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1,06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3-26 14:25
테슬라 사이버트럭 판매 32% 급감 '품질 문제 혹은 오너 리스크' 원인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테슬라 소셜미디어 캡처)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2023년 11월 미국 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 테슬라 '사이버트럭'이 약 1년 반 만에 눈에 띄는 판매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부는 잦은 리콜을, 혹자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오너 리스크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현지시간으로 23일,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지난 2월 미국에서 사이버트럭 판매는 전월 대비 32.5% 감소한 2619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9월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거의 반토막 난 실적으로 일론 머스크는 연일 사이버트럭에 관해 '역대 최고의 제품'이라는 찬사를 보내고 있으나 그 결과는 비관적이다.
또 사이버트럭 뿐 아니라 테슬라 미국 내 전체 판매량도 빠르게 줄어드는 중으로 2월 한 달간 판매는 전월에 비해 10% 감소했다. 특히 모델 3 세단의 경우 17.5% 하락했다.
관련 업계는 사이버트럭을 포함한 테슬라 판매량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일론 머스크의 오너 리스크를 지적했다.
그가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으며 연방정부 공무원의 대량 해고를 비롯한 정부 기관의 구조조정을 강도 높게 추진하자 테슬라 쇼룸에선 격렬한 시위가 시작됐다.
또 일부 진보주의자 사이에서 이전의 뛰어난 평판을 유지했던 테슬라 브랜드 이미지는 점차 하락하고 이들 중 일부는 실제 테슬라 차량을 중고차 시장에 내놓고 있다.
테슬라 사이버트럭(테슬라)
여기에 마치 유행처럼 테슬라 차주들은 자신의 차량에 '일론이 미쳤다는 걸 알기 전에 이 차를 샀어요(I bought this car before I knew Elon was crazy)'라는 스티커를 부착하는 등 브랜드 가치는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현지 언론은 이 같은 분위기를 바탕으로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를 상징하는 사이버트럭 판매가 저조한 건 당연한 결과로 풀이했다.
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앞에서 테슬라 차량 구매를 독려하거나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이 방송에 출연해 테슬라 주식 매수를 홍보하고 있으나 대체로 우파 성향 사람들은 전기차와 거리가 멀기에 테슬라 판매에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다.
한편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사이버트럭 판매 하락에 대해 지난 1월 신형 모델 Y 생산을 위한 생산라인의 일부 이동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사이버트럭은 여전히 미국에서 포드 F-150 라이트닝, 리비안 R1T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전기 픽업에 이름을 올리고, 미국에서 5번째로 많이 팔리는 전기차 모델이다.
김훈기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포르쉐코리아,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서 전통공예 전시·공연 개최
[0] 2025-05-29 12:45 -
람보르기니 서울, 남산에서 브랜드 철학 담은 ‘우루스 SE’ 팝업 쇼케이스
[0] 2025-05-29 12:45 -
‘EV 트렌드 코리아 2025’ 6월 3일 코엑스 개막
[0] 2025-05-29 12:45 -
제네시스 GV70, 북미 주요 매체 시승평 호평…“고급감·정숙성 강화”
[0] 2025-05-29 12:45 -
아우디 코리아, 6월 한 달간 ‘2025 여름철 서비스 캠페인’ 실시
[0] 2025-05-29 12:45 -
한국타이어, NBCI 타이어 부문 17년 연속 1위
[0] 2025-05-29 12:45 -
콘티넨탈, 에코바디스 지속가능성 평가 ‘플래티넘’ 등급 획득
[0] 2025-05-29 12:45 -
올 뉴 디펜더 OCTA 국내 공식 출시
[0] 2025-05-29 12:45 -
GM, 뉴욕 엔진 공장에 1조 2천억 원 투자… 전기차 전환 속도 조절 및 미 정부 정책 변화 대응
[0] 2025-05-29 12:45 -
EU, 2025년 CO2 배출 목표 완화 최종 승인… 자동차 업계 숨통 트이나
[0] 2025-05-29 12: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2025서울모빌리티쇼, 한계를 넘고 기술 경계 허무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 공개
-
한국수입차협회, 국내 승용차 시장 진출 선언 중국 BYD 회원사 신규 가입
-
기아, 구단별 취향에 맞게 ‘KBO 디스플레이 테마’ 공개...'더 EV4’ 첫 적용
-
메르세데스 벤츠 'A 클래스' 단종... 해치백 퇴출 콤팩트 SUV 라인업 재편
-
[시승기]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부분변경 '마법의 양탄자 같은 주행감'
-
롤스로이스, 한계 없는 비스포크로 차별화된 럭셔리 ‘고스트 시리즈 II’ 출시
-
토요타, 배터리 전기차 중국화 강화
-
KGM '무쏘 EV’ 순조로운 출발...출시 2주 만에 누적 계약 3200대 흥행 청신호
-
세계 최대 규모 아마추어 골프 대회 ‘BMW 골프컵 2025’ 온라인 예선 진행
-
현대차그룹 GBC 단지 내 축구장 2배 크기 도심숲 시민 개방형 녹지공간 조성
-
테슬라, 주가 225달러로 다시 하락
-
한자연, AI와 모빌리티 융합을 주제로 교류의 장 마련
-
BMW, ‘노이어 클라쎄’ 첫 모델 9월 공개... 시작은 ix3
-
BMW, 2024년 전기차 판매량에서 메르세데스-벤츠·아우디 합산 기록 넘어
-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회원사로 BYD 신규 가입
-
중국 장청자동차, 호주시장에 하이브리드 SUV 하발 H6 GT 출시
-
아우디, 인력 감축과 더불어 내연기관 종료 재 검토
-
중국 샤오미EV, 2025년 35만대 인도 목표
-
현대차, 미국서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무료로 가정용 충전기 제공
-
현대오트론 인수 5년 만의 성과,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 속도
- [유머] 폭도 근황
- [유머] 33년차 AV 남자배우의 후회
- [유머] 동물병원 진료대기
- [유머] 개과천선한 브랜드
- [유머] 통짬마짬
- [유머] 주민센터에 카피바라 출현
- [유머] 신규 제품 치즈 열장 추가 버거
- [뉴스] 전국민 다 아는 '이 노래' 부른 걸그룹 멤버, 카이스트 가더니 '대치동 수학강사' 됐다
- [뉴스] 은지원, 이혼 13년 만에 재혼 생각 밝혀... '아이 낳으면 활동 중단'
- [뉴스] [속보] 권성동 '김문수 X 이준석 단일화 무산... 유권자 선택 단일화 이뤄질 것'
- [뉴스] 김숙이 제주도에 '세컨하우스' 사놓고 13년째 '폐허'로 방치하고 있는 이유
- [뉴스] '프랑스에서 잘생긴 아저씨랑 셀카 찍었는데, 알고보니 대통령이네요'
- [뉴스] 제니, 이번엔 '궁극의 뮤즈' 됐다... 샤넬 이어 선택받은 이 브랜드
- [뉴스] 6,500만 분의 1 확률로 '오둥이 자연임신' 한 여성 '선택적 유산 권유받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