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81미국 배터리 산업의 조용한 혁명, 정책 변화에도 성장 지속될까?
조회 1,16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2-25 14:25
미국 배터리 산업의 조용한 혁명, 정책 변화에도 성장 지속될까?

미국 대선과 그에 따른 정치·문화적 혼란 속에서, 미국 내에서 조용한 혁명이 진행되고 있었다. 바로 배터리 제조업의 급성장이다.
현재 중국이 글로벌 배터리 생산을 주도하고 있지만, 북미는 계획된 배터리 셀 생산 용량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이 되었다. 올해 미국에서는 10개의 새로운 배터리 공장이 가동을 앞두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적대적인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기차 세액 공제를 폐지하고, 캐나다 및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의 미래는 불확실해졌으며, 이 공장에 투자한 자동차 제조업체, 배터리 기업, 그리고 대체로 공화당 주 정부들은 단기적으로 난처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몇 년간 미국에서는 제너럴 모터스(GM), 현대, 기아, 혼다, 포드를 비롯한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기록적인 전기차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는 정부의 보조금과 유리한 리스 및 금융 혜택 덕분이었다.

이제 배터리 공급업체들이 본격적으로 미국 내에서 배터리 생산을 시작하면서 중국 의존도를 점차 줄이고 있다. 그러나 보조금이 사라지고 관세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유지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명확한 답은 없다. 보다 장기적인 전망은 트럼프 정부가 미국의 청정 에너지 전환을 얼마나 방해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미 공장들이 건설된 상황에서 이를 멈출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미국의 배터리 산업 성장 모멘텀이 강력하게 진행다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공장이 공화당 주에 위치해 있는 만큼 수천 개의 일자리를 없애는 것은 주요 지지층을 잃는 일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올해 새롭게 가동되는 10개의 배터리 공장을 통해 미국의 배터리 제조 능력은 연간 421.5기가와트시(GWh)로 증가하며, 이는 전년 대비 거의 두 배 성장한 수치다.

이번 '배터리 붐'의 주역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및 배터리 기업들이다. 토요타는 노스캐롤라이나 리버티에 140억 달러를 투자한 배터리 공장을 완공했으며, 오는 4월부터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배터리 대기업 SK온은 현재 3개의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 중 2곳은 포드와 협력하여 테네시와 켄터키에 건설되고 있으며, 또 다른 한 곳은 현대차와의 협업으로 조지아에 조성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오하이오에서 혼다와 합작 공장을 세웠으며, 애리조나에서도 단독 배터리 공장을 설립했다.
이 외에도 파나소닉(캔자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인디애나), 엔비전 AESC(켄터키), Our Next Energy(미시간) 등이 미국 내 배터리 생산 시설을 마무리하고 있다.

미국의 전기차 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배터리 생산 역량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이 흐름을 막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전기차 전문가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 시장은 ‘하키 스틱 곡선’에 진입한 상태다. 즉, 초기에는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다가 일정 시점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단계에 들어섰다는 의미다. 보조금이 사라지더라도 현지 생산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강화된다면, 미국 소비자들은 여전히 전기차를 대량 구매할 가능성이 크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테슬라, 모델 3 롱레인지 무보증금 리스 출시
[0] 2025-04-29 17:25 -
지커, 첫 PHEV 플래그십 SUV '9X' 공개…BMW X7·GLS 겨냥
[0] 2025-04-29 15:25 -
현대차, 'ACT 엑스포 2025'서 북미 수소 물류시장 본격 공략
[0] 2025-04-29 15:25 -
중국 세레스, 상하이 모터쇼서 지능형 안전 생태계 공개…미래 자동차 안전 표준 제시
[0] 2025-04-29 15:25 -
비스테온-볼케이노 엔진, AI 기반 스마트 콕핏 솔루션 공개…차량 내 경험 혁신 예고
[0] 2025-04-29 15:25 -
일렉트로비트-메톡,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혁신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0] 2025-04-29 15:25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상하이 모터쇼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대규모 협력 계약
[0] 2025-04-29 15:25 -
스트라드비젼-악세라, 자율주행 혁신 가속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0] 2025-04-29 15:25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의 품격, 가장 안락한 퍼스트클래스급 승차감을 제공한다
[0] 2025-04-29 15:25 -
BYD, 1분기 순이익 두 배 증가…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0] 2025-04-29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올해도 우승하는 거죠. 정의선 회장, 기아 타이거즈 스프링캠프 깜짝 방문
-
자동차업계, AI 열풍 속 ‘필요 이상의 기능’ 남발… 진정 가치는 어디에?
-
한국토요타자동차, 국립암센터에 8천만원 기부 및 '토요타 찾아가는 음악회' 개최
-
저돌적 그리고 공격적으로 변신한 타스만, 기아 'UAE IDEX 2025' 참가
-
푸조, 작년 전기차 2배 증가...올해 본격적인 성과 창출의 원년 될 것
-
설원 질주, 도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팀 '2025 WRC 스웨덴 랠리’ 우승
-
포르쉐보다 빨랐다! 샤오미 SU7 울트라 상하이 랩타입 신기록 달성
-
현대차그룹, 사외 스타트업 발굴 2025년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모집
-
현대차그룹 대학생 사회공헌 교육봉사단 ‘H-점프스쿨’ 12기 발대식 개최
-
렉서스, 어떤 길도 편안하고 품위있게 ‘디 올 뉴 LX 700h’ 사전 계약 실시
-
[EV 트렌드] 세단도 해치백도 아닌 '혁신적 유선형' 기아 EV4 디자인 공개
-
SUV의 나라 캐나다 인정 '싼타페·아이오닉 5 N' 2025 올해의 차 석권
-
[칼럼] 한국, 中 자동차 생산 기지화 속도... 마이너 3사의 운명은
-
[스파이샷] 더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 팰리세이드 XRT 스웨덴서 포착
-
[스파이샷] 메르세데스-벤츠, 차세대 GLB 출시 예정
-
폴스타, 부산 롯데 백화점에서 ‘폴스타 온 투어(Polestar on tour)’ 진행
-
전고체 배터리의 대중화,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
-
금리 인상·환율 하락에도…인도 신차 판매 3.8% 증가, 3년 연속 신기록
-
SAIC-GM, 딥시크 AI 모델 스마트 콕핏에 통합…캐딜락·뷰익 적용 예정
-
[EV 트렌드] 신규 eM 플랫폼 기반 제네시스 G70 전동화 출시설 '솔솔'
- [포토] 아름다운 여인
- [포토] 섹시 뒤태
- [포토] 연에인 닮은 얼짱여
- [포토] 섹시 속옷
- [포토] 섹시미녀 뒷태
- [포토] 섹시미녀 노출팬티
- [포토] 얼짱몸짱
- [유머] 토스트 창업 이름 레전드
- [유머] 바닥도 개판이네
- [유머] 일본에서 실제로 판매 중인 인도인 완전 무시 카레
- [유머] 자기 컴퓨터 선 정리 한 거 자랑하는 레딧 유저
- [유머] 계곡 바베큐 대참사
- [유머] 유치원 졸업 현수막
- [유머] 사모아인 중학생들의 맞짱
- [뉴스] 김종민, 결혼 전 녹화에서 축의금 농담했는데... '주 PD가 1000만원 정도 내줬다'
- [뉴스] '추성훈♥' 야노시호, '엄태웅♥' 윤혜진과 10년 찐친이었다
- [뉴스] 홍진희, 촬영 중 '무릎 통증' 호소하더니 병원에 '긴급 이송'
- [뉴스] '워킹맘' 이정현, 두 아이 위해 출근 전 '뚝딱' 만든 반찬 공개
- [뉴스] 헤어지자는 16살 연하 여친 의식 잃을 때까지 짓밟은 30대 남성... 포항 모텔에 감금까지
- [뉴스] '日 배우 겸 가수' 호시노 겐, 9월 13일 '첫 내한' 확정
- [뉴스] 엔믹스, K팝 걸그룹 '최초'로 타이베이 돔 시구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