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3,07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2-24 14:25
[칼럼] 재활용 불가, 모델 3에서 쏟아져 나올 1만 5000톤 폐기물 공습
AI 이미지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전기차 배터리 경쟁이 치열하다. 캐즘과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적인 시각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전기차 보급은 필연적인 만큼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 배터리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싸움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세계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중국 전기차는 리튬인산철 배터리(LFP), 한국과 일본 등 서방 국가는 리튬이온 배터리(NCM)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LFP는 NCM 대비 무겁고 에너지 밀도가 낮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중국은 초기부터 LFP를 주로 보급해 왔으나 최근에는 CATL 등을 중심으로 NCM 보급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내 LFP와 NCM의 보급 비중은 약 8 : 2 정도다. LFP는 셀투팩(Cell to Pack), 셀투바디(Cell to Body) 기술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천 화재 사고 이후 LFP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에는 중국 상해공장에서 제작하고 LFP를 탑재한 테슬라 모델 Y 등이 3만 대 이상 팔렸다. 같은 계열의 배터리를 탑재한 중국 BYD도 가세해 치열한 시장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중국과 다르게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NCM에 주력하면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국내 업체들의 LFP는 내년 가능할 것으로 보여 시장 선점은 물론 경쟁력에서 뒤처져 있다. 이렇게 LFP가 영역을 넓히고 있는 문제는 환경에 치명적이라는 점이다.
LFP의 환경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할 할 경우 LFP는 NCM 대비 원자재를 적게 사용하는 만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고 주장한다. NCM은 니켈, 코발트 등 여러 소재를 채굴해 원자재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LFP 대비 더 많은 오염원을 배출한다는 논리다. 따라서 LFP를 차별하는 보조금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리튬인산철(Lithium Iron Phosphate. LFP) 배터리는 무게가 가볍고 발열이 적어 내화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에너지 밀도와 주요 소재의 재활용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LFP의 재활용은 약 15%에 불과한 상황이다. 나머지는 땅에 묻는 방식으로 폐기해야 한다. 전기차에서 수명을 다한 NCM은 약 95%까지 재활용할 수 있어 비교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제는 급증하고 있는 LFP의 리사이클링 기술과 원자재 회수 등 대비가 시급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당장은 배터리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를 통해 LFP를 처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나 배터리 제조사가 의무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이다. 회수할 수 없으면 신차를 팔 때 일부 비용을 더 부담해 환경개선 부담금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국내 시장에는 LFP가 장착된 버스, 트럭, 승용차 등이 다수 운행되고 있다. 작년에 3만 대 이상 팔린 테슬라 모델 3에 탑재된 약 500kg의 LFP를 계산하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1만 5000톤의 폐기물이 일정한 시기 쏟아져 나올 수 있다.
현재로서는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처리하는 비용을 국민 세금으로 부담해야 한다. 지금은 어떤 타입이 좋고 나쁘고를 따질 것이 아니라 이미 수만 대 이상 보급된 LFP를 누가 책임지고 회수할 것인지, 어떻게 폐기하고 재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배터리의 특성상 재앙을 초래할 수 있지만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도입한 중국도 폐배터리를 땅에 묻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사후 관리 이상으로 배터리를 생산하는 시점부터 폐기 전 과정의 친환경성을 종합 평가해 비용을 산정하고 부담케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유럽은 초기 제작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입증하는 CRMA(Critical Raw Materials Act, 핵심 원자재법) 등을 통해 모든 제품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매년 5만기 이상, 내년 후반기 국내 업체의 생산으로 폭증한 LFP를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해야 한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2세대 팰리세이드의 디자인
-
리비안 CEO, 트럼프 관세 정책에 우려 표명
-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2월 10일 공개
-
포드, 머스탱 마하-E로 3년 연속 파이크스 피크 도전
-
[영상] 딥시크를 통해 본 중국 자동차 산업의 시장 지배력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2024 유로 NCAP 신차 안전도 평가에서 ‘가장 안전한 차량’ 선정
-
로터스 에메야, 노르웨이 전기차 혹한 테스트서 압도적 성능 입증
-
폴스타, ‘아틱 서클’ 라인업, ‘폴스타 3'와 '폴스타 4’까지 확대
-
벤츠E 클래스, 유로NCAP신차안전도평가에서 '가장 안전한 차' 선정
-
[EV 트렌드] 테슬라 자율주행 현주소 '생산라인에서 적재 도크까지 2km 이동'
-
[시승기] 벤츠 S 580 4메틱 '품격이란 이런 것, 대체 불가 럭셔리 플래그십'
-
미국, 2024년 태양광 발전량 26% 이상 증가
-
현대차기아, 올 해 전기차가 증가세 이끈다.
-
BMW 신형 iX 공개, 성능·효율성 대폭 개선… 1분기 출시 예정
-
[영상] 성능·주행거리 대폭 개선한 2025 BMW iX 리뷰
-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920마력 슈퍼파워를 위한 첨단 프레임 기술 공개
-
'고객 데이터의 은밀한 거래' GM에서 현대차 · 도요타 등으로 소송 확산
-
[EV 트렌드] '예상보다 빨라' 서울 외곽에서 목격된 기아의 차세대 전기 세단
-
닛산 미국법인, 재택근무 위주에서 주 4일 출근 의무화로 전환
-
태국, 2024년 자동차 생산대수 20% 감소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유머] 딸 선호율 세계 1위 국가
- [유머] 감자칩 과자 보지맛
- [유머] 펀쿨섹좌 근황
- [유머] 요즘 태권도 근황
- [뉴스] 정읍 신태인역서 선로 걷던 90대 남성, ITX 열차에 치여 사망
- [뉴스] 차량서 '번개탄' 피우고 남친한테 인증한 30대 여성... 화재로 애꿎은 빌라 주민만 사망
- [뉴스] [속보] 수도권 집중호우로 동부간선도로 '전면 통제'
- [뉴스] [속보] 서울 중랑천 홍수주의보 발령... '피해 예방 대비'
- [뉴스] 내한 앞둔 오아시스, 이번엔 욱일기 이미지 게재... 사과 안 했다
- [뉴스] '다운증후군' 배우 정은혜, 가족 전셋집 마련한 놀라운 경제력
- [뉴스] 방탄소년단 뷔, 향수 안 쓰는 이유... '중학생 때부터 매일 바른 '이것'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