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61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2-16 17:00
[시승기] 마세라티 그레칼레 트로페오 '530마력 V6 엔진의 놀라운 퍼포먼스'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530마력 6기통 네튜노 엔진의 놀라운 퍼포먼스는 사실 저속과 중고속을 반복하는 시내 주행에서도 고스란히 체감된다. 발끝의 가벼운 놀림에도 4.8미터, 2톤이 넘는 차체는 묵직하지만 가볍게 힘을 더하고 이때 마세라티 특유의 강력한 엔진과 배기음이 온몸에 전율이 느껴질 만큼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하위 트림에 4기통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얹은 모데나와 GT가 있지만 이들과 동일한 그레칼레 카테고리에 묶였을 뿐 사실상 트로페오는 완전히 다른 성향의 모델처럼 인식된다.
한편으로 마세라티 그레칼레 트로페오는 SUV 본질에 충실한 시스템 구성도 갖춰 예를 들어 변속과 서스펜션 세팅은 동급 경쟁과 비교해 더 편안하고 대배기량 엔진에도 연료 효율성에선 더 적극적이다.
이는 MC20 네튜노와 달리 6기통 그레칼레에는 드라이 섬프가 아닌 웨트 섬프를 적용하고 이를 통해 상황에 따라 오른쪽 실린더 비활성화 시스템을 통해 연비 향상에 기여한다.
참고로 네튜노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그레칼레 트로페오는 530마력의 최고 출력과 63.2kg.m 최대 토크를 발휘하고 ZF 8단 변속기가 맞물렸다. 차체 중량은 2080kg에 이르지만 강력한 엔진의 힘으로 시속 100km 도달까지 3.8초, 최고속도 285km/h에 이르는 놀라운 순발력을 발휘한다. 또 복합연비는 리터당 8km,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22g/km를 나타내고 있다.
마세라티 그레칼레 트로페오의 차체는 전장, 전폭, 전고가 각각 4860mm, 1980mm, 1660mm에 휠베이스 2901mm로 해당 모델의 경우 그레칼레 트림 중 가장 긴 전장과 기본 570리터의 트렁크 용량으로 가장 여유롭다.
여기에 외관 디자인은 전면부 과하지 않은 낮고 인상적인 그릴을 적용하고 차체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많이 사용했다. 특히 트로페오는 일반 모델과 달리 그릴이 앞으로 살짝 돌출되면서 더욱 스포티한 느낌을 전달한다. 또 후면부에는 부메랑 테일램프와 마세라티의 특징적 사다리꼴 라인도 눈에 띈다.
트로페오 버전은 GT 모델에 비해 전폭을 30mm 늘리면서 스포티한 캐릭터를 더욱 강조하기도 했다. 이는 추가된 크롬 디테일, 사이드 스커트, 특별히 디자인된 범퍼에 의해 더 강조된다.
마세라티 그레칼레 실내는 디지털 계기판과 중앙의 12.3인치 패널, 추가 제어 기능이 포함된 8.8인치 컴포트 패널, 새로운 디지털 시계 등 최소 4개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마세라티 라인업 중 가장 미래 지향적 디자인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실내 디자인은 간결하고 중앙 패널에서 버튼이 사라지면서 넓은 암레스트, 더블 버터플라이 도어가 달린 대형 수납공간, 휴대폰 충전 패드 등을 배치할 공간 또한 확보했다.
참고로 에어 서스펜션을 기본 탑재하는 트로페오의 경우 총 6가지 레벨의 서스펜션 조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에어 서스펜션의 총 조절 범위는 65mm로, 노멀 모드 기준으로 주차 모드에서 35mm 낮아지고 오프로드 모드에서 30mm 높아지는 방식. 또 주차 모드에선 차량에서 내리기 쉽게 높이가 자동 조절되어 어떤 상황에서도 승하차가 편리하다.
이 밖에 그레칼레 트로페오 버전의 경우 특별히 주행 모드에서 코르사 모드를 제공하고 있어 이를 통해 매우 우수한 페달에 따른 반응 속도, 기어 변속, 킥 다운 등을 만날 수 있고 런치 컨트롤 기능 또한 시도할 수 있는 등 주행 퍼포먼스에선 아쉬움을 찾을 수 없는 구성이다.
이런 고성능 SUV 콘셉트를 지닌 트로페오는 실제 도로에서 각 주행 모드에 따라 눈에 띄게 변화되는 성향을 나타냈다.
당연히 스포츠 모드에선 가속 페달에 살짝만 발을 올려도 폭발적으로 내달리는 순간 가속력을 경험할 수 있다. 또 고속에선 묵직한 차체 반응과 함께 속력에 따라 무게를 더하는 핸들링과 단단한 하체 반응이 인상적이다. 반면 컴포트와 GT 모드에서 패밀리 SUV와 비교해도 손색없을 안정적 승차감과 우수한 N.V.H. 성능을 만날 수 있다.
한편 르반떼에 이어 선보이는 마세라티 두 번째 SUV 모델인 그레칼레는 2020년 3월 글로벌 최초 공개되고 국내에는 최상위 트로페오를 비롯해 기본 모델인 GT, 모데나 등 3가지 버전으로 판매된다.
판매 가격은 GT 1억 200만 원, 모데나 1억 3700만 원, 트로페오의 경우 1억 7410만 원이다.
김훈기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 올해 10주년 ‘1인 나무1기부‘ 포레스트런 2025' 캠페인 실시
-
한국타이어, '포뮬러 E’ 모터스포츠 DNA 담은 아이온 온라인 한정판 출시
-
제프 베조스가 투자하는 저가형 전기 픽업 '슬레이트' 첫 티저 공개
-
GMC, 반듯반듯한 선과 밀폐형 전면부...차세대 SUV 디자인 공개
-
현대차-고용노동부-산업안전상생재단, ‘상생형 산업안전 생태계’ 구축 맞손
-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수소 생태계 조성 본격화
-
렉서스코리아, ‘디 올 뉴 LX 700h’ 커넥트투 특별 전시
-
현대차, 산업안전 ‘상생 생태계’ 만든다…민·관·학 손잡고 중소기업 지원
-
[기자수첩] 꿈이 된 테슬라 완전 자율주행 '하드웨어' 교체 없이 불가능
-
BYD 블레이드 배터리, 혁신적 기술로 한계 극복... 안전과 원가 경쟁력 뛰어나
-
볼보, 색다른 매력 어필하는 'EX30 모스 옐로우 에디션' 최초 공개
-
유럽연합, 탄소섬유 유해 물질로 지정 추진 '2029년부터 규제 가능성'
-
BMW 코리아 미래재단 '2025년 대한민국 과학축제' 주니어 캠퍼스 운영
-
현대차그룹, 드류 퍼거슨 전 美 연방하원의원 신임 워싱턴사무소장 선임
-
현대차, 2026년형 아반떼 출시 '모던 라이트' 트림 신규 추가
-
아우디 A6ㆍ포르쉐 타이칸 등 6만2000여대 美서 소프트웨어 결함 리콜
-
1분기 美 전기차 시장 폭발적 증가 '희비 엇갈린 포르쉐 · 테슬라'
-
타타대우모빌리티 '전략 전문가' 김태성 신임 대표이사 사장 공식 취임
-
GM, 캐나다 상용 전기차 공장 가동 중단… 판매 부진 원인이라지만
-
경량 스포츠카 제조사 ‘로터스’ 77년 역사 장식한 슈퍼카 살펴보니
- [유머] 캣맘들을 도망가게 한 안내문
- [유머] 누르면 약 10억을 줌..
- [유머] 브라질 피자 배달부
- [유머] 작으면 좋은 이유
- [유머] 토끼의 점프력
- [유머] 환장의 콤비
- [유머] 친오빠를 거래사이트에 판매한 여동생
- [뉴스] 한 장에 '888만원'짜리 음악 페스티벌 티켓... 논란 일자 판매 중단
- [뉴스] 신혼여행 미룬 김준호♥김지민이 결혼식 후 찾은 곳... 의리 지켰다
- [뉴스] '우리 아들은 숙제 안 하니까 주지 마세요'... 교사에 '숙제 거부' 편지 쓴 사유리
- [뉴스] 넷플릭스 애니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한 '스파이시 챌린지'... 불닭소스 존재감 입증
- [뉴스] '현커 아니에요?'... 드라마 세계관 연장시킨 '박보영♥박진영'의 달달한 네컷사진
- [뉴스] '50만 넘으면 공개할 것'... 유튜브서 '♥이병헌' 모자이크 처리한 이민정
- [뉴스] 일본 음식 '솔직 평가' 했다가 '비호감 순위'에 이름 올렸다는 이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