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43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6-24 17:25
[김흥식 칼럼] 독일 자동차가 가장 큰 시장을 잃게 될 위기에 처했다.
AI로 생성한 이미지임
중국과 유럽 대치가 심상치 않다.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를 노골적으로 배제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내놨을 때만 해도 중국 대응은 멕시코 등 생산지 우회로 대안을 몰색하거나 이참에 현지 생산 시설을 짓겠다는 정도였다. 어떻게든 맞대응이 아닌 자구적 해결책을 찾았다.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에 38.1%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자 강도가 다른 대응을 하고 있다. 중국 완성차 업계는 중국 정부와 비공개회의를 갖고 2.5ℓ 이상 유럽산 대배기량 차량에 고율 관세 부과를 요구했다. 보복 관세라는 직접 대응에 나선 셈이다.
중국 정부는 유럽산 자동차에 최대 25% 관세 부과를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업체들은 손해 볼 것이 없다는 점에서 반긴다. 반면, 유럽 업체들이 중국 전기차 관세 부과를 추진하는 유럽연합(EU)에 반발하는 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 심기를 건드려 보복 관세가 현실화하면 특히 프리미엄, 슈퍼카 제조사들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는 것이 이유다. 특히 중국 시장 매출 비중이 큰 메르세데스 벤츠, BMW, 폭스바겐, 포르셰 등 독일 업체들의 걱정이 매우 크다.
작년 기준 이들 독일 업체들의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이다. 벤츠의 경우 10대 가운데 3대를 중국에서 팔았고 독일 생산차 비중도 20%에 달했다. 일부 모델은 중국 현지에서 만들고 있다.
BMW도 비중이 비슷하고 전기차를 비롯해 중국 브랜드와 협력하는 사업도 여럿이다. 중국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폭스바겐은 걱정이 태산이다. 중국 시장 점유율이 14.5%로 외국계 가운데 가장 많을 뿐 아니라 그룹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30% 이상이다.
포르쉐, 페라리, 롤스로이스, 벤틀리 등 슈퍼카와 럭셔리카 브랜드의 가장 큰 시장도 중국이다. 아직은 내연기관차로 돈을 벌어야 하고 이를 전기차에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 시장 경쟁력을 잃게 되는 더 큰 역풍을 맞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반면, 미국 업체들은 중국 시장에 흥미를 잃은지 오래다. 중국 독자 브랜드의 발전과 이에 맞물린 애국 소비, 저가의 전기차가 쏟아져 나오면서 미국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누적 기준 7.4%에 불과하다. 2011년 기록한 14%대의 절반 수준이다.
오죽하면 미국의 저명한 애널리스트가 빅3에게 '하루라도 빨리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이 살 길'이라고 했을까. 버틸수록 손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마당에 중국산 전기차를 어떤 방법으로 견제하고 이에 중국이 어떤 대응을 해도 상관없는게 미국이다.
하지만 유럽, 특히 독일은 다르다. 독일 자동차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올해 누적(1월~5월) 기준 16.6%, 대수도 162만대나 된다. 만약 중국 정부가 고율의 보복 관세를 실제 적용한다면 이 가운데 30% 이상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과 미국에 이어 중국과 유럽의 관세 전쟁에 우리 새우등이 터지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최근 만난 국산차 유럽 지역 임원은 '무엇보다 가격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했다. 중국에서 팔지 못하게 되는 차, 유럽에서 팔기 어려워진 차들이 한국을 새로운 수요처로 보고 저가 공세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것, 결국 가격 경쟁력이 생존의 조건이라는 얘기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상이란 상 다 휩쓰는 현대차그룹 전기차, 최근 6개월 동안 월 평균 8개
-
폭스바겐 美 공장 전미자동차노조 가입 투표 임박...외국계 완성차 공장 초긴장
-
메르세데스-AMG, 포르쉐 '타이칸 터보 GT' 정조준 1000마력 전기 세단 개발
-
벤틀리, 비욘드100 전략 높은 평가 '영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자동차 회사’ 선정
-
'완벽한 변신' PPE 플랫폼 신규 적용한 아우디 'Q6 E-트론' 완전공개
-
기아,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핵심 인재 12개 부문 19개 직무 채용
-
현대차, MLB 월드투어 서울 시리즈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등 18대 차량 지원
-
수입차 판매량 급감, 봄과 함께 할인폭 확대
-
BMW 코오롱 모터스, 구미 통합센터 새로 단장해 오픈
-
폭스바겐 브랜드 그룹 코어, 볼륨 브랜드 간 긴밀한 협력으로 2023년 실적 및 수익 개선
-
'왜 자동차 충돌 테스트는 64.3km/h 이하에서 실시?' IIHS 명쾌한 답변
-
르노코리아, 부산시 미래차 생산 투자양해각서 체결...향후 3년간 1180억 원 투자
-
NTSB, 치명적 사고 낸 포드 '머스탱 마하-E' 주행보조시스템 조사 착수
-
[EV 트렌드] '눈오는 밤길 주행에 취약' 테슬라 사이버트럭 헤드램프 불만 속출
-
현대차기아, 전기차 화재대응 첨단 소방기술 공동개발 협약...소방기술 법제화 추진
-
'전기차 가격 전쟁 참전' 中 샤오펑, 1800만 원대 저가형 브랜드 론칭 계획
-
현대차 '신형 싼타크루즈' 예고된 변화… 신선한 디자인으로 상품성 업그레이드
-
[김흥식 칼럼] 피바다, 학살...살벌한 美 대선 '그가 되도 고민 안 돼도 고민'
-
미국 교통안전위원회, ADAS 기능 채용된 포드 머스탱 마하E 관련 사고 조사 중
-
다임러트럭 북미법인, 전기 프라이트라이너 eM2 납품
- [유머] 바나나킥 대참사
- [유머] 사이클 경주대회 대참사
- [유머] 도끼 던지기의 달인
- [유머] 시험 망친 후 긍정적인 중학생 아들
- [유머] 바닥만 보고 달린 자전거
- [유머] 짱깨식 범죄자 모자이크
- [유머] 중학교 교사가 본 요즘 중학생 태도
- [뉴스] '10kg 감량' 씨스타 소유 '몸 너무 작아져 사람들이 못 알아보더라' (영상)
- [뉴스] 지창욱, 훈훈한 미담 전해졌다... '기가 막힌 타이밍에 우는 아이 손 잡아줘, 오빠 덕에 살았다'
- [뉴스] 생후 7개월 쌍둥이 살해한 아내... 남편은 모두 자기 탓이라며 '선처' 구했다
- [뉴스] 서장훈, 어머니 떠나보내고 후회의 눈물... '어머니 건강 못 챙겨준 것 자책'
- [뉴스] 그렉, 20년 전 사망한 약혼녀 떠올리며 울컥... '말하기 쉽지 않다'
- [뉴스] 냉부해 '꽁치 요리사' 맹기용 깜짝 결혼 소식 전했다... 신부의 정체는?
- [뉴스] 엄태웅, '9년 만 복귀' 앞두고 윤혜진과 러닝하며 폭풍 관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