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28[칼럼] 튜닝모터쇼 정체성 흔들 '도쿄오토살롱' 추상적 전기차에 실망
조회 3,87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22 11:00
[칼럼] 튜닝모터쇼 정체성 흔들 '도쿄오토살롱' 추상적 전기차에 실망
[김필수 칼럼] 매년 새해 두 번째 주에 열리는 '도쿄오토살롱'은 세계 최대 규모의 튜닝모터쇼다. 약 25조 원의 시장을 가진 일본의 자동차 튜닝 산업이 총 망라해 전시되고 단 3일간 열리지만 약 30만 명이 관람한다. 일본은 튜닝 활성화의 대표적인 국가이고 일반차, 경차 등 다양한 튜닝 문화를 자랑한다.
도쿄에서 조금 떨어진 마쿠하리 메세에서 열리는 도쿄오토살롱은 그래서 이른 아침부터 끝없이 입장을 기다리는 줄이 만들어진다. 올해도 예외가 아니어서 예년과 비슷한 규모로 전시회가 열렸고 막을 내렸다. 그러나 일반인의 관심과는 별개로 실질적인 내용을 들여다 보면 점차 쇠퇴하는 모습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도쿄오토살롱은 일반 모터쇼와 달리 중소·중견 기업의 특징적인 튜닝문화와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복합적인 모습이 가장 부각된 전시회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내용물이 확실한 좋은 튜닝 관련 제품이 많아 관람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특히 일본은 경차가 전체 시장의 약 37%를 차지하는 만큼 일반 경차 튜닝에 대한 노하우가 많고 좋은 제품이 우리 시장에 자연스럽게 전수돼 우리의 낙후된 튜닝 문화와 시스템을 자극하는 데 큰 도움이 돼 왔다.
공교롭게도 도쿄오토살롱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가전 IT 전시회 CES와 기간이 겹친다. 그럼에도 참가 규모와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은 줄지 않았지만 내용은 실망스러웠다. 일본을 대표하는 도요타 등 완성차 업체들이 제대로 된 전기차 전시는 전혀 없고 상용화 일정도 알 수 없는 추상적인 전기 콘셉트카만 화려하게 전시했기 때문이다.
일본 자동차는 여전히 하이브리드에 머물고 있었다. 오히려 중국 BYD가 가장 큰 전시장을 꾸리고 다양한 실물 전기차를 전시해 주목받았다. 늦어도 아주 늦은 일본 완성차의 전기차 전시를 보면서 갈라파고스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아쉽게 느낀 부분은 주최 측에서 비용적인 부분이나 규모를 더욱 키우고자 완성차를 대거 끌어왔다는 점이다. 작년에도 일부 완성차가 참여하기는 했으나 올해는 전체의 반수 이상이 완성차여서 과거 아기자기한 볼거리와 다양성에서 아쉬움이 컸다.
그나마 전시 차량을 제대로 살펴볼 수 없어 일반 모터쇼와 다른 도쿄오토살롱만의 특성이 사라져 버렸다. 그나마 현대차 아이오닉5 튜닝 모델이 전시됐다는 것이 위안이 됐다. 일본의 대표적인 튜닝업체 오토박스가 아이오닉5의 드레스업 튜닝모델을 전시했다.
무광 아이보리색으로 튜닝한 아이오닉 5는 도쿄오토살롱에서 가장 돋보이는 전시물 가운데 하나였다. 또 현대차 일본 법인이 별도의 부스를 마련해 아이오닉 5 N 모델과 특화된 퍼포먼스카 아이오닉 5N 콘셉트카 NPX1을 공개해 주목받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 전시품이 기존 내연기관을 튜닝한 것에 그쳤고 드레스업 튜닝이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한 부분은 아쉬웠다. 미래 모빌리티를 보여줄 수 있는 아이템이 부족했고 전기차를 외면하고 내연기관차 튜닝에 집중한 전시물에서 일본 갈라파고스의 한계가 느껴졌다.
규제 일변도인 우리의 튜닝 산업과 비교하면 여전히 앞서 있는 것을 다시 확인했지만 세계적 추세와 흐름에 뒤처진 일본 자동차 산업이 우려됐다. 국내 유일 튜닝전시회 오토살롱 위크는 제대로 피기도 전에 문을 닫을 위기에 있다. 도쿄오토살롱을 둘러보면서 우리도 환경 관련 문제를 극복하는 미래 모빌리티 튜닝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할 때가 왔다는 고민이 깊어졌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고성능 럭셔리 로드스터 라인업 강화' 벤츠 AMG SL 43 신규 트림 출시
[0] 2025-02-21 18:00 -
[스파이샷] 기아, EV3 GT 개발 중...2026년 출시 예정
[0] 2025-02-21 17:45 -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0] 2025-02-21 17:45 -
타타대우모빌리티,에이엠특장과 ‘준중형 전기 청소차 개발’MOU
[0] 2025-02-21 17:45 -
볼보자동차, ‘슈퍼셋 테크 스택’ 기반 볼보 ES90 주요 기술 공개
[0] 2025-02-21 13:00 -
앨리슨 트랜스미션, 아탁 탈라스 아태지역 영업 총괄 승진 임명
[0] 2025-02-21 13:00 -
한국타이어, 2025년 신년 간담회 개최
[0] 2025-02-21 13:00 -
GS글로벌, BYD 1톤 전기트럭 T4K 리스 상품 출시
[0] 2025-02-21 13:00 -
뉴 MINI 컨트리맨,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년 올해의 디자인’ 부문 선정
[0] 2025-02-21 13:00 -
KGM,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0] 2025-02-21 13:00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 노사, 8자녀 다둥이 직원을 찾은 이유...저출산 대책 팔 걷고 나섰다.
-
단종? 쉐보레 차세대 볼트 '얼티엄과 얼티파이' 기술로 업그레이드
-
유럽 먼저, 차원이 다른 300kW급 '포르쉐 차징 라운지' 오픈..한국은?
-
'여전히 가성비 최고의 고성능' 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출시… 시작가 3352만 원
-
현대차, 제네시스 GV90에 삼성 엑시노스 오토 V920칩 탑재한다.
-
BMW그룹, 중국 상하이에 새로운 연구 센터 개장
-
몰렉스, BMW 그룹과 차세대 전기차 클래스용 대규모 양산 계약 체결
-
볼보, 상반기 매출 3년 연속 증가
-
6월 수입 상용차 415대 신규등록
-
KG 모빌리티, 디지털 크리에이터 ‘쌍크ME 3’ 발대식 개최
-
정의선 회장, 서울대 손 잡고 다음 세대를 위한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개발
-
[EV 트렌드] 킬러 규제에 막힌 '배터리 스와프' 전문가 미래 전망은 회의적
-
볼보 EX90, 2024년 하반기로 출시 또 연기...라이다 소프트웨어 코드 때문
-
나노가족을 위한 이상적인 EV, ‘푸조 e-208 & e-2008 SUV’
-
현대차그룹-서울대학교 배터리 공동연구센터 개관
-
폭스바겐 ID. 패밀리, 글로벌 인기 애니메이션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더 무비>와 협업 진행
-
레고그룹, '레고 테크닉 야마하 MT-10 SP' 공개
-
KG 모빌리티, 쌍큼 발랄 디지털 크리에이터 ‘쌍크ME 3’ 발대식 개최
-
'7인승 하이브리드 SUV' 토요타 하이랜더 최저 6660만 원에 국내 출시
-
'역시 빠르네' 순수 전기 포르쉐 타이칸이 서울~부산 2번 왕복한 시간은?
- [유머] 2005년 vs 2025년 물가 비교
- [유머] 햄이 되어버린 시바
- [유머] 눈이 좋은 일본담비
- [유머] 살벌한 고등학생 교내 싸움
- [유머] 귀여운 고딩커플
- [유머] 운전하기 무서워진 이유
- [유머] 육아 경험 있는 화가 vs 없는 화가
- [뉴스] [속보] 1호선 신이문역 상하행 선로장애... 출근길 지연
- [뉴스] U-20 축구 대표팀 혈투 끝에 우즈벡 꺾고 아시안컵 4강 진출... 13번째 '우승' 도전한다
- [뉴스] 고양 중국집서 60대 여성 '난도질'해 살해한 50대 女... 그 뒤에는 '치정' 있었다?
- [뉴스] 미모의 아내와 결혼한 한동근... 3년 만에 아들 얻어 '아빠' 됐다
- [뉴스] '35살 러블리 걸? 백지영, 태국서 동안 미모+유쾌 매력 발산'
- [뉴스] 20대 미혼모, 지인 집 화장실서 홀로 출산... 아이는 세상 떠나
- [뉴스] 국힘 권성동 '이재명, 대통령 돼도 재판은 계속되는 게 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