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28[김흥식 칼럼] 비(非)중국? 해괴한 기준으로 BYD를 깍아 내리는 한국
조회 4,08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15 17:25
[김흥식 칼럼] 비(非)중국? 해괴한 기준으로 BYD를 깍아 내리는 한국
AI로 생성한 이미지임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와 BYD가 세계 1위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BYD는 지난해 약 301만 대, 테슬라는 약 180만 대를 팔았다. 순수 전기차(BEV)만 놓고 봐도 BYD는 157만 대(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를 팔아 지난해 테슬라와 격차를 30만 대까지 좁혔다.
지난해 4분기에는 순위가 역전되는 일도 있었다. BYD는 52만 6409대, 테슬라는 48만 4507대를 팔았다. 이를 두고 BYD가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올해 연간 판매 대수 1위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쏟아져 나왔다.
반면, BYD 성과를 깎아내리는 얘기도 나온다. 특히 국내에서 중국 내수를 제외하면 BYD는 테슬라의 적수가 될 수 없다는 식의 보도가 많았다. '비(非)중국 시장만 따져 보면...'이라는 식으로 BYD의 내수 실적을 빼고 순위를 깎아내린다. 전기차 배터리도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국산 제품이 '여전히 1위'라는 얘기가 가끔 등장한다.
우선은 중국을 제외하고 순위를 따지는 근거와 이유가 궁금하다. 테슬라 역시 BYD와 같이 중국을 제외하면 제대로 성과를 내기 어렵다. 테슬라는 지난해 중국에서 모델 3와 모델 Y로만 60만 3000대를 팔았다. 테슬라 전체 실적의 33% 이상을 중국이 차지했다.
또 중국에서 생산한 테슬라 모델 Y 16만 8000대, 모델 3 17만 5000대는 수출했다. 글로벌 실적의 약 20%를 중국이 공급했다. 중국 현지 판매와 수출을 합치면 94만 6000대에 이른다. 생산과 수출, 판매 모두 테슬라와 중국은 뗄 수 없는 시장이다.
그렇다면 테슬라도 BYD처럼 미국 내수 판매 대수를 제외하면 어떨까? 테슬라는 지난해 180만 대 가운데 65만 대를 미국에서 팔았다. 남는 건 115만 대다. 테슬라도 자국 실적을 제외하면 향후 1~2년 사이 폭스바겐그룹, 현대차그룹, GM에도 역전을 허용할 수 있다.
폭스바겐 그룹의 전동화 모델 판매는 지난해 77만 대, 순수 전기차는 약 40만 대를 기록했고 올해 100만 대 돌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도 2025년 '비중국' 테슬라와 비슷한 규모 달성이 유력해서다.
우리는 유독 중국의 자동차 산업을 이야기할 때 '비중국'을 들어 성과를 깍아 내리고 있다. 테슬라의 '비미국', 폭스바겐의 '비독일', 현대차의 '비한국' 얘기는 들어 본 적이 없다. 다른 어떤 제조사에도 적용하지 않는 이상한 논리를 유독 대한민국에서 중국 전기차, BYD에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방법으로 끌어 내려도 BYD는 2023년 300만 대 이상을 팔아 글로벌 톱 10 제조사에 진입했고 2년 연속 신에너지차(NEV) 판매 1위 완성차 자리에 올랐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6개 대륙, 70개 이상 국가에 진출해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 자동차가 국산차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는 건 이 분야 전문가들의 공통 의견이다. 그 선봉에 있는 BYD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해괴한 '비중국'을 들먹이며 상대를 낮춰서는 안된다. '경적필패(輕敵必敗, 상대를 얕보면 반드시 패한다)', 손자병법의 교훈을 새겨야 한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고성능 럭셔리 로드스터 라인업 강화' 벤츠 AMG SL 43 신규 트림 출시
[0] 2025-02-21 18:00 -
[스파이샷] 기아, EV3 GT 개발 중...2026년 출시 예정
[0] 2025-02-21 17:45 -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0] 2025-02-21 17:45 -
타타대우모빌리티,에이엠특장과 ‘준중형 전기 청소차 개발’MOU
[0] 2025-02-21 17:45 -
볼보자동차, ‘슈퍼셋 테크 스택’ 기반 볼보 ES90 주요 기술 공개
[0] 2025-02-21 13:00 -
앨리슨 트랜스미션, 아탁 탈라스 아태지역 영업 총괄 승진 임명
[0] 2025-02-21 13:00 -
한국타이어, 2025년 신년 간담회 개최
[0] 2025-02-21 13:00 -
GS글로벌, BYD 1톤 전기트럭 T4K 리스 상품 출시
[0] 2025-02-21 13:00 -
뉴 MINI 컨트리맨,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년 올해의 디자인’ 부문 선정
[0] 2025-02-21 13:00 -
KGM,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0] 2025-02-21 13:00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람보르기니, 우라칸 스테라토 향상된 랠리모드로 설원도 완벽 주행...제로백 3.4초
-
순두부찌개 최고예요, 한국 음식에 푹 빠진 세계 최대 자동차 브랜드 한국 CEO
-
한국타이어, 전 세계 50개 타이어 브랜드 2023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 제동거리 부문 1위
-
[북해도 르포] 동양의 알프스에서 발견, '폭설 · 혹한'에 맞서는 자동차 노하우
-
한국토요타자동차, ‘모두를 위한 전동화’ 전략 아래 렉서스토요타 총 8종 신차 출시계획 발표
-
흑자를 향해 순항, 쌍용차 작년 매출 3조 4233억 원...손실 대폭 감소
-
토요타 ‘RAV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시, 전기모드로 최대 63km...5570만 원
-
한국 토요타 작심 라인업, 올해 크라운크로스오버와 하이랜더 등 8종 출시
-
“중국시장, 21~30세의 젊은 여성 오너가 시장 주도”
-
테슬라, 브라질 리튬업체 시그마 리튬 인수 고려?
-
LG전자, 차량 사이버보안 인증으로 글로벌 전장시장 공략 속도낸다
-
PGA 투어 ‘2023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 성황리에 마쳐
-
중국 BYD, 유럽에 두 개의 새로운 딜러 추가 지정
-
BMW의 새로운 M 전용 모델 'XM'이 갖는 의미
-
BMW 모토라드, ‘GS 트로피 2024’ 개최지 나미비아 확정...9월 한국 대표팀 선발전 개최
-
한국타이어에서 맨투맨 티셔츠를! ‘마데인한국ㆍ할스바나' 컬래버레이션 의류 출시
-
볼보그룹, 볼보건설기계 창원공장에 100억 투자…전기 배터리팩 생산라인 착공
-
메기 얼굴 버리고 일자 눈썹 선택한 '쏘나타 페이스리프트' 광고 찍다 딱 걸렸네
-
239. 배터리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전쟁
-
한국자동차연구원, 2022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9.9%
- [유머] 2005년 vs 2025년 물가 비교
- [유머] 햄이 되어버린 시바
- [유머] 눈이 좋은 일본담비
- [유머] 살벌한 고등학생 교내 싸움
- [유머] 귀여운 고딩커플
- [유머] 운전하기 무서워진 이유
- [유머] 육아 경험 있는 화가 vs 없는 화가
- [뉴스] '말기암 병간호 힘들어'... 30년 같이 산 아내 살해한 남편
- [뉴스] [속보] 1호선 신이문역 상하행 선로장애... 출근길 지연
- [뉴스] U-20 축구 대표팀 혈투 끝에 우즈벡 꺾고 아시안컵 4강 진출... 13번째 '우승' 도전한다
- [뉴스] 고양 중국집서 60대 여성 '난도질'해 살해한 50대 女... 그 뒤에는 '치정' 있었다?
- [뉴스] 미모의 아내와 결혼한 한동근... 3년 만에 아들 얻어 '아빠' 됐다
- [뉴스] '35살 러블리 걸? 백지영, 태국서 동안 미모+유쾌 매력 발산'
- [뉴스] 20대 미혼모, 지인 집 화장실서 홀로 출산... 아이는 세상 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