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324
미래에도 전기에너지는 풍부할까?
조회 5,10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4-03 11:25
미래에도 전기에너지는 풍부할까?

현재 국내 전기차 대수는 약 57만대 수준이다. 전체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 약 2,600만대 대비 매우 적은 치수이나 앞으로 전기차 판매가 활성화되면서 생각 이상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기차협회장을 맡고 있는 필자입장에서는 앞으로 걱정되는 부분이 바로 늘어난 전기차에 충전하는 전기에너지에 대한 충분한 공급능력을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의 경우는 잉여전력이 있어서 야간을 이용한 심야 완속충전은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에도 좋고 가장 낮은 전기비용으로 할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전기차에 대한 전기에너지 공급 능력이 고민되는 부분이고 실제로 약 200만대 이상이 되면 시간대에 따라 공급량에 고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일본 등 다른 선진국의 경우 24시간을 시간대로 나누어 저가와 고가의 비용 차이가 10배가 넘게 구축하여 낮은 비용을 찾아가는 서비스로 만드는 것은 기본이라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이나 중국과 같은 단순한 시간대별 비용을 부과하는 것보다는 매우 복잡한 누진세 형태로 되어 있어서 고민이 되는 부분도 많다.
노르웨이는 우리 국토의 약 2.5배 크기에 인구밀도는 500만명 정도의 천연적 혜택을 받고 있는 국가이다. 특히 전기에너지의 약 97%를 수력발전소 등 무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자동차만 무공해차로 바꾸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완전한 무공해국가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미 약 6년 전 노르웨이 국회에서 세계 최초로 2025년부터는 자국 내에 판매하는 차종을 의무적으로 전기차 등 무공해차만 판매할 수 있는 조건으로 제도화하여 작년에 판매된 자국 내 자동차의 약 80%가 전기차 이었고 내년에는 완전한 내연기관차 판매가 금지되는 최초의 국가가 된다고 하겠다. 우리에게는 매우 부럽고 의미가 크나 어느 하나 참조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 상황이라 하겠다. 즉 우리나라는 생산되는 에너지 믹스가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좁은 국토에서 친환경 대체에너지인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도 한계지역이 많아서 완전한 대체가 불가능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현재 전제 전기에너지의 약 10% 미만만이 역할을 하고 있고 도리어 산악의 나무를 베고 태양광 전지의 폐기물 등 다양한 부작용만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전기에너지의 대체보다는 보완하는 역할을 강조할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결국 원자력 발전, 특히 부각되는 소형모듈 원전이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모두가 어렵고 고민이 가장 많은 해결과제라 하겠다. 친환경 에너지믹스 조건이 핵심이라는 뜻이다.
앞으로 전기에너지는 전기차만 충전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영역이 더욱 부각되는 것이 더욱 큰 문제라 하겠다. 광범위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 센터가 전국 곳곳에 세워지고 있고 이곳에서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라 하겠다. 더욱이 앞으로 전기차 등 모든 미래 모빌리티 수단에는 인공지능이나 자율주행 장치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는 더욱 우리를 옥죄고 있는 형국이다. 앞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전기에너지를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생산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가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하겠다.
우리가 항상 강조하는 V to G를 비롯한 양방향 전기에너지의 구축은 아직은 덜 익은 사안이고 기술적인 연구가 더욱 진전되어야 하는 형국이다. 즉 잉여 전력의 경우를 줄이고 부족한 곳에 남아있는 전기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이 중요한 과제라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부족한 전기에너지는 원자력 발전 등 더욱 풍부한 에너지원의 보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앞으로 지능형 전기에너지 생산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 구축과 안정된 전기에너지 공급은 현안으로 미리부터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료전지 발전을 이용한 수전해 방식을 활용한 그린수소에너지 생산도 중요하고 앞서 언급한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도 적절히 구사하여 적극적인 구성원으로 에너지 믹스를 개선해야 한다고 하겠다. 앞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고 충분이 활용할 만한 전기에너지 생산 구조를 구축하는 일은 앞으로 당면한 중요한 해결과제가 된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는 아직 미국이나 일본 등과 같이 민간 차원에서 전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는 부분은 좋은 방향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단점도 크다고 하겠다. 경우에 따라 지역적인 블랙아웃 등으로 심각한 경제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 커질 수 있는 만큼 더욱 고민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미 미국 등 해외 선진 국가에서 발생한 블랙 아웃으로 얼마만큼 사회적, 경제적으로 충격을 준 사례는 여러 번 있다고 하겠다.
우리의 전기요금은 타 선진국 대비 매우 낮은 단계이다. 앞으로 많이 올려야 한다는 뜻이고 여력도 충분히 있다고 하겠다. 물론 소비자 지수 중 가장 민감한 사안으로 전기요금을 올리기 어렵기도 하지만 언제까지 천문학적인 적자구조로 갈 수 있는 사안도 아니라는 점이다. 가격도 올려야 하고 전기에너지 절약운동도 절실하게 진행하여야 하고 충분한 친환경적인 전기에너지 생산도 필요한 사안이다.
앞으로 전기에너지의 수요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미리부터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정권을 불문하고 정부 차원에서 확실한 대안 마련을 하기 바란다.
김 필 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바이두 아폴로 고, 자율주행 차량 호출 1,100만 건 돌파…글로벌 확장 가속
[0] 2025-05-23 17:25 -
볼보 트럭 드라이버 챌린지 성료…연료 효율과 지속 가능성 강조
[0] 2025-05-23 17:25 -
미니코리아, 창립 20주년 기념 고객 사진전 개최…다채로운 볼거리·즐길 거리 제공
[0] 2025-05-23 17:25 -
한국자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 성황…미래 모빌리티 기술 논의 활발
[0] 2025-05-23 17:25 -
유럽 전기차 시장 지각 변동… BYD, 4월 판매량 첫 테슬라 추월
[0] 2025-05-23 17:25 -
극도의 쐐기형 디자인, 현대차 콘셉트카 '옵시디언'... 묘하게 인상적
[0] 2025-05-23 17:25 -
'누가 제값 주고 전기차를 사' 지난달 中 전기차 평균 할인율 16.8% 도달
[0] 2025-05-23 17:25 -
CATL, 혼다와 전략적 협력 심화… LFP, CTB, 공급망 등 전방위 협력
[0] 2025-05-23 14:25 -
중국 전기차 네타, 파산 심사 소송 휘말려… 자진 파산설 부인
[0] 2025-05-23 14:25 -
MINI 코리아, 창립 20주년 기념 두 번째 사진전 진행...LP 음반 커버 연상
[0] 2025-05-23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미국 전미 자동차노조, 2023년 조합원 수 3.3% 감소
-
폭스바겐 골프, 데뷔 50주년 맞아
-
미국 재생에너지 설비가 석탄 추월
-
[스파이샷] 랜드로버 디펜더 옥타
-
[스파이샷] 메르세데스 AMG CLA 일렉트릭
-
[스파이샷] 토요타 수프라 GRMN
-
현대자동차, 고성능 차량 기반의 '아이오닉 5 N eN1 컵 카' 공개
-
폭스바겐, 액션 블록버스터 시리즈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참여
-
폭스바겐, ID.4ㆍ몬스터버스 세계관의 이색적 만남 '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
HD 현대인프라코어, 상용트럭용 LFP 배터리
-
2024 뉴욕오토쇼- 폴스타 4
-
볼보, 마지막 디젤차는 볼보 박물관에 전시
-
테슬라, 자사 모델과 옵티머스 로봇 연결할 프라이빗 5G 인프라 개발 중
-
볼보차 EX30, 2024 세계 올해의 도심형 자동차 수상...세계 3대 자동차도 선정
-
현대차 아이오닉 5N, 웃돈 붙여 1억 2000만 원...美 딜러 황당한 가격 논란
-
현대차, 고성능 N 브랜드 튜닝 전문 온라인 플랫폼 ‘N 퍼포먼스 숍’ 오픈
-
[EV 트렌드] '전기차 수요 둔화 여파' 포드 F-150 라이트닝 생산량 60% 줄여
-
길게는 800km, 샤오미 전기차 SU7 공개...손해 보는 4100만원부터 시작
-
현대차, 세미 보닛 타입 상용 전기차 'ST1' 인증 완료 ...상반기 출시 전망
-
현대오토에버, 쏘카 CTO 출신 류석문 상무 영입… SW 경쟁력 강화 속도 낸다
- [유머] 괴로운 야구 심판
- [유머] 술판 막으려고 그늘 없애버린 구청
- [유머] 사자의 갈기를 훔친 냥아치
- [유머] 어벤져스 5 6 개봉연기
- [유머] 좋군좌 근황
- [유머] 더 나아진 국민연금
- [유머] 알바생 덕에 대박난 사장님
- [뉴스] 길에서 0.5 스쳐 지나갔는데... 엄청난 '눈썰미'로 절도범 잡은 경찰관
- [뉴스] 데이팅앱으로 '환승연애' 하면서 4억원 가로챈 40대 여성, 수법 보니...
- [뉴스] 4시간 35분 동안 사고만 3번 낸 음주운전자... 이틀 전에도 '만취운전' 했다
- [뉴스] 배우 한예슬이 낸 6억원대 모델료 소송 청구... 법원의 항소심 판단 나왔다
- [뉴스] SF 이정후, 시즌 13번째 '멀티히트'... 2안타 1볼넷 2득점으로 팀의 4-0 승리 이끌었다
- [뉴스] 임신 사실 공개한 서민재, 유서 올리고 5일째 '침묵'... 팬들은 댓글로 걱정 쏟아냈다
- [뉴스] 세대별 정치 성향 뚜렷하게 갈렸다... 30·40·50대는 '정권교체' vs 20·70대는 '정권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