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166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4-05 11:25
[뜨거운 희망, 양승덕의 국밥 기행 5] '심심하면서도 담백' 함평 장안국밥 feat BMW X5
함평 나비대축제 생태관(함평군 제공)
가수 윤도현은 앞길이 보이지 않아도, 추운 겨울이 힘겨울지라도 꿈을 찾아 세상을 자유롭게 날아오르는 나비를 노래로 동경했다. 왜 하필 나비였을까? 누군가에게 위로를 전하고 싶을 때 나비가 어울린다고 생각하고 써 내려갔을 가사를 생각하면 크게 틀리지 않았음을 동감할 수 있다.
고통스럽고 볼품없는 번데기 시절을 거쳐 화려한 날갯짓으로 꽃의 번식을 돕는 나비는 꿈과 희망의 상징인가 보다. 그래서였을까? 전남 함평군은 1999년부터 따뜻한 봄에, 함평천 고수부지 유채꽃밭을 배경으로 나비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가만가만 꽃밭 한가운데 서서 나비 멍(?)을 즐기다 보면 구름이 떠가고, 꽃이 하늘거리고, 형형색색의 화려한 나비들이 급격히 움직이는데 그 풍경이 호접몽의 기분 그대로다. 함평을 찾았을 때가 그랬다. 나비가 되어 꿈과 현실이 쉽게 구분되지 않았던 기분이 펼쳐지고 있었다.
함평 장안식당의 옛 모습이다. 장안식당은 오일장이 열리는 장마당 안에 있는 식당을 말한다.
봄 햇살이 지면에 쏟아지는 것을 보고 있으면 현기증이 났다. 함평 장안식당을 찾았을 때는 봄이 한창이었다. 두 번째 방문이다. 2017년에 처음 국밥 기행을 떠났던 날, 장안식당은 방문 우선순위였다. 허름한 옛집의 정취가 좋았다. 곱창 국밥은 곱창의 출신성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쫄깃하고 냄새 없이 담백했다.
그 곱창 국밥 맛을 잊지 못해 봄을 맞아 다시 갔을 때 그 자리에 식당은 없었다. 옛 정취를 머금고 있던 한옥 스타일의 식당은 하천 옆 번듯한 건물 1층으로 이사했다. 여전히 찾아온 나그네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안심할 수 있었다. 곱창 국밥, 이름이 낯설기는 하지만, 함평이 한우로 유명하다는 사실을 기억해 보면 호기심이 생긴다.
붉은 국물이 과하지도 약하지도 않은 첫인상을 풍기며 곱창 국밥이 상에 나오면 국물을 먼저 맛본다. 밥이 같이 말아져 있고, 그 위로 부추와 깨, 들깨가루, 곱창, 허파, 내장 고기들이 듬뿍 올려져 있다. 그 내용물이 부담스럽지 않을까 걱정하며 국물을 한 모금 입에 넣으면 부담 없는 담백함이 느껴진다. ‘뭐지?’ 하는 느낌이 목구멍을 통해 올라온다.
장안식당 곱창 국밥은 재료를 풍성하게 넣어 준다. 그래도 과하지 않은 담백한 맛이 난다.
된장이 풀렸음을 알 듯한 국물, 특유의 돼지 부속 고기는 냄새가 없어 거부감을 물리친다. 과한 양념이 너무 얼큰하거나 맵지 않을지 걱정되지만 편견이다. 심심하면서도 담백한 국물 맛은 곱창 국밥이라는 부담을 이내 극복하게 한다. 동글하게 오므린 곱창과 넓적하게 퍼진 허파 그리고 내장 고기가 지나치지 않게 제맛을 낸다. 국내산 재료를 정성껏 손질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양념이 몰리지 않게 골고루 저어서 먹어야 하고 고기를 부위별로 올려 먹다 보면 금세 뚝배기의 바닥이 보이기 시작한다. 한우가 유명한 동네에서 돼지 부속 내장 고기와 곱창을 재료로 이런 맛을 내는 것은 오랜 시간에서 나오는 내공 때문이리라. 장안식당의 이름은 예전에 함평 오일장이 서는 시장 안에서 장사를 해서라고 한다.
전남의 한적한 시골 동네에 오일장이 서면 값싼 재료를 듬뿍 넣어 구수하게 푹 끓인 곱창 국밥이 장보러 온 시골 인심에 인기였을 것이다. 세월이 느껴지는 국밥 한 그릇이 사람의 허기를 채우고 마음을 위로했을 것을 생각하면 국밥이 주는 묘미는 변하지 않아서 좋다.
소주 반병과 함께 먹기에 좋았던 허름한 한옥의 장안식당이 새롭게 단장을 했다.
그 변하지 않았던 묘미가 장안식당을 두 번째 방문했을 때는 조금 실망스러웠다. 허름한 한옥에서 먹던 곱창 국밥을 소주 반병과 함께 먹기에 좋았다면, 깨끗하게 옮긴 두 번째 식당에서는 소주 생각이 간절하지 않았다. 국밥만 먹고 빨리 일어서야 할 것 같았다.
그나마 그 맛이 그대로였으니 만족해야 했다. 아쉬움이 남아 천변에서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며 함평의 기운을 다시 살폈다. 아까 봤던 배추흰나비 한 쌍이 나풀거리며 강가를 산책하고 있었다. 현실에 얽매이지 않는 나비의 꿈을 꾸고 싶었다. [글과 사진 양승덕 / 정리 김흥식 기자]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로터스 에메야 S, 슈퍼카 아니면 명함도 못 내밀 두바이 경찰차 활약
-
'호기심 자극' BMW 신규 콘셉트카, 스카이탑에 슈팅 브레이크 버전
-
상용차 누적 3000대 달성, 현대차 강병철 영업이사 '판매 거장' 등극
-
[EV 트렌드] 전동화 품은 포르쉐 생산 거점 '라이프치히 팩토리'
-
1회 충전으로 1000km... 정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총 1824억원 투입
-
'왕의왕 귀환' 도요타 6세대 RAV4, 공격적으로 변한 티저 이미지 공개
-
中 전기차 상륙...'파란 일으킬 무기는 가격·성능'
-
토요타, 북미용 전기 SUV ‘bZ Woodland’ 공개… 2026년 초 출시 예정
-
마세라티 MSG 레이싱, 과감한 '피트 부스트’ 전략 도쿄 E-PRIX 역전 우승
-
[르포] 포르쉐 차징 라운지 '10%→80% 충전' 커피 한잔의 여유로 끝
-
[시승기] 괴물 같은 전기차, 포르쉐 타이칸 터보...놀랍도록 편안한 시속 200km
-
메르세데스-벤츠 ‘2024 딜러 어워드’ 한성모터스 ‘올해의 딜러사' 수상
-
전기차 보조금 제외 '폭스바겐 ID.5' 지역별 수준에 맞춰 자발적 지원 결정
-
지프가 모이면 총도 모인다... 美 행사에서 총기 소유자 등 275명 체포
-
[EV 트렌드] 10만 달러 주고 산 테슬라 사이버트럭, 1년 후 중고차값 반토막
-
현대차 월드랠리팀 타낙 “우린 동물처럼 다뤄졌다”… WRC 강행군 일정 비판
-
앞서지 않는 것이 없다. 기아 EV9, 전 세계 3열 SUV 최강자로 급부상
-
[칼럼] 고령 운전자 사고 40%를 줄인 이 장치, 日은 '신차 의무화'도 추진
-
작명을 잘 못했나? 전기차 전용 시리즈 개명 바람... 폭스바겐도 'ID.' 폐지
-
한국앤컴퍼니그룹, 전국 초등학교 대상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진행
- [유머] 쿠팡에 분노하는
- [유머] 63km 마라톤 생각보다 쉽던데요?
- [유머] 여자들은 잘모르는 남자가 제일 좋아하는 몸매
- [유머] 당근마켓 근황
- [유머] 지리는 필력
- [유머] 펠라치오를 제일 잘 한다는 민족
- [유머] 달걀 프라이 예술
- [뉴스] 올해 8월까지 체납액 2조원 넘어... 관세청, 체납자에 칼 빼들었다
- [뉴스] '이건 달렸네'... 가게 앞에서 담배 피우지 말라고 하자 젊은 남성 성추행한 80대 할아버지 (영상)
- [뉴스] 맨발에 슬리퍼 신고 사진 찍었다가... 팬심 뚝 떨어지게 만든 인기 남자 아이돌의 '사진 한 장'
- [뉴스] '절친' 송혜교와 함께 한 '생파' 인증샷 올린 김혜수... '훈훈한 투샷'
- [뉴스] '장례식에도 안 왔으면서'... 故오요안나 오빠, '검은 옷' 기상캐스터 추모에 분노
- [뉴스] '가방 옮겨주면 140억 줄게'... 애인 부탁에 '필로폰' 밀반입 시도한 60대 남성이 받은 처벌
- [뉴스] 배달음식 '바닥'에 내려놨다고 7만원 주문 '취소'한 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