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69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9-19 15:00
[EV 트렌드] 테슬라, 4680 배터리셀 공개 4년 만에 누적 생산 1억 개 돌파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차세대 원통형 '4680' 배터리셀의 1억 개 누적 생산 이정표를 달성했다. 테슬라는 매일 약 50만 개의 4680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시간으로 18일, 일부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사 기가팩토리에서 1억 번째 4680 배터리셀이 생산됐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9월, 테슬라가 첫 공개한 4680 배터리셀은 직경 46mm, 높이 80mm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 배터리셀 보다 약 2배 가까이 큰 크기에 내부 공간을 최대화하고 양극에 더 많은 실리콘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셀을 차량 설계의 구조적 요소와 통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관련 업계는 테슬라의 4680 배터리셀이 궁극적으로 2만 5000달러, 한화 약 3000만 원대 저가형 전기차 개발을 가능하게 할 핵심 요소로 판단했다.
앞서 테슬라는 지난 6월 5000만 번째 4680 배터리셀을 생산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101일 지난 후 그 생산량을 2배로 늘려 최근 1억 개 누적 생산 이정표를 달성한 것.
테슬라의 4680 배터리셀 생산 이력을 살펴보면 생산 속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테슬라는 2022년 1월 처음으로 100만 번째 4680 배터리셀 생산을 축하하고 2023년 6월에는 1000만 개 축하를 기념했다. 이는 한 달간 약 56만 2000개를 생산했단 의미로 이후 테슬라는 1년 후인 지난 6월 5000만 번째 셀을 생산하며 월 평균 83만 3000개로 셀 생산 속도를 높여왔다.
여기에 최근 1억 개 누적 생산 이정표를 달성하며 일평균 49만 5000개 셀을 생산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테슬라는 지난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최초의 건식 양극 4680 셀의 검증 테스트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해당 테스트 대상은 프로토타입 사이버트럭으로 알려졌다.
최근까지 꾸준하게 증가하는 4680 배터리셀의 생산 속도를 감안하면 테슬라는 건식 양극 배터리셀 생산에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해당 속도의 증가가 건식 양극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기존 생산 방식의 셀을 늘리고 있는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테슬라는 현재 약 6만 대 사이버트럭을 생산할 수 있는 4680 배터리셀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업계는 테슬라의 4680 배터리셀 생산을 늘리는 것이 라인업 전반에 걸쳐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분석하고 회사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판단했다.
앞서 일부 외신은 지난 7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4680 배터리 개발 부서에 올 연말까지 비용을 낮춰 대량 생산을 못 하면 4680 배터리셀 자체 생산을 포기할 수 있다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4680 배터리셀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음극에 건식 코팅을 사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전지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하지만 테슬라는 음극에서 해당 기술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해 대량 생산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져 왔다.
테슬라의 4680 배터리셀 대량 생산과 관련된 장애는 지난해 말 처음 제기되고 당시 일부 외신은 해당 배터리를 대규모로 생산할 경우 다량의 열이 발생해 음극에 있는 건식 코팅의 접착제가 녹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훈기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14억 인도 틈새시장 개척… 2025년 출시 기아 신규 크로스오버 '시로스'
-
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수입차 5시리즈, 올해 수입차 최초 단일 트림 판매 1만대 돌파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첫 달부터 중형 하이브리드 시장 30% 점유
-
'캐즘이 뭔데?' 10월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35% 증가… 중국 판매는 여전
-
현대차, 아이오닉 9 실내 디자인은 '아늑하고 유연한 라운지' 연상
-
람보르기니, 중국을 위한 딱 1대 '레부엘토 오페라 유니카' 원오프 공개
-
현대차, 유엔여성기구와 여성역량강화 성평등·다양성 존중 조직문화 강화
-
'520i에 빠진 한국' BMW 5시리즈 수입차 최초 단일 트림 판매 1만대 돌파
-
韓 승용차 시장 진출하는 中 BYD '국내 출범 공식화'… 2025년 초 판매 돌입
-
현대차 '아이오닉 9' 양산 버전의 전면 디자인… 콘셉트카 그대로 재현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10월 중형 하이브리드 SUV 점유율 30% 돌파
-
기한 지나면 과태료…운전면허 적성검사 및 갱신 방법 살펴보니
-
현대차, 울산시와 수소 생태계 조성 협력
-
유럽 제조사들의 위기, 더욱 첨예해진 중국과의 대립
-
[영상] BYD 아토 3, 유로 NCAP 보조 시스템 평가에서 미흡한 결과
-
뮤카, 중고차 업계 최초 '구독형 유예할부' 선택지 확대
-
'도요타의 물타기 전략' 2030년까지 중국에서 연간 300만 대 생산 계획
-
포드코리아, 더 뉴 포드 익스플로러 출시
-
한국자동차안전학회, 페달오조작 및 전기차 화재 예방 관련 심도있는 논의
-
[탐방] BMW 안성 부품물류센터, 고객만족과 안전 위해 2천억 투자한다 (1)
- [유머] 렌탈 여동생
- [유머] 키스하기 좋은 날
- [유머] 현상금 200억 걸린 아줌마
- [유머] 긴급상황시 즉시 신고바랍니다
- [유머] 치킨 100조각 먹은 쯔양 혈당 상태
- [유머] 절묘한 사진
- [유머] 2030 연애근황
- [뉴스] 세력 약해졌던 태풍 '꼬마이', 되살아났다... 휴가철 날씨에 큰 변수 생길 듯
- [뉴스] 수해 복구 현장서 일손 보탠 정청래... SNS에 사진 '300장' 공개
- [뉴스] '어닝 서프라이즈' SK하이닉스, 직원 3천여명에 상여금 쏴... '자사주 116억 처분'
- [뉴스] [속보] 尹, 김건희 특검 소환 불응... 소환조사 끝내 무산
- [뉴스] '차 새로 산다며, 뭐 살지 정했어?'... 요즘 신차 10대 중 1대는 '전기차' 선택
- [뉴스] 고양 육군부대서 '다문화 병사' 따돌림 정황... 일기장에 담긴 비참한 일상 (영상)
- [뉴스] '신천지 경선 개입 주장' 홍준표 '폭로 이유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