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94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08 11:25
[기자 수첩] 스텔란티스, 美 빅3 자격 없다...현대차그룹 순위 역전 후 논쟁
미국 완성차 빅3로 불리는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리는 이탈리아 피아트(피아트 제공)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제너럴모터스(GM), 포드와 함께 미국 빅3로 불리는 스텔란티스는 피아트와 크라이슬러의 FCA, 푸조와 시트로엥의 PSA가 2020년 합병하면서 탄생한 거대 기업이다.
푸조, 시트로엥, 피아트, 크라이슬러, 지프, 알파 로메오, 마세라티 등 14개의 완성차 브랜드를 거느리게 된 스텔란티스는 출범 후 단박에 세계 시장 점유율 약 9%(2022년 기준)를 차지하며 세계 4위 업체로 순위가 수직 상승했다. 스텔란티스 계열은 고성능 브랜드 아바쓰(Abarth) 등의 추가로 현재 16개로 늘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수입 브랜드인 도요타를 제외하면 지엠과 포드에 이어 내수 3위를 유지한 스텔란티스를 미국 빅3로 부르는데 이견이 없었다. 그런데 스텔란티스가 지난해 현대차그룹에 밀려 4위로 추락하자 빅3로 불릴 자격이 있는지를 두고 이런 저런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따져보면 스텔란티스는 미국 기업도 아니다. 본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다. 스텔란티스에 속한 14개 완성차 가운데 미국 브랜드는 크라이슬러와 지프, 램, 닷지 정도에 불과하다. 스텔란티스 전체 계열 가운데 판매와 매출 비중이 가장 큰 브랜드도 미국 것들이 아니다.
지난 2022년을 기준으로 피아트가 120만 대로 전체 계열 브랜드 가운데 1위를 차지했고 푸조가 105만 대로 뒤를 잇는다. 스텔란티스가 2022년 기록한 630만 대의 30% 이상을 유럽 토종 브랜드가 차지했다. 미국 빅3로 불리는 것이 이상할 정도다.
미국 시장에서도 스텔란티스 위상은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지난해 스텔란티스는 FCA 계열 브랜드(지프, 크라이슬러, 닷지, 램, 알파로메오, 피아트)를 주축으로 152만 대를 팔았다.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미국 토종 브랜드 1위는 64만 대를 기록한 지프다.
그러나 158만 대를 판 현대차그룹에 4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면서 유럽에 본사가 있고 유럽 브랜드 비중이 압도적인데다가 도요타와 현대차 등 아시아 업체에도 뒤진 스텔란티스가 왜 미국 빅3냐라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그 자리를 테슬라가 채워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테슬라의 지난해 미국 시장 판매 대수는 약 68만 대로 아직은 스텔란티스와 비교할 수준이 아니지만 유럽이 아닌 미국을 본거지로 하는 테슬라를 미국 빅3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론도 있다.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순수 미국 토종 브랜드로 볼 수 있는 크라이슬러와 닷지, 지프, 램 등을 합친 150만 대를 팔았다. 도요타와 현대차가 중간에 끼어 있기는 하지만 연간 판매 실적만 놓고 봤을 때 빅3 자격이 충분하다는 반박이다.
스텔란티스가 미국 빅3로 불렸던 건 크라이슬러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로 창사 100주년을 맞는 크라이슬러가 이제 연간 13만 대를 파는 평범한 브랜드로 전락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산업국 미국에서 빅3라는 영예로운 호칭의 자격이 스텔란티스에 있는지 궁금하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토요타, 소프트웨어·AI 개발 거점 신설… 2029년 시나가와에 도쿄 신본사 개장
[0] 2025-05-28 14:25 -
중국 자율주행 트럭, 물류 혁신 ‘시동’… 고속도로 테스트 성공, 상용화 속도↑
[0] 2025-05-28 14:25 -
중국 지커, 쉘과 손잡고 충전 인프라 확대…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0] 2025-05-28 14:25 -
중국 지리자동차, 자체 운송 시작… BYD 이어 자가 운전 차량 운송업체 대열 합류
[0] 2025-05-28 14:25 -
중국 지리자동차 갤럭시, 가격 인하 대열 합류… 중국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0] 2025-05-28 14:25 -
중국 배터리 업계, ‘하늘 나는 자동차’ 시대 겨냥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박차
[0] 2025-05-28 14:25 -
샤오펑, AI 기반 프리미엄 주행 경험 갖춘 보급형 전기차 ‘MONA M03 Max’ 출시
[0] 2025-05-28 14:25 -
‘가성비 고급차’라는 착각: YU7의 전략은 어디까지 통할까
[0] 2025-05-28 14:25 -
혼돈 속의 자율 주행, 드디어 방향을 잡는가
[0] 2025-05-28 14:25 -
'주행 성능도, 디자인도 터프하게' 오펠 프론테라 그라벨 첫 공개
[0] 2025-05-28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한자연, 소형 e-모빌리티 기업지원 강화 위해 앞장
-
넥센타이어, ‘맨시티’ 유럽 축구 3관왕 달성 기념 구매고객 대상 이벤트
-
현대차, 일본시장 온라인 판매 확대 위해 편의점 네트워크와 제휴
-
아우디, 차체 용접에 인공지능 기술 이용한다
-
폭스바겐, 남미 시장 공략 위해 10억 유로 투자한다
-
[스파이샷] 포드 F-150 트레머
-
역대 메르세데스-벤츠 E-Class의 디자인
-
BYD, 브라질 포드 공장 인수해 전동화차와 원자재 처리시설 건설한다
-
중국 에스볼트, 태국에 배터리 생산 공장 착공
-
[EV 트랜드] 스텔란티스, EV 플랫폼 'STLA 미디엄' 공개...최대 700km
-
푸조, 유럽 지존 '뉴 208' 부분 변경 글로벌 첫 공개...매력적인 디자인 변화
-
마세라티, 럭셔리 경험 전달하는 첫 번째 멤버십 프로그램 '트라이던트' 출시
-
지엠코리아 웃는다, 美 GM 상반기 1위...한국산 트랙스와 트레일브레이저 견인
-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국내 사전계약 실시 '영국의 디자인 독일의 엔지니어링 결합'
-
아우디 Q3 40 TFSI 콰트로 국내 출시 '기본에 충실한 콤팩트 SUV'
-
현대모비스와 LG엔솔 배터리셀 합작공장 투자, 글로벌 ‘올해의 딜’ 선정
-
브리지스톤, ‘브리지스톤 3.0 여정’ 2023년 통합 보고서 발표
-
한국타이어, TBX 멤버십 회원 대상 여름 맞이 할인 프로모션 진행
-
알칸타라, ‘GR 수프라’의 한정판 모터스포츠 모델 인테리어 소재로 채택
-
마세라티, 멤버십 프로그램 ‘트라이던트(Tridente)’ 출시
- [유머] 신규 제품 치즈 열장 추가 버거
- [유머] 잠수한 영조가 먹지 않은 음식
- [유머] 한국인이 일본에 자주 놀와서 일본에서 특단의 조치를 취함
- [유머] 백종원의 반반카레 비판
- [유머] 의외로 밈 잘 쓰는사람도 모르는 사실..
- [유머] 경주에 져서 펑펑 우는 말
- [유머] 돌아가신 아빠 일기장 꺼내봤다가 오열한
- [뉴스] 꿀 같은 신혼 생활 중인 현아♥용준형, 커플 탈색하고 과감한 뽀뽀 사진 공개
- [뉴스] '8천만원 귀걸이' 찬 추성훈 본 김종국... '여기선 총은 못 피해' 걱정
- [뉴스] 이재명, 여가부 이름 바꾼다... '성평등가족부로 변경'
- [뉴스] 갑자기 나타나 사람 공격한 '공포의 검은새'... 다름 아닌 '까마귀'였다
- [뉴스] 철봉에 '한 손'으로 매달린 상태로 4.2kg 방화복 입는 여자 소방관 (영상)
- [뉴스] 한덕수, 사전투표 전날 김문수 '지지' 선언... '민주당, 법치의 적' 공격
- [뉴스] 신문지 싼 '돈뭉치' 가지고 홀로 학교 찾은 90대 할머니... 평생 모은 5천만원 경희대에 익명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