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70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조회 1,240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2-21 17:45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전기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배터리 기술에 대한 요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전기차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배터리이며, 성능, 크기, 무게, 충전 속도, 내구성 등 다양한 요소가 차량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며, 음극 소재로는 흑연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흑연은 한계가 명확하다. 에너지 밀도가 낮고, 충전 속도가 느리며, 생산 과정에서 자원 손실이 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 업계는 다양한 혁신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실리콘 음극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 실리콘은 흑연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을 갖고 있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로 평가된다. 또한 충전 속도를 향상시켜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 대폭 줄일 가능성이 있다.

배터리에서 음극은 충전 시 리튬 이온을 저장하고 방전 시 이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흑연 기반 음극이 사용되지만, 흑연은 충·방전 시 리튬 이온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제한적이다. 반면, 실리콘은 리튬과 반응할 때 흑연보다 훨씬 많은 리튬 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유리하다. 실리콘 음극은 실리콘 나노 입자를 활용하여 배터리 내에서 팽창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식과 실리콘과 흑연을 혼합하여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리콘 음극은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할 수 있어 배터리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의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며, 결과적으로 연비 향상과 주행거리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어 충전 속도를 단축하는 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대만의 배터리 스타트업 ProLogium은 실리콘 복합 음극을 사용해 5%에서 60%까지 단 5분, 80%까지는 8.5분 만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팩을 개발했다.
그러나 실리콘 음극은 충·방전 시 부피가 크게 팽창하는 문제가 있어 배터리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장기적인 사용 시 수명이 단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실리콘 음극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존 흑연 기반 배터리 제조 공정과는 다른 방식이 요구되며, 이는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전해질과의 반응성이 높아 배터리 내부에서 화학적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도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GM은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로 실리콘 음극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신소재 기술을 연구 중이다. 메르세데스-벤츠는 Sila Nanotechnologies와 협력하여 전기 G-클래스에 실리콘 음극 배터리를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Amprius, Group 14, Sila Nanotechnologies 등 실리콘 음극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에서도 실리콘 음극의 내구성을 높이고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전기차 시장의 핵심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실리콘 음극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전기차의 성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이며, 주행거리 증가와 충전 속도 개선은 소비자들의 전기차 선택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 것이다. 또한 실리콘 음극이 기존 흑연 기반 음극을 대체하게 되면 배터리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전기차뿐만 아니라 드론, 항공기, 전력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배터리 업계는 실리콘 음극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 산업의 발전 속도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르포] 보이지 않는 곳에서 2억 불 수주를 향해 땀 흘리고 있는 현대모비스
[0] 2025-04-28 17:25 -
화물 운송 마을택시 ㆍ수용응답형 전세버스... 운송 서비스 규제 확 풀린다
[0] 2025-04-28 17:25 -
한국토요타, 모터스포츠 짜릿함 체험 '2025 보령·AMC 페스티벌’ 참가
[0] 2025-04-28 14:25 -
마세라티, 순수 전기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국내 출시…풀 라인업 완성
[0] 2025-04-28 14:25 -
사막을 달려야 트럭! 타타대우모빌리티 막시무스와 더쎈, 중동 시장 론칭
[0] 2025-04-28 14:25 -
르노, 전동화 호조 1분기 판매량 6.5%↑... 한국, 그랑 콜레오스 효과로 선전
[0] 2025-04-28 14:25 -
[김흥식 칼럼] 상하이오토쇼, BMW의 메인은 왜 자동차가 아니었을까?
[0] 2025-04-28 14:25 -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 이사회 독립성·투명성 강화
[0] 2025-04-28 14:25 -
하만, 느끼고 생각하는 자동차...미래 커넥티드카 생태계 주도 Ready!
[0] 2025-04-28 14:25 -
기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0] 2025-04-28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미니도 英 옥스퍼드 공장 전기차 일정 연기... 美 현지 생산으로 선회
-
[칼럼] 재활용 불가, 모델 3에서 쏟아져 나올 1만 5000톤 폐기물 공습
-
'고성능 럭셔리 로드스터 라인업 강화' 벤츠 AMG SL 43 신규 트림 출시
-
[스파이샷] 기아, EV3 GT 개발 중...2026년 출시 예정
-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
타타대우모빌리티,에이엠특장과 ‘준중형 전기 청소차 개발’MOU
-
볼보자동차, ‘슈퍼셋 테크 스택’ 기반 볼보 ES90 주요 기술 공개
-
앨리슨 트랜스미션, 아탁 탈라스 아태지역 영업 총괄 승진 임명
-
한국타이어, 2025년 신년 간담회 개최
-
GS글로벌, BYD 1톤 전기트럭 T4K 리스 상품 출시
-
뉴 MINI 컨트리맨,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년 올해의 디자인’ 부문 선정
-
KGM,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
[컨슈머인사이트] ‘EV3’ ‘코나 EV’ 안 사고 ‘아토3’ 살 사람은?
-
렉서스 LM 500h,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 올해의 유틸리티’ 수상
-
HS효성더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방배 서비스센터 신규 오픈
-
현대차 호세 무뇨스 CEO, 임직원과 첫 타운홀 미팅… “협업과 도전 강조”
-
미국 수소 전기차업체 니콜라 파산 보호 신청
-
토레스 하이브리드 3000만 원대 출시 예고 '실주행 연비 대폭 개선'
-
스텔란티스 '레벨 3' 주행보조시스템 공개… 개발 완료했지만 출시는 아직
-
[EV 트렌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컴퓨팅' 볼보 ES90 내달 5일 출시 예고
- [유머] 자기 컴퓨터 선 정리 한 거 자랑하는 레딧 유저
- [유머] 계곡 바베큐 대참사
- [유머] 유치원 졸업 현수막
- [유머] 사모아인 중학생들의 맞짱
- [유머] 7900원짜리 도시락 퀄리티
- [유머] 두리안 냄새맡은 댕댕이 반응
- [유머] 인터넷 쇼핑 특징
- [뉴스] '무형문화재 '용고' 찢어지고 영빈관 바닥은 깨져'... 윤석열이 개방한 청와대 상태
- [뉴스] ''후보 수락' 연설 듣고 눈시울 붉어져'... 이재명 '반대'하던 논객의 변화
- [뉴스] 삼성, 청년의 꿈 지킨다... '삼성 고시' 30주년에도 대규모 공채
- [뉴스] 영화 속 연인에서 실제 부부로... 우지현♥이태경 배우 부부 탄생
- [뉴스] 손태영, 건강 적신호...권상우도 걱정 '둘째 낳고 빈혈 심해져'
- [뉴스] '손잡이 닦고 내렸냐?'... 김나영이 올렸다가 '공중도덕 논란' 일어 빛삭한 '엘베 사진'
- [뉴스] '갑질 의혹' 벗은 강형욱, 가수 이찬원 도움받아 '복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