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28'배터리 사업 무한 확장하나?' 中 BYD, 브라질 리튬 생산업체 인수 타진
조회 4,70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17 16:25
'배터리 사업 무한 확장하나?' 中 BYD, 브라질 리튬 생산업체 인수 타진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중국 최대 친환경차 브랜드로 성장한 BYD가 브라질의 대표적 리튬 생산 업체 인수를 추진 중이다. 앞서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역시 해당 업체 인수를 검토한 바 있어 전기차 판매 둔화와는 별도로 배터리 원자재 확보 경쟁은 여전히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시간으로 15일, 파이낸셜타임즈 등 외신은 BYD 남미 사업을 총괄 알렉산더 발디를 인용해 BYD가 지난달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아나 카브랄 가드너 시그마리튬 CEO를 만났다고 전했다. 해당 자리에선 BYD의 시그마리튬 인수 혹은 공급계약, 합작투자 등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그마리튬은 지난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인수 검토 소식이 처음으로 전해지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지난해 4월부터 브라질 남동부 미나스제라이스에 위치한 대규모 생산 시설에서 월 2만 2000톤 규모의 리튬 출하를 시작한 해당 기업은 이를 올 연말까지 3배로 늘려 연간 27만 톤 리튬 판매를 계획 중이다.
브라질 현지 언론은 폭스바겐그룹과 중국의 또 다른 배터리 업체 CATL 역시 시그마 자산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 업계는 시그마리튬 인수를 둘러싼 다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 및 배터리 기업의 인수 소식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자재인 리튬 확보를 위한 업체간 경쟁이 여전히 치열히 진행 중이라는 부분을 방증한다고 판단했다.
특히 BYD의 경우 현재까지 돌핀, 아토 3 등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전기차 판매를 바탕으로 브랜드 기반을 구축해 왔으며 이는 배터리를 비롯해 차량 제작에 사용되는 대부분을 수직 계열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앞서 BYD 북미 CEO 스텔라 리는 'BYD는 대부분의 부품을 자체 제작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에 가깝다. 예를 들어 BYD 돌핀의 경우 타이어와 창문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직접 만든다'라고 말했다.
주요 외신은 BYD의 이번 시그마리튬 인수 검토 소식을 통해 중국을 넘어 글로벌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입지를 확보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의 견제가 더욱 심해지는 분위기 속에서 BYD를 포함 중국 전기차 업체는 공급망 안정화에 더욱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편 BYD는 원자재 확보 다변화 차원에서 최근 기존 리튬을 대체하는 나트륨 기반 전기차 배터리 양산에도 뛰어들었다.
카뉴스차이나 등 외신은 이달 초 BYD가 100억 위안, 한화 약 1조 8300억 원을 투자해 연간 30GWh 규모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신공장 착공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기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나트륨으로 대체한 것으로 나트륨의 경우 매장량이 풍부하고 생산 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재까지 리튬 기반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로 저가 소형차와 이륜차 등에 사용된다.
앞서 블레이드 배터리 개발을 통해 자사 전기차 뿐 아니라 테슬라, 현대차, 도요타, 포드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BYD는 해당 기술 개발을 담당한 핀드림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대량 생산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를 위해 중국 화웨이 그룹과 합작사를 설립하고 지난해 11월 중국 쑤저우 지방에 최초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공장 건설에 합의했으며 최근 공장 착공에 돌입 오는 3월부터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는 전략이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하이브리드로 거친 길을 제압하다, 렉서스 LX 700h 시승기
[0] 2025-04-02 17:25 -
지프 랭글러 자동차 안전도 평가 '꼴찌' 유지... 의외의 1등급 모델 등장
[0] 2025-04-02 14:25 -
살아 있네? 현대차 베뉴 연식 변경 출시... 엔트리 트림 스마트 1926만원
[0] 2025-04-02 14:25 -
美 서민의 올드 세단 '현대차 아반떼' 오르기 전 사자 열풍 3월 25%↑
[0] 2025-04-02 14:25 -
[종합] 내수는 살았는데 수출이 변수...3월 자동차 총판매 대수 3.2% 감소
[0] 2025-04-02 14:25 -
[오토포토] 게임에서 영감 받은 콘셉트카 등장 '현대차 인스터로이드'
[0] 2025-04-02 14:25 -
현대차, 인스터로이드 공개, 소형 전기차 '틀을 깨는 디자인적 도전'
[0] 2025-04-02 14:25 -
KGM, 3월 9483대 판매… 무쏘 EV·토레스 하이브리드 출시 효과 ‘톡톡’
[0] 2025-04-02 14:25 -
GM 한국사업장 3월 실적,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트레일블레이저 견인
[0] 2025-04-02 14:25 -
그랑 콜레오스 올해의 SUV 3관왕 효과, 르노코리아 3월 내수 200% 성장
[0] 2025-04-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깜찍 디자인에 찐 오프로드' 랜드로버, 디펜더 90 P400 X · 디펜더 110 카운티 에디션
-
9년 만에 신모델 출시되는 '美 머슬카 레전드' 포드, 7세대 머스탱 사전 계약
-
지난해 아우디 전기차 판매 51% 증가… 1분기 'Q6 e-트론' 공개 예고
-
테슬라 이어 볼보도 홍해 물류차질에 발목 '글로벌 완성차 예의주시'
-
292. CES 2024가 던진 화두, 인공지능과 챗 GPT, 그리고 지속가능성
-
CES 2024 12신 - 빈패스트와 토그, 거품인가, 진화인가?
-
BMW M브랜드, 2023년 글로벌 신차 판매 14.3% 증가
-
폭스바겐코리아, 골프 50주년 기념 ‘8세대 골프 X가수 권은비개그맨 김민수’ 화보 공개
-
조향감, 제동감 이런 거 없다...미래 자동차 '펀 투 드라이브' 사라진다.
-
한국타이어 후원 포뮬러 E ‘2024 한국 멕시코시티 E-PRIX’ 파스칼 베를라인 우승
-
'방향지시등 작동 확률 30%' 테슬라 사이버트럭 황당한 품질...단차 논란 여전
-
폭스바겐그룹, 2023년 12% 증가한 924만 대 기록...전기차 34.7%↑
-
[공수전환] 제네시스 3.5세대 G80 Vs BMW 8세대 5시리즈 '당신의 선택은?'
-
[김흥식 칼럼] 비(非)중국? 해괴한 기준으로 BYD를 깍아 내리는 한국
-
폭스바겐, 타임리스 아이콘 '8세대 골프와 가수 권은비ㆍ개그맨 김민수'의 만남
-
포르쉐, 작년 911ㆍ타이칸 실적 견인 총 32만221대 판매...중국 판매 주춤
-
현대차,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 기반 게임 ‘현대 퓨처 어드벤처’ 출시
-
[EV 트렌드] '이렇게 나오면 대박' 볼보, 전기 세단 ES90 예상 디자인 등장
-
'오로라 프로젝트, 잘 되고 있죠?' 파블리스 캄볼리브 르노 브랜드 CEO방한
-
못 말리는 인기, 美 베스트셀링카 톱 3 또 픽업트럭...포드 F-시리즈 75만 대
- [포토] 하의 실종
- [포토] AV비디오 표지
- [포토] 판타스틱 베이비
- [포토] 블랙과 레드의 양상볼
- [포토] 수영장 야한 몸매
- [포토] 쩍벌여
- [포토] 야한 속옷
- [유머] 육개장 사발면
- [유머] 흑인 혹은 한국인 머리색 지칭은 성희롱입니다
- [유머] 에드.. 워드.. 오빠...
- [유머] 혜자 도시락 신상 근황
- [유머] 즐거운 직장생활
- [유머] 겉절이 치킨
- [유머] 인형뽑기 빌런
- [뉴스]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유행에 재조명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과거 발언
- [뉴스] 김수현, 눈물의 기자회견에도... 해외 브랜드 광고 손절당해
- [뉴스] 정지선 셰프 '여행가면 하루 15끼, 메뉴는 10개 이상 시켜요'
- [뉴스] 장제원 전 국힘 의원 세상 떠나자... 홍준표가 추모하며 남긴 의미심장한 말
- [뉴스] 티빙, 오늘(2일)부터 넷플릭스에 이어 '계정 공유 금지' 시행
- [뉴스] '도파민 빼준다는 팝업스토어 조심하세요'... 신천지의 새로운 포교 방법
- [뉴스] 중국서 시진핑 주석 만나고 돌아온 이재용 회장... 이번에는 '일본'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