 2025-02-21 17:45 -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0] 2025-02-21 17:45 -
타타대우모빌리티,에이엠특장과 ‘준중형 전기 청소차 개발’MOU
[0] 2025-02-21 17:45 -
볼보자동차, ‘슈퍼셋 테크 스택’ 기반 볼보 ES90 주요 기술 공개
[0] 2025-02-21 13:00 -
앨리슨 트랜스미션, 아탁 탈라스 아태지역 영업 총괄 승진 임명
[0] 2025-02-21 13:00 -
한국타이어, 2025년 신년 간담회 개최
[0] 2025-02-21 13:00 -
GS글로벌, BYD 1톤 전기트럭 T4K 리스 상품 출시
[0] 2025-02-21 13:00 -
뉴 MINI 컨트리맨,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년 올해의 디자인’ 부문 선정
[0] 2025-02-21 13:00 -
KGM,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0] 2025-02-21 13:00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기아-한국전기연구원, 전기차 충전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공동협력
-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 부지런히 만들자...가을 인도 목표, 부산 공장 양산 개시
-
현대차 G80 시청역 역주행 사고 '급발진' 아니다...경찰, 운전자 과실에 무게
-
6월 공개 빗나간 현대차 3열 전기 SUV '아이오닉 9' 언제 나오나?
-
폭스바겐그룹, 2분기 배터리 전기차 판매 전년과 비슷
-
충격에 휩싸인 미국 대선 레이스,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은?
-
현대차·기아, 여름 휴가철 대비 장거리 운행 필수사항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5.4초 빨랐다! 포르쉐 신형 파나메라, 뉘르부르크링 그린 헬 '7분 24.17초' 신기록
-
기아, 2025년형 봉고Ⅲ 출시..조건부 1종 보통 교습용 '자동변속기' 탑재
-
국내 최초 '2024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 17일 개막...인지 등 4개 핵심 기술 전시
-
기아 최초 픽업 타스만 '1777종, 1만8000번 시험' 개발 히스토리 영상 공개
-
[공수전환] 쉐보레 콜로라도 Vs 지프 글래디에이터 '한국서 벌어질 픽업 맞수 경쟁'
-
명장에서 변호사까지, 조회수에 미쳐서 급발진 공포 조장...또 하나의 살인
-
[EV 트렌드] 中 137개 전기차 브랜드 중 2030년 수익 창출 가능 단 19곳
-
[영상] 패러다임의 전환, 청정 에너지원의 가능성과 도전 과제
-
아우디, 굿우드페스티벌에서 아우토유니온 '타입 52' 컨셉 공개
-
일론 머스크,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 선언... 총격사건 후 입장 밝혀
-
기아, 2분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 신기록 달성… EV3 출시 앞두고 강력한 모멘텀
-
장마 끝나면 진짜 폭염, 휴가 떠나기전 반드시 챙겨야 할 자동차 점검 내역
-
[칼럼] 전기차 게임체인저, 배터리가 아닌 '다단 변속기'에 있다.
- [유머] 오니쨩! 그만둬.. 거긴 오줌누는 곳이란 말이야...!
- [유머] 사람을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야생동물
- [유머] 울음소리가 특이한 뇌조
- [유머] 꿀잠자고 물벼락
- [유머] 치킨 뜯어먹는 토끼
- [유머] 얼굴개그하는 서벌
- [유머] 운전하다 만난 땅늑대
- [뉴스] '일어서보려 고군분투했는데 세상이 가로막아'... 故 김새론 납골당 찾아 꽃 두고 온 시민
- [뉴스] 필리핀 가사 관리사 결국 '강남 이모님' 됐다... '월급 300만원, 숙소도 자율'
- [뉴스] '우리들의 블루스' 한지민 언니, 다운증후군 작가 정은혜 5월 결혼
- [뉴스] 이승환, '사진 합성 의혹'에 미국 '입출국 기록' 공개... '내기 하자던 극우 유튜버 도망'
- [뉴스] FC서울 주장된 린가드, 결승골 세리머니로 '이 장면' 패러디... '오징어게임' 덕후 증명했다
- [뉴스] '별물' 공효진, '♥이민호' 아이 우주서 낳고 사망 엔딩... 실망감 속 시청률 2%대 종영
- [뉴스] 구속된 '캡틴 아메리카男'... 2018년 강남구의원 출마 경력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