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59지난해 1~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25.9% 증가 '中 BYD 2배 성장'
조회 2,03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1-07 17:25
지난해 1~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25.9% 증가 '中 BYD 2배 성장'
사진=현대자동차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지난해 1~11월 글로벌 시장에 판매된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가 약 1559만 대로 집계되며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먼저 중국 BYD가 전년 동기 대비 43.4% 늘어난 367만 3000대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BYD는 중국 내수에서 송(Song), 시걸(Seagull), 친(Qin) 판매량이 호조를 나타냈고, 해외 시장에선 아토 3(Atto 3), 아토 4(Atto 4), 돌핀(Dolphin)이 판매량 호조를 나타내며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했다. 또한 덴자(Denza), 양왕(Yangwang), 팡청바오(FangCheong Bao)와 같은 서브 브랜드를 연이어 출시하며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사진=SNE리서치
BYD는 유럽, 아세안 5국, 남미 지역에서 가격 경쟁력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고 점차 높아지는 관세 장벽에 대해서는 수직통합적 공급망 관리로 마진 조정을 확대하고 있어 지속적인 글로벌 판매량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이어 판매량 2위는 미국 테슬라가 전체 판매량의 95%를 차지하는 모델 3와 모델 Y 감소와 함께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판매를 기록했다.
특히 유럽에선 전년 동기 대비 12.9%, 북미에서는 7.0% 감소한 판매량을 보였다. 테슬라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2.9%p 줄어든 10.2%로 1위 BYD와 격차는 전년 7.6%p에서 10.2%p로 늘었다.
3위는 중국 지리그룹으로 경형 전기차 판다 미니(Panda Mini)가 내수 시장에서 12만대 이상 판매되고, 뒤를 이어 프리미엄 브랜드 지커의 지커 001(ZEEKR 001) 또한 약 9만 9000대 판매를 기록해 순위권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인 59.3%를 기록했다.
사진=SNE리서치
이 밖에도 4위는 상하이차그룹으로 90만 대, 5위는 폭스바겐그룹 89만 4000대를 판매했다. 폭스바겐그룹은 2023년 점유율이 3위(7.2%)기록했지만 2024년 해당 기간에는 5.7%로 순위가 두 계단 하락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51만 대로 7위를 차지했다. 시장 점유율은 4.2%에서 3.3%로 하락하고 주력 판매 모델인 아이오닉 5와 EV6 판매량 부진이 역성장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편 조사 기간 지역별 전기차 판매는 58.8%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 중국이 세계 최대 시장 자리를 견고히 유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39.7%를 기록한 중국은 전세계 전기차 성장률을 견인했다.
전기차 캐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유럽의 경우 전기차 인도량이 전년 동기 대비 0.8% 역성장을 나타낸 반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했다.
사진=BYD코리아
유럽연합이 자동차 유로7 규제를 완화해 유럽 완성차 업체의 부담을 줄였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확정되어 전기차 판매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전반적으로 유럽의 전동화 속도가 늦춰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북미 지역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성장률을 기록하며 165만 3000대 판매를 기록했다.
한편 SNE리서치는 주요 전기차 시장인 미국과 유럽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산 전기차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관세 장벽을 높이고 자국 전기차 산업 보호에 나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기존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간의 가격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는 동시에, 자율주행 기술과 같은 신사업을 발굴하며 전기차 시장의 대중화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훈기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GM 한국사업장, 철수 루머에 무대응 방침 … 신차 출시 계속될 것
[0] 2025-04-16 17:25 -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 신기술 10종 공개...맞춤형 영업 활동 수주 2억불 목표
[0] 2025-04-16 14:25 -
볼보트럭, 국제 환경기업 프리제로에 전기트럭 35대 공급... 배출가스 제로 전환
[0] 2025-04-16 14:25 -
'완벽한 진화' 캐딜락 간판급 풀사이즈 SUV, 더 뉴 에스컬레이드 국내 출시
[0] 2025-04-16 14:25 -
'재미' 담은 미니 韓 진출 20주년 신규 브랜드 영상 공개
[0] 2025-04-16 14:25 -
기아, 오션클린업 글로벌 파트너십 뉴스위크 선정 '올해의 지속가능경영' 부문 수상
[0] 2025-04-16 14:25 -
‘렉서스 크리에이티브 마스터즈 어워드 2025’ 최종 수상자 5인 선정
[0] 2025-04-16 14:25 -
현대차, 올해 10주년 ‘1인 나무1기부‘ 포레스트런 2025' 캠페인 실시
[0] 2025-04-16 14:25 -
한국타이어, '포뮬러 E’ 모터스포츠 DNA 담은 아이온 온라인 한정판 출시
[0] 2025-04-16 14:25 -
제프 베조스가 투자하는 저가형 전기 픽업 '슬레이트' 첫 티저 공개
[0] 2025-04-16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CES 2025] '이대로만 나와라' 2026년 북미 판매, 혼다 0 살롱 & 0 SUV 공개
-
'직관적 · 인체공학적 · 운전자 중심 제어' BMW 파노라믹 iDrive 최초 공개
-
콘티넨탈, 윈도우 프로젝션 솔루션 CES 공개...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
'제네시스 G80 블랙' 판매 개시, 고급스러운 디자인 강조한 럭셔리 세단
-
스크린에 빠진 타이거 우즈, 제네시스 스크린 골프 리그 ‘TGL’ 공식 개막
-
'세계 최초, 세계 유일, 세계 최대' 현대차, 아마존서 장바구니 담기 가능
-
[EV 트렌드] 유럽 자동차 시장 풍향계 독일...전기차를 잃어버린 한 해
-
[CES 2025] 소니혼다모빌리티 '아필라 1' 내년 출시... 1억 3000만원
-
중국 자율주행차의 신박한 기술, 폭 2.5m 거대한 포트홀 날아서 통과
-
지난해 1~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25.9% 증가 '中 BYD 2배 성장'
-
[EV 트렌드] '빠르면 올 연말 공개' 페라리 첫 순수전기차는 크로스오버
-
CES 2025 - AI 주도권 쥐기 위한 엔비디아의 결과물
-
엔비디아, 글로벌 모빌리티 리더들과 자율주행 기술 협력 발표
-
CES 2025 - 지커, 고객 중심의 기술과 모델 라인업 공개
-
CES 2025 - 지커와 퀄컴, 차세대 스냅드래곤 콕핏 플랫폼으로 기술 협력 강화
-
2024년 수입차 판매, 하이브리드 차량 성장과 테슬라 약진
-
2025년 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는?
-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 신년사, 혁신을 향한 의지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기회를 창출
-
미래 도시를 위한 살아있는 실험실 '도요타 우븐시티' 올 가을부터 입주
-
스텔란티스에 속한 지프와 램, 딜러 10명 중 7명이 못 믿는 브랜드 1위
- [유머] 신뢰버튼 vs 배신버튼
- [유머] 의외로 남자들도 잘모르는것들.jpg
- [유머] 쌀숭이들의 식당비유
- [유머] 일본의 장어덮밥 도시락
- [유머] 챗지피티야 이세상에 없는걸 그려봐
- [유머] 남자애 둘이 나 때문에 싸워
- [유머] 로또 당청됐어요
- [뉴스] 다섯째 생긴 비글부부 하준맘... '다낭성' 이겨낸 기적의 임신 소식
- [뉴스] 불륜설 정면 돌파한 최여진... 끝내 눈물로 털어놓은 속마음
- [뉴스] '돌아갈 곳 없다'…추성훈, 일본서 알린 슬픈 소식
- [뉴스] 돌반지까지 팔았다... '연매출 700억' 와플대학 CEO 손정희의 처절했던 실패기
- [뉴스] 교도관 얼굴에 '침' 뱉었다가... 징역 1년 추가 선고받은 수형자
- [뉴스] 17년만에 JYP 떠나며 전직원에게 선물+손편지 전달한 이준호
- [뉴스] 수전설비 들어가 감전사한 고양이... 아파트 372 세대는 '정전' 소동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