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358[김흥식 칼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그 이상...이것 고치면 '급가속' 잡는다
조회 2,524회 댓글 0건
![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2024-10-07 17:25
[김흥식 칼럼]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그 이상...이것 고치면 '급가속' 잡는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하루가 멀다고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고 소식이 들린다. 가장 최근 서울 강남 아파트 단지에서 차량 여러 대를 파손한 벤츠 사고에서도 70대 여성 운전자는 '급발진'을 주장했다.
국정감사 시작과 함께 국감자료를 갖고 그동안 급발진 의심 사고가 얼마나 됐고 자동차 제조사 책임으로 밝혀진 사례가 단 한 건도 없었으며 페달 오조작을 막기 위한 정부 예산이 어떻게 한 푼도 없을 수 있냐는 따위의 관련 기사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까지 나서 차량의 기계적, 전자적 결함이 급발진 원인이 될 수 있으며 EDR(주행 기록장치)을 믿을 수 없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페달 블랙박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로 급발진 의심 사고를 막을 수 있다며 강제로 달게 하자는 얘기까지 나온다.
급발진을 주장한 사고가 페달 블랙박스 영상을 통해 운전자 실수라는것이 명백해진 몇 건의 사례가 인식에 변화를 주기는 했다. 자동차 결함을 떠 오르게 하는 급발진 대신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으로 표현을 달리하고 있지만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사고를 막는 대책을 얘기하면서 가장 많은 사례로 드는 것이 일본이다. 우리보다 빨리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은 10년 전부터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를 달기 시작했고 덕분에 급가속에 따른 사고가 절반 이상 줄었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도 달자는 주장이다.
이런 장치를 서둘러 강제화하기 이전에 우리가 생각해 볼 것이 있다. 고령 운전자의 빠른 증가, 페달 조작 실수로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이 발생하는 사례가 압도적인 만큼 기계적 장치의 도움없이 이런 실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다.
올바른 운전 자세로 페달 오조작 방지
가장 주목할 부분이 페달을 조작하는 발의 위치다(아래 영상 참조).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있는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운전자 발의 위치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과 직선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발뒤꿈치를 축으로 오른쪽으로 회전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한다. 바닥 매트에 있는 흔적으로 자신의 발이 평소 어떤 위치에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급발진을 주장한 사고 차량의 페달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운전자 대부분이 브레이크가 아닌 가속 페달과 직선에 있는 발로 연속해 밟으면서 가속이 이어지고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발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으면 페달 오조작 순간에도 곧바로 대응이 가능해진다.
설령 자동차의 어떤 결함으로 발생하는 급가속 현상도 구조적, 공학적으로 브레이크가 이겨내지 못할 것은 없다. 1000마력의 출력을 가진 고성능차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무조건 선다. 제로백 2초대의 슈퍼카도 별 수가 없다.
페달 오조작이든 기계적 결함이든 페달을 조작하는 발의 위치가 브레이크 페달과 직선에 놓는 기본적 바른 자세만 갖고 있어도 어떤 형태나 원인으로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대부분은 충분히 막을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 자세가 운전대를 잡는 팔의 위치다. 시트 위치를 조절해 조금 구부러진 상태에서 페달을 밟고 있는 발의 위치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운전대에 너무 바싹 붙어 운전하면 가속이든 브레이크 페달이든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면서 의도하지 않은 급제동, 급가속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이 터지면 심각한 2차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하지만 주변에서는 브레이크가 아닌 가속 페달과 직선에 발을 놓고 운전을 하고 팔이 거의 90도로 꺾인 상태로 앞으로 바싹 당겨진 시트에서 운전하는 모습을 너무 쉽게 볼 수 있다.
1000개 문제 은행, 올바른 자세 묻는 항목 없어
운전면허를 손에 쥘 때까지 누구 하나 가르치지 않았으니 당연한 일이다. 우리는 13시간 동안 기본적인 운전 방법과 일부 법규, 기기 조작 요령 등을 이론과 실기를 거쳐 확인하면 운전면허를 취득한다. 주요 선진국 가운데 가장 짧은 시간, 간단하게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한 나라다.
문제는 이 짧은 면허 취득 과정에서조차 '올바른 운전 자세'를 묻는 과정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이 올해 7월부터 시행하는 운전면허 학과 시험 문제 은행 1000개 가운데 운전을 하기 전 안전 운전을 위한 바른 자세를 묻는 항목이 단 한 개도 없다.
기능 시험에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리는 것 말고는 팔과 운전대의 간격, 운전대를 어떻게 잡는지, 다리와 발과 페달과의 위치, 시선을 어디에 고정하고, 등받이, 헤드레스트 위치 등 안전한 운전에 필요한 올바른 자세를 숙지하거나 알리는 과정이 전혀 없다.
무엇보다 페달 조작 방법에 대한 교육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자동차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페달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전부다. 그래서 많은 운전자들이 안전 운전을 위해 반드시 익혀야 할 올바른 자세를 무시한 채 운전한다.
언제 상용화가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자율주행 자동차 운전자의 마음가짐'을 묻는 이론 시험 항목보다는 '다음 중 페달을 조작하는 발의 위치 가운데 가장 올바른 것은'을 묻는 것이 교통사고를 줄이는 데 더 효과가 있지 않을까?
뜬금없는 페달 블랙박스 장사꾼에 놀아날 것이 아니라, 페달오조작방지장치보다 효과가 확실한 올바른 운전 자세를 면허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확실하게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최신글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저돌적 그리고 공격적으로 변신한 타스만, 기아 'UAE IDEX 2025' 참가
[0] 2025-02-17 14:25 -
푸조, 작년 전기차 2배 증가...올해 본격적인 성과 창출의 원년 될 것
[0] 2025-02-17 14:25 -
설원 질주, 도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팀 '2025 WRC 스웨덴 랠리’ 우승
[0] 2025-02-17 14:25 -
포르쉐보다 빨랐다! 샤오미 SU7 울트라 상하이 랩타입 신기록 달성
[0] 2025-02-17 14:25 -
현대차그룹, 사외 스타트업 발굴 2025년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모집
[0] 2025-02-17 14:25 -
현대차그룹 대학생 사회공헌 교육봉사단 ‘H-점프스쿨’ 12기 발대식 개최
[0] 2025-02-17 14:25 -
렉서스, 어떤 길도 편안하고 품위있게 ‘디 올 뉴 LX 700h’ 사전 계약 실시
[0] 2025-02-17 14:25 -
[EV 트렌드] 세단도 해치백도 아닌 '혁신적 유선형' 기아 EV4 디자인 공개
[0] 2025-02-17 14:25 -
SUV의 나라 캐나다 인정 '싼타페·아이오닉 5 N' 2025 올해의 차 석권
[0] 2025-02-17 14:25 -
[칼럼] 한국, 中 자동차 생산 기지화 속도... 마이너 3사의 운명은
[0] 2025-02-17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인도 최초의 전기 SUV 쿠페 '타타 커브' 공개
-
[EV 트렌드] 폭스바겐그룹, 中 샤오펑 협력 확대로 2026년 첫 전기차 출시
-
서비스 기술 입증, ‘아우디 트윈컵 2024 월드 챔피언십’ 에프터 세일즈 부문 2위 차지
-
테슬라, 자동차 매출 7% 감소...예상보다 부진한 수익에 주가 하락
-
'2개의 심장' 람보르기니 최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우루스 SE 국내 출시
-
빈패스트, 필리핀 시장 진출... 첫 모델은 'VF 5'
-
'공식 출시 이전부터 돌풍' KG 모빌리티 액티언 실내 디자인 공개
-
GM 한국사업장 '고품질 서비스' KSQI 자동차 A/S부문 6년 연속 1위
-
지프 최초 순수전기차 '어벤저' 사전계약 돌입… 54kWh 리튬이온 배터리 탑재
-
제네시스, 美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후원 협약...더 제네시스 파사드 커미션 후원
-
현대차·기아 로보틱스 ‘2024 레드 닷 어워드' 최우수상 2개 수상
-
'억소리' 나는 MPV… 쇼퍼드리븐 위한 렉서스의 제안 'LM 500h' 국내 출시
-
현대차 전기버스 ‘일렉 시티 타운’, 유네스코 세계유산 ‘야쿠시마’서 운영
-
현대모비스, ‘미래차 전문가 양성’ 대학에 시험차 10대 기증
-
[스파이샷] 페라리 F250, 페라리의 차세대 하이퍼카
-
[EV 트렌드] 예상보다 늦어지는 기아 EV5 글로벌 판매 '소프트웨어 버그?'
-
포르쉐, 알루미늄 공급 차질 경고 '올해 매출 전망 390억 유로로 낮춰'
-
현대차, 인도네시아 '현대 EV 충전 얼라이언스’ 구축...민간 충전기 97% 이용
-
현대차 전기 버스 '일렉 시티 타운' 유네스코 세계 유산 日 야쿠시마 달린다
-
한국지엠 노사, 2024 임단협 잠정합의안 도출...기본급10만 1000원 인상
- [유머] 연봉이 1억인 정원사의 솜씨
- [유머] 1년과 맞 바꾼 1800만원
- [유머] 해외에서 논란 터진 펩시 제로
- [유머] 한국의사들이 투덜대는 의료소송 팩트체크
- [유머] 위험한 아마존
- [유머] 삶이 망가지고 있다는 신호
- [유머] 사기인줄도 모르고 당하는 부동산 사기
- [뉴스] 이민호에 '내 남편' 기행 이어간 박봄... 팬들 '2NE1 활동 제외시켜라' 요구
- [뉴스] '이수지 대치동맘 보고 왔다'... 뒤늦게 조회수 터진 '공구' 인플루언서 '슈블리맘' 영상
- [뉴스] 국세청에 강도 높은 '세무조사' 받은 이하늬... 역대 최고액 '60억' 추징당해
- [뉴스] '아침에 2가지 꼭'... 47kg 김준희, 급 살쪄도 바로 빠지는 비결 공개
- [뉴스] 태극전사들 유럽서 줄줄이 우승 예고... '김민재·이강인부터 양현준·설영우까지' 트로피 사냥 나선다
- [뉴스] 현대백화점 입점 매장, '살충제 성분' 기준치 초과 우롱차 판매... '즉각 환불 조치'
- [뉴스] '로또 1등' 안산 한 복권방서 5장 나와... 동일인이면 64억 '잭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