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58[기자 수첩] 남한 면적 98배, 미국 전기차 주행 거리도 닛산 리프 정도면 충분
조회 4,136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3-03 11:25
[기자 수첩] 남한 면적 98배, 미국 전기차 주행 거리도 닛산 리프 정도면 충분
미국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44.5배다.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 면적 22만 952km²를 기준으로 했을 때다. 미국은 알래스카를 합쳐 983만 3517km²로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세계 3위의 국토 면적을 갖고 있다. 남한 면적으로 하면 98배의 거대한 땅을 갖고 있다.
미국 델라웨어 주립대가 국제학술지 MDPI에 발표한 최근 논문은 이 거대한 땅에서 운행하는 전기차 배터리가 300마일(482km) 이상 거리를 충족시킬 필요가 없다고 결론을 내린다. 애틀랜타 지역 333대의 차량 운행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과다.
논문은 기꺼이 GPS를 장착하고 데이터 수집에 응해준 운전자들의 차량 사용 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37.9%의 차량이 40kWh 배터리를 탑재, 1회 충전으로 341km 주행이 가능한 닛산 리프만으로도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었다고 지적한다. 미국에서 2만 8040달러(3688만 원)부터 시작한다.
논문은 일반 차량의 운행 패턴을 전기차 시나리오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 운전자는 300마일 이상 주행이 가능한 모델이 필요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미국 운전자는 하루 평균 1시간 이내, 35마일(56km) 이내의 거리를 운행한다. 전기 충전 인프라 부족에도 짧은 시간 충전이 가능한 거리이고 닛산 리프만로도 1주일간 추가 충전없이 사용 가능한 거리다.
우리나라 자동차가 하루 주행하는 거리는 미국보다 짧다.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승용차 1일 평균 주행 거리는 33.9km다. 사업용 승용차 주행 거리도 71.5km다. 그런데도 요즘 등장하는 전기차 대부분이 70~80kWh급 대용량 배터리로 주행 거리를 늘리는 일에 경쟁하면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1회 충전으로 837km를 주행할 수 있는 루시드 에어는 118.0kW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했다. 가격은 2억 원대 중반이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포드 머스탱 마하-E는 주행 거리 224마일(360km)에 가격이 4만 5000달러(5900만 원)부터 시작한다.
77.4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현대차 아이오닉 5는 최대 458km를 주행할 수 있다. 서울시 평균 주행 거리로 보면 1회 충전으로 10일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58kWh 배터리를 탑재한 아이오닉 5 기본형은 롱레인지(417km) 대비 1000만 원 이상 저렴하지만 주행 거리 336km로 일상 사용에 충분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 장거리 주행이 필요할 때, 렌트카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전기차 가격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 이상이다. 배터리 용량을 낮추면, 전기차 가격을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튬을 포함한 희귀 광물의 사용을 줄이고 전력 생산을 위한 탄소 배출량도 그만큼 낮출 수 있다. 자동차 중량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따지면 배터리 무게를 줄인 전기차는 교통 안전에도 도움이 된다.
물론 전기차 상품성을 주행 가능 거리로 판단하는 소비자 인식, 부족한 인프라로 충전에 대한 불안감이 제조사의 대용량 배터리 탑재와 이를 통한 주행거리 경쟁을 유발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하루 평균 운행 거리가 40km를 넘기지 못하는 우리 일상에 더 필요한 전기차는 지금보다 낮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보급형 모델이다.
전기차 제조사는 그런데도 배터리를 핑계로 차량 제조 단가를 부풀리기 위해 대용량 배터리, 기록적인 주행 거리를 상품성으로 포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용량을 일반적인 전기차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면 기본 가격을 3000만 원대로 낮출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지금의 방식처럼 전기차 보조금을 차량 가격뿐 아니라 배터리 용량을 우선해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닛산, 상하이 모터쇼에서 첫 PHEV 픽업 '프론티어 프로' 공개
[0] 2025-04-25 17:25 -
현대차, 美 관세 대응 전담조직 신설… 투싼 일부 생산 미국으로 이전
[0] 2025-04-25 17:25 -
트럼프 행정부,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발표… 테슬라 로보택시 상용화에 탄력
[0] 2025-04-25 17:25 -
기아, 2025년 1분기 매출 역대 최고치 경신… 전기차·하이브리드 확대
[0] 2025-04-25 17:25 -
[시승기] '풀하드웨어' 최첨단 장비 가득, 5세대 부분변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0] 2025-04-25 14:25 -
[EV 트렌드] '18분이면 충전 끝' 스텔란티스, 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예고
[0] 2025-04-25 14:25 -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안심 가격 보장제 실시...위탁판매 및 가격 정찰제
[0] 2025-04-25 14:25 -
[2025 상하이오토쇼] 벤틀리, 컨티넨탈 GT · 플라잉스퍼 아주르 라인업 공개
[0] 2025-04-25 14:25 -
KGM, 드라이브 페스타 '토레스 하이브리드' 120시간 스페셜 시승 실시
[0] 2025-04-25 14:25 -
현대차·기아, 협력사 채용 지원 동반성장 프로그램 '2025 Here We GO!' 실시
[0] 2025-04-25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LG전자, 차량 사이버보안 인증으로 글로벌 전장시장 공략 속도낸다
-
PGA 투어 ‘2023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 성황리에 마쳐
-
중국 BYD, 유럽에 두 개의 새로운 딜러 추가 지정
-
BMW의 새로운 M 전용 모델 'XM'이 갖는 의미
-
BMW 모토라드, ‘GS 트로피 2024’ 개최지 나미비아 확정...9월 한국 대표팀 선발전 개최
-
한국타이어에서 맨투맨 티셔츠를! ‘마데인한국ㆍ할스바나' 컬래버레이션 의류 출시
-
볼보그룹, 볼보건설기계 창원공장에 100억 투자…전기 배터리팩 생산라인 착공
-
메기 얼굴 버리고 일자 눈썹 선택한 '쏘나타 페이스리프트' 광고 찍다 딱 걸렸네
-
239. 배터리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전쟁
-
한국자동차연구원, 2022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9.9%
-
리텍, 1톤 전기노면청소차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
아주자동차대, BMW 드라이빙 센터에서 ‘진로탐색 멘토링 교육 프로그램’ 개최
-
BMW 그룹, 독일 라이프치히 공장에서 배터리 모듈 생산을 위한 셀 코팅 라인 가동 개시
-
한국앤컴퍼니와 씨엔티테크, 스타트업 투자 지원해 창업 생태계에 기여
-
작년 완성차 10대 중 1대 전기차, 시장 점유율 9.9% 기록...테슬라 압도적 1위
-
타이거 우즈 관심 집중 PGA 투어 ‘2023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 존 람 17언더파 우승
-
세상에 없던 차 'QM6 퀘스트' 괴이스러운 적재함 지붕 필요 없는 2인승 SUV
-
[EV 트렌드] 포르쉐, 타이칸 다음 전기차 '마칸 EV · 박스터 EV' 설원에서 포착
-
'전기차 배터리 자급자족' BMW, 독일에서 배터리 모듈 생산 위한 셀 코팅 라인 가동
-
기아, ‘UAE IDEX 2023'에 수소 ATV 콘셉트카 해외 최초 공개 및 소형전술차량 전시
- [유머] 두리안 냄새맡은 댕댕이 반응
- [유머] 인터넷 쇼핑 특징
- [유머] 공업사 못 믿어서 직접 도색한 차주
- [유머] 고등학교 교복 인증 레전드
- [유머] 배트맨이재용
- [유머] 싱글벙글 도시락
- [유머] 있을때 잘해라
- [뉴스] 한국 최고령 유튜버 탄생... 선우용여, 81세에 유튜브 도전한 진짜 이유
- [뉴스] '그대여, 아무 걱정 말아요'... 文, 기소 다음날 김 여사와 다정한 사진 올려
- [뉴스] 영어유치원 입학 위한 '4세 고시' 열풍 일더니 결국... 강남 아이들 '심각한 상황'
- [뉴스] 이주빈♥이동욱, 거침없는 스킨십 포착... '잘 어울린다'
- [뉴스] '이웃집 개 시끄럽다' 항의 들은 식당 주인, 7마리에 독 먹여 죽였다
- [뉴스] '보육원에 애들 맡기고 바람 피우냐' 별거 중인 아내 찾아가 때려 죽인 30대 남성
- [뉴스] 이재명 '아무리 정치보복 안 한다고 해도 안 믿네... 시간낭비 안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