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71“서울~부산 20분”… 시속 1200km/h ‘K-하이퍼튜브’ 꿈의 열차 시동
조회 16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4-09 14:25
“서울~부산 20분”… 시속 1200km/h ‘K-하이퍼튜브’ 꿈의 열차 시동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비행기보다 빠르고 어떤 기상에도 흔들리지 않는 ‘철로 위의 비행기’ K-하이퍼튜브가 현실화를 향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국토교통부는 9일, 최고 시속 1200km에 달하는 하이퍼튜브 열차의 핵심 기술 연구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총 127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주관하며, 자기부상·추진 기술을 포함한 4개 세부 기술을 중점 개발할 예정이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운 후, 전자기력을 활용해 비행기 수준의 속도로 주행하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기존 KTX(시속 300km/h)가 서울~부산 간 무정차 운행 시 1시간 52분이 걸리는 것에 비해, 하이퍼튜브는 단 2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다.
무엇보다 탄소배출이 없고 날씨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기후 위기 시대에 적합한 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급행 철도망으로서 지역균형 발전과 지방소멸 위기 대응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1단계 연구는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설계, 초전도 전자석 기반의 자기부상·추진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 및 제작 기술 등 총 4가지 핵심 분야로 구성된다.
각 기술은 차량을 띄우고, 밀고, 조정하고, 공기 저항 없이 진공 튜브 내에서 고속으로 달릴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된다. 정부는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한 TF팀을 구성해 민간 전문가와 함께 정기적으로 기술 개발 성과를 점검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하이퍼튜브’는 2013년 미국에서 처음 시작한 ‘하이퍼루프’ 개념에서 출발한 것으로 한국과 유럽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명칭이다. 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단순한 미래 구상이 아니라, 글로벌 철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 주권의 시작점”이라며 “하이퍼튜브 개발을 통해 세계에 다시 한 번 한국 철도 기술의 저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이퍼튜브가 상용화하면 한국 사회의 교통 개념은 근본부터 달라지게 된다. ‘시간 거리’가 극적으로 단축되며 수도권과 지방이 실질적으로 통합, 주거·교육·산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불가피해진다.
전문가들은 하이퍼튜브가 미래에는 “물류와 인간의 이동 경로를 통째로 재정의할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UAM(도심항공모빌리티)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김흥식 칼럼] 현대차그룹, 세계 최강 양궁처럼 자동차 '불스아이' 명중
[0] 2025-04-17 17:25 -
트럼프 관세 통하나... 혼다, 美 판매차 최대 90% 현지 생산 전환 추진
[0] 2025-04-17 17:25 -
제대로 쉬어 볼까? 출발했는데 자동차가 말썽... 나들이길 폭망하지 않는 법
[0] 2025-04-17 14:25 -
한국타이어, ‘루시드 그래비티’에 전기차 전용 사계절 신차용 타이어 공급
[0] 2025-04-17 14:25 -
2025 시즌 슈퍼레이스 최상위 클래스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 출범
[0] 2025-04-17 14:25 -
기아, EV9 나이트폴·K4 해치백 세계 최초 공개…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
[0] 2025-04-17 14:25 -
현대차, 더 복잡해진 최강 오프로더 '팰리세이드 XRT Pro' 세계 최초 공개
[0] 2025-04-17 14:25 -
'최고의 신차' 기아 EV3, BMW X3 제치고 2025 월드카 어워즈 왕중왕
[0] 2025-04-17 14:25 -
제네시스, GMR-001 하이퍼카 실차 디자인 첫 공개 '오렌지 컬러에 한글'
[0] 2025-04-17 14:25 -
제네시스가 만든 전동화 오프로더 SUV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 공개
[0] 2025-04-17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기아, 김유현 선임 ‘그레이트 마스터’ 등극... 12번째 5000대 판매왕
-
현대차그룹, 산불 피해 복구 성금 20억 원 전달 및 긴급 복구 지원
-
[칼럼] 수입차 업계, 수입 및 판매 유통 금지 미인증 불법 장비 사용 만연
-
BMW, 아우디 · 벤츠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전기차 판매 '비결은 이 것'
-
[EV 트랜드] 테슬라 '수십억 달러 사라질 것'... 판매 급감보다 더 두려운 것
-
테슬라 사이버트럭 판매 32% 급감 '품질 문제 혹은 오너 리스크' 원인은?
-
현대차그룹, 美에 31조원 전략적 투자... 트럼프 대통령 '매우 긍정적인 일'
-
포르쉐 신형 911, 서울모빌리티쇼서 국내 최초 공개… 전기 SUV 마칸도
-
CATL-바이두, 자율주행·배터리 스와핑 기술 개발 협력
-
아우디, 전기차 주행거리·성능 모두 잡는다…A6 e-트론 최대 630km 주행
-
중국 이항, 에어택시 공장 건설 위해 JAC 모터, 구오샨과 합작
-
교통사고 잦은 곳 손봤더니…사망자수 59.5%ㆍ사고건수 31.2% 감소
-
멋대로 저단 변속...美 NHTSA, 포드 F-150 약 130만대 변속기 결함 조사
-
현대차, ‘2025 쏘나타 택시’ 출시… 앱·내비·미터 통합 단말기 최초 적용
-
현대차-센디, ST1 기반 AI 운송 플랫폼 구축 MOU... 2분기 시범 서비스
-
포르쉐 신형 911, 서울모빌리티쇼서 국내 최초 공개… 전기 SUV 마칸도
-
현대차그룹, 美에 31조원 전략적 투자... 트럼프 대통령, 매우 긍정적인 일
-
[시승기] 봄 맞이에 제격 '팰리세이드 2.5 터보' 아쉬운 건 연비 하나뿐
-
구체화되는 GM과 현대차의 ‘전기차 동맹’
-
품질 문제 혹은 오너 리스크 원인? 테슬라 사이버트럭 판매 '뚝'
- [유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 [유머] 일본에서 제일크다는 12살
- [유머] ???: 따라해 쌀때 사서...
- [유머] ???: 나 제과제빵점 오픈했어
- [유머] 결혼 3년차에 권태기 온 장항준의 권태기 극복 비결.jpg
- [유머] 일본 10kg 돈까스카레
- [유머] 중국서 인기있는 한국 과자
- [뉴스] 위생불량으로 '영업정지' 당해 놓고 휴게소에 버젓이 납품해 온 대구의 한 식품공장
- [뉴스] 기아타이거즈 홈 경기서 여성 관중 몰카 찍은 70대 남성 입건
- [뉴스] 아침에 일어나면 불안하고 머리 아픈 이유 '휴대폰 알람'에 있었다 (연구)
- [뉴스] 뉴욕오토쇼서 찬란히 빛난 '펠리세이드'... '글로벌 미디어의 플래시 세례 받아'
- [뉴스] '한덕수 출마 어떻게 생각하냐' 질문에 국민 10명 중 6명이 한 대답
- [뉴스] '부모·아내·두 딸 왜 살해했냐'... 면전에서 질문하자 가해자가 보인 반응
- [뉴스] 홍성 '노인건강대축제'서 제공된 도시락 먹은 어르신 '120여명' 집단 식중독 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