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50[칼럼] 재활용 불가, 모델 3에서 쏟아져 나올 1만 5000톤 폐기물 공습
조회 16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2-24 14:25
[칼럼] 재활용 불가, 모델 3에서 쏟아져 나올 1만 5000톤 폐기물 공습
AI 이미지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전기차 배터리 경쟁이 치열하다. 캐즘과 트럼프 대통령의 부정적인 시각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전기차 보급은 필연적인 만큼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 배터리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싸움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세계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중국 전기차는 리튬인산철 배터리(LFP), 한국과 일본 등 서방 국가는 리튬이온 배터리(NCM)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LFP는 NCM 대비 무겁고 에너지 밀도가 낮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중국은 초기부터 LFP를 주로 보급해 왔으나 최근에는 CATL 등을 중심으로 NCM 보급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내 LFP와 NCM의 보급 비중은 약 8 : 2 정도다. LFP는 셀투팩(Cell to Pack), 셀투바디(Cell to Body) 기술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천 화재 사고 이후 LFP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에는 중국 상해공장에서 제작하고 LFP를 탑재한 테슬라 모델 Y 등이 3만 대 이상 팔렸다. 같은 계열의 배터리를 탑재한 중국 BYD도 가세해 치열한 시장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중국과 다르게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NCM에 주력하면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국내 업체들의 LFP는 내년 가능할 것으로 보여 시장 선점은 물론 경쟁력에서 뒤처져 있다. 이렇게 LFP가 영역을 넓히고 있는 문제는 환경에 치명적이라는 점이다.
LFP의 환경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할 할 경우 LFP는 NCM 대비 원자재를 적게 사용하는 만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고 주장한다. NCM은 니켈, 코발트 등 여러 소재를 채굴해 원자재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LFP 대비 더 많은 오염원을 배출한다는 논리다. 따라서 LFP를 차별하는 보조금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리튬인산철(Lithium Iron Phosphate. LFP) 배터리는 무게가 가볍고 발열이 적어 내화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에너지 밀도와 주요 소재의 재활용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LFP의 재활용은 약 15%에 불과한 상황이다. 나머지는 땅에 묻는 방식으로 폐기해야 한다. 전기차에서 수명을 다한 NCM은 약 95%까지 재활용할 수 있어 비교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제는 급증하고 있는 LFP의 리사이클링 기술과 원자재 회수 등 대비가 시급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당장은 배터리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를 통해 LFP를 처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차나 배터리 제조사가 의무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이다. 회수할 수 없으면 신차를 팔 때 일부 비용을 더 부담해 환경개선 부담금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국내 시장에는 LFP가 장착된 버스, 트럭, 승용차 등이 다수 운행되고 있다. 작년에 3만 대 이상 팔린 테슬라 모델 3에 탑재된 약 500kg의 LFP를 계산하면 재활용이 불가능한 1만 5000톤의 폐기물이 일정한 시기 쏟아져 나올 수 있다.
현재로서는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처리하는 비용을 국민 세금으로 부담해야 한다. 지금은 어떤 타입이 좋고 나쁘고를 따질 것이 아니라 이미 수만 대 이상 보급된 LFP를 누가 책임지고 회수할 것인지, 어떻게 폐기하고 재활용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배터리의 특성상 재앙을 초래할 수 있지만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도입한 중국도 폐배터리를 땅에 묻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사후 관리 이상으로 배터리를 생산하는 시점부터 폐기 전 과정의 친환경성을 종합 평가해 비용을 산정하고 부담케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유럽은 초기 제작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입증하는 CRMA(Critical Raw Materials Act, 핵심 원자재법) 등을 통해 모든 제품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매년 5만기 이상, 내년 후반기 국내 업체의 생산으로 폭증한 LFP를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해야 한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미국 배터리 산업의 조용한 혁명, 정책 변화에도 성장 지속될까?
[0] 2025-02-25 14:25 -
KGM, 불가능해 보였던 2년 연속 흑자... 곽재선 회장 판로 확장 통했다
[0] 2025-02-25 14:25 -
로터스는 로터스가 끝이 아니었구나...현대차와 기아 승차감 일취월장 비결
[0] 2025-02-25 14:25 -
[EV 트렌드] BMW, 차세대 전기차 퀀텀 점프 더 싸고 더 멀리 갈 것
[0] 2025-02-25 14:25 -
람보르기니 '레부엘토ㆍ우루스 SEㆍ테메라리오' 전동화 라인업 수상 행진
[0] 2025-02-25 14:25 -
마세라티 '그란카브리오' 겨울 왕국으로 변한 스위스에서 최초 공개
[0] 2025-02-25 14:25 -
벤츠, 게임체인저 '고체 배터리' 세계 최초 실차 테스트… 999km 주행
[0] 2025-02-25 14:25 -
현대차·기아-삼성SDI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공동 마케팅도 추진
[0] 2025-02-25 14:25 -
KGM 수출이 통했다, 2년 연속 흑자 달성... 무쏘 EV 등 신차로 바람몰이
[0] 2025-02-25 14:25 -
'전기차 당장 빼' 트럼프, 연방 정부 건물 내 8000개 전기차 충전소 폐쇄
[0] 2025-02-25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머스크의 야심작 '사이버캡' 로보택시… 규제 다 통과해도 연간 2500대 제한
-
현대차, 배터리 기술 역량 강화 인재 확보 '배터리 개발 기술인력' 신규 채용
-
아우디, FC 바이에른 해리 케인 SQ8 e-트론 등 새시즌 프리미엄 순수 전기차 제공
-
밀라노 감동을 성수에서 기아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 전시 개최
-
현대차 넥쏘, 수소 가스 누출 화재 우려...건물과 멀리 떨어진 곳 주차 권고
-
799대 한정판, 페라리 슈퍼카 역사의 신규 페이지 '페라리 F80' 공개
-
美 리콜왕은 '포드', 2010년 이후 545건으로 1위...파워트레인 결함 최다
-
올리버 집세 BMW CEO, EU 2035년 내연기관차 금지 더 이상 현실성 없어
-
롤스로이스, 럭셔리 SUV '컬리넌 시리즈 II' 공개...역사상 가장 광범위한 변화
-
재고 비상, 스텔란티스 3분기 출고량 20% 감소…가장 큰 난제는 '마세라티'
-
'파나소닉 때문에…' 혼다, CR-V 하이브리드 배터리 화재 가능성 리콜
-
애스턴마틴, 제임스 본드 파트너십 60주년 기념 DB12 골드핑거 에디션 공개
-
롤스로이스, 컬리넌 시리즈 II 및 블랙 배지 컬리넌 시리즈 II 국내 공개
-
타타대우상용차, 2025년 준중형전기트럭 출시 예고
-
한국타이어, 모터 컬처 패션 브랜드 ‘슈퍼패스트’와 24F/W 2차 컬렉션 출시
-
콘티넨탈 코리아, 여성 임직원 리더십 및 전문성 공유의 장 제9회 ‘KWE 컨퍼런스’ 개최
-
아날로그 축음기와 디지털 자율주행 자동차
-
대동모빌리티, 전기스쿠터 고객 대상 윈터 패키지 증정 프로모션 진행
-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4, 대회장 곳곳에 모터쇼에 버금가는 다양한 차량 전시
-
애스턴마틴, 제임스 본드 007 스타일 반영 'DB12 골드핑거 에디션' 공개
- [유머] 여대에 나타난 닌자
- [유머] 코하루와 백룸 만화
- [유머] 생활관에서 배달음식 시켜 먹는 국군 장병들
- [유머] 스토리 컷신을 스킵하면 안되는 이유
- [유머] 오니쨩! 그만둬.. 거긴 오줌누는 곳이란 말이야...!
- [유머] 사람을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야생동물
- [유머] 울음소리가 특이한 뇌조
- [뉴스] 방탄소년단 지민, K팝 솔로 최초 美 스포티파이 아티스트 차트 250일 연속 진입 대기록 세웠다
- [뉴스] 백종원의 감귤 맥주, 빽햄·브라질닭 이어 또 논란... '감귤 1개로 맥주 750캔 제조'
- [뉴스] '인생네컷' 찍으며 은근슬쩍 女 동료 몸 만진 20대 男 공무원의 최후
- [뉴스] 제멋대로 움직이는 몸으로 힘겹게 포즈... '뇌성마비' 극복하고 보디빌더가 된 남자
- [뉴스] 12·3 비상계엄 직전, 한동훈 휴대전화로 온 '대통령실 문자'... 긴박했던 순간 담겼다
- [뉴스] '가장 위험한 인물은 이재명'... 尹 대통령이 가장 아꼈던 한동훈, 26일 책 출간
- [뉴스] 반려동물 사룟값마저 인상... 전국 반려인들 '라면만 먹고살아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