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2,716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5-07 14:25
日보다 높은 자동차 생산 인건비, 韓 우수한 엔지니어링과 자동화로 통제
세계 최대 리스크 관리 및 전문 서비스 기업인 마시 맥레넌(Marsh McLennan)의 자회사 올리버 와이만(Oliver Wyman)이 최근 발표한 '차량 1대당 노동비용' 보고서. (올리버 와이만)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정책이 본격 시행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자동차 제조 비용 가운데 핵심 요소로 꼽히는 ‘인건비’의 지형도 재편된 것으로 나타나 생산망 점검과 전략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세계 최대 리스크 관리 및 전문 서비스 기업인 마시 맥레넌(Marsh McLennan)의 자회사 올리버 와이만(Oliver Wyman)은 최근 '차량 1대당 노동비용(Labor Cost Per Vehicle.LCPV)'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가 및 제조사별 자동차 생산 인건비 수준과 그에 따른 경쟁력을 비교했다.
LCPV는 조립라인 등 실제 차량 생산에 투입되는 작업자와 물류, 품질, 설비 유지보수, 감독 등 지원 인력 등의 직·간접 노동 비용과 해당 국가의 평균 임금, 생산성 지표, 외주화와 하도급, 공장 자동화 수준, 노동 강도, 설계 복잡도 등을 반영해 산출한다.
올리버 와이만은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 전기차 전문 브랜드, 메인스트림 제조사, 중국 제조사 등 네 가지로 분류해 LCPV를 분석했다. 이 가운데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등이 포함된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는 평균 2232달러로 가장 높은 인건비를 기록했다.
반면, BYD와 지리 등 중국 제조사의 인건비는 이보다 4배가량 낮은 수준인 585달러였다. 전기차 전문 제조사들의 인건비는 166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현대차, 도요타, GM 등 주류 제조사의 880달러보다 약 두 배 많은 수치다.
특히 일부 신생 전기차 스타트업의 경우 차량 1대당 인건비가 1만 3000달러를 넘는 사례도 확인됐다. 보고서는 전기차 제조사의 인건비가 높은 이유로 대규모 양산 체계의 미비, 생산 설비 및 공정의 최적화 부족, 세제 혜택과 보조금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지적했다.
올리버 와이만 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중국이다. 중국의 차량 1대당 생산 인건비는 585달러로 낮았지만 나타났다. 모로코의 273달러, 루마니아의 305달러, 멕시코의 414달러보다 많았다. 이는 한때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던 중국이 더 이상 최저 인건비 국가의 지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차량 1대당 인건비는 789달러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본의 769달러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체코와 폴란드의 인건비가 각각 769달러, 691달러임을 고려할 때 한국은 중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전세계 산업 평균보다 높은 임금을 지불하고 있지만 높은 생산성, 우수한 엔지니어링 능력, 높은 자동화 수준으로 LCPV를 통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올리버 와이만은 한국의 자동차 생산 인력이 전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고임금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생산성, 우수한 엔지니어링 능력, 높은 자동화 수준으로 인해 인건비를 일정 수준으로 통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다국적 분산 생산 전략과 효율적인 플랫폼 운영이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면서도 전기차 시장에서의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와 중국산 저가 모델의 유입은 장기적으로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복잡해지는 디자인 구조,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트림 구성 등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 요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제품 가격이나 마진을 통해 쉽게 상쇄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해서는 현재 평균 인건비 수준에서 약 33%를 절감한 1500달러 수준까지 낮춰야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설계 간소화와 생산 효율화를 통해 제조 복잡성을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전기차 전문 제조사는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공정 개선이 필요하며, 현대차와 같은 메인스트림 제조사는 디지털 전환, 공정 자동화, 공급망 최적화 등을 통해 인건비 절감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제조사는 낮은 비용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제품 품질을 높이고 브랜드 신뢰도를 제고하는 것이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한편 올리버 와이만은 자동차 산업이 복잡성과 기술 요구가 동시에 증가하는 시대에 진입한 만큼, 각 제조사가 자사의 비용 구조를 재점검하고 전략적 대응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벤츠, EQS SUV 중국산 배터리 논란에 中 기업도 탑재도 하지 않았다
-
'누가 왕이 될 상인가' 하반기 사활 건 핵심 신차, 액티언 Vs 그랑 콜레오스
-
2024년 F1 후반전, 레드불의 연속 우승을 막을 팀은?
-
빈패스트, 카타르 시장 진출
-
전설의 명차 '드로리안', 전기차로 부활…'DMC-EV' 예약 시작
-
체리자동차, 플래그십 SUV '티고 8L' 출시…가격 12만 9,900위안부
-
ECARX, 스마트 콕핏 기술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
[칼럼] 이륜차 운전자는 죽은 자와 죽을 자...하루 1명 꼴 사망
-
주고도 욕 먹는 벤츠, 인천 화재 피해 주민에 '인도적 차원?' 45억 기부
-
현대차 팰리세이드 '맥없이 풀리는 안전벨트' 美 NHTSA 예비 조사
-
중고차, 이렇게 하면 침수차 쉽게 잡아낸다...싼 맛에 혹해 샀다가 평생 후회
-
한 달 타보고 마음에 안 들면 환불 'KGM 액티언' 가격 공개...3395만원 시작
-
'딱 1대씩 만 판매' 마세라티, MC20 스페셜 에디션 이코나 · 레젠다 출시
-
폭스바겐, 독일 볼프스부르크서 '모여라' 2500대 이상의 골프
-
현대차, 13개 중 12개 국산 배터리...홈페이지에 모델별 제조사 전격 공개
-
'타이론 L' 미국에서 '신형 티구안'으로 출시… 마일드 하이브리드 터보 탑재
-
중고차 살 때 '최대 1년, 1000만원' 보증 연장 보험...12일부터 판매
-
하만카돈, KIA타이거즈와 광주 홈구장에서 2024 시즌 공동 마케팅 진행
-
기아, 3세대 부분변경 K8 출시 '사실상 신차 수준 변화'...3736만 원부터
-
르노, 그랑 콜레오스 E-테크 하이브리드 '3년 64%, 업계 최고 잔가보장'
- [유머] 요로결석에 걸린이유
- [유머] '콩쥐팥쥐'다냥
- [유머] 다음 중 누텔라를 훔친 범인을 고르시오
- [유머] 호주산 소고기가 싼이유
- [유머] 당신... 이름이 뭐죠?
- [유머] 남편 앞에서 아내를 희롱
- [유머] 405호 소음에 분노한 입주민
- [뉴스] 블랙핑크 제니, 이번엔 가슴에 헬로키티 달았다... 파격 패션 선보여
- [뉴스] '피 같은 혈세로 중국인 숙박비를?'... 中 관광객 숙박비 지원 경남도에 쏟아진 항의글
- [뉴스] '미국에서 먹던 것과 달라'... 김해 제과점서 티라미수 주문한 미국인이 점장 불러 한 행동
- [뉴스]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투약'으로 징역 2년 6개월... 며느리 판결도 나와
- [뉴스] 지하철역에 샤워실이?... 서울시가 대놓고(?) 제공 중인 '뚝섬역 샤워장' (사진)
- [뉴스] '여기 시속 60km 도로인데'... 국도 달리던 운전자들이 마주하면 미치는 상황 (사진)
- [뉴스] '봄비' 부른 '한국 소울 음악의 대부' 박인수 별세... 향년 78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