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414
기아, 2023년 308만 5,771대 판매
조회 4,907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04 11:45
기아, 2023년 308만 5,771대 판매

기아가 1962년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의 연간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기아는 2023년 한해 동안 국내 56만 3,660대, 해외 251만 6,383대, 특수 5,728대 등 2022년 대비 6.3% 증가한 308만 5,771대를 판매했다. (도매 판매 기준)
이는 2022년과 비교해 국내는 4.6%, 해외는 6.7% 증가한 수치다. (특수 판매 제외)
기존 연간 최대 판매는 2014년에 기록한 303만 8,552대로 국내에서 46만 5,200대, 해외에서 257만 3,352대가 판매됐다.
2023년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스포티지로 52만 3,502대가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34만 4,013대, 쏘렌토가 24만 2,892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는 2024년 ▲경제형 EV 출시 ▲커넥티비티 기술 기반 상품성 강화 ▲PBV 비즈니스 구체화 ▲수익성 중심 영업 원칙 준수 등을 통해 고객 가치와 수익성을 높이고 전동화 선도 브랜드의 위상을 공고히 이어나갈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국내 53만대, 해외 266만 3천대, 특수 7천대 등 글로벌 320만대 판매를 목표로 세웠다.
■ 국내 판매
기아가 2023년 역대 최대 국내 판매를 기록했다.
기존 국내 최대 판매는 2020년에 기록한 55만 2,400대다.
기아는 2023년 국내에서 2022년 대비 4.6% 증가한 56만 3,660대를 판매했다.
2023년 한해 동안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8만 5,811대가 판매됐으며 카니발(6만 9,857대), 스포티지(6만 9,749대)가 뒤를 이었다.
승용 모델은 레이 5만 930대, K8 4만 437대, K5 3만 4,579대, 모닝 2만 5,879대 등 총 16만 9,410대가 판매됐다.
쏘렌토와 카니발, 스포티지를 포함한 RV 모델은 셀토스 5만 837대, 니로 2만 3,475대, EV6 1만 7,227대 등 총 33만 28대가 판매됐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6만 2,919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6만 4,222대가 판매됐다.
■ 해외 판매
기아의 2023년 해외 판매는 2022년 대비 6.7% 증가한 251만 6,383대를 기록했다.
기아는 미국, 유럽, 인도에서 연간 최대 판매량을 경신하며 주요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실적을 기록했다.
2023년 기아는 미국 82만 3,910대, 유럽 60만 6,788대, 인도 25만 5천대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세 시장의 기존 연간 최대 판매 실적은 미국 70만 4,088대(’22년), 유럽 54만 7,107대(’22년), 인도 25만 4,556대(’22년)다.
2023년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스포티지로 45만 3,753대가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9만 3,176대, K3가 20만 9,669대로 뒤를 이었다.
■ 특수 판매
같은 기간 특수 차량은 국내 2,166대, 해외 3,562대 등 총 5,728대가 판매됐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해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현상 완화로 인한 생산 물량 증가 및 공급 확대와 더불어 EV9, 더 뉴 쏘렌토, 더 뉴 K5, 더 뉴 카니발 등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를 통해 역대 최대 연간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는 현대차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공장인 오토랜드 광명 전기차 전용공장을 완공해 소형 전기차 EV3 판매를 시작함으로써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며 “2024년에도 상품성을 기반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이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3년 12월 판매
한편 지난달 기아는 2022년 12월 대비 9.2% 감소한 21만 3,543대를 판매했다.
국내외를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스포티지로 3만 7,817대가 판매됐다.
국내에서는 2022년 12월 대비 10.7% 감소한 4만 4,803대를 판매했으며 차종별로는 쏘렌토(8,068대), 스포티지(5,739대), 카니발(5,305대) 순으로 많이 판매했다.
해외에서는 2022년 12월 대비 8.7% 감소한 16만 8,125대를 판매했으며 차종별로는 스포티지(3만 2,078대), 셀토스(2만 5,509대), K3(1만 6,378대) 순으로 많이 판매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GS글로벌, T4K 커피트럭 선보여
-
[EV 트렌드] 충성고객은 옛말, 전기차 살 때 85% 다른 브랜드 선택
-
볼수록 신기, 현대모비스 '접히고 움직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혁신 기술 시연
-
伊 피아트 CEO '칙칙한 회색' 더 이상 없을 것...600e 타고 페인트 통 풍덩
-
[스파이샷] 현대 아이오닉7
-
[스파이샷] 링컨 에비에이터
-
[스파이샷] 포드 익스플로러 ST라인
-
[스파이샷] 오펠 콤보 라이프 F/L
-
[스파이샷] 스코다 코디악
-
인피니언,차량용 1200V CoolSiC™ 트렌치 MOSFET 출시
-
타타대우상용차, 우리금융캐피탈과 합작법인 설립 MOU 체결...합리적 금융상품 제공
-
팰리세이드 긴장하겠네, 토요타 7인승 SUV '하이랜더' 사전 계약 시작
-
中 광저우자동차, 세계 최초 암모니아 엔진 개발...상용화 가치 충분에 글쎄?
-
루시드 손 잡은 애스턴마틴...3조 3000억 투자, 2025년 초호화 전기차 출시
-
KATECH KEIT HUST,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협력
-
美 고속도로에서 목격된 테슬라 신형 모델 3 '날렵? 램프 디자인이 궁금해'
-
정부,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 나서 '국토부·산자부 협업' 국가표준 제정
-
[기자 수첩] 이러다 '짜장카' 美 신차 품질 조사 꼴찌 '볼보와 폴스타'
-
'5분 충전으로 160km 주행' 스토어닷 XFC 배터리 시스템 유럽에서 주목
-
[아롱 테크] 자동차, 타이태닉 심해 잠수정 '타이탄' 못지 않은 압력 버텨야
- [유머] 효녀 되려다 망한 버튜버
- [유머] 요즘 교권 상황..
- [유머] 번개장터에 올라온 노가다 구인글
- [유머] 같이 먹으면 독이 되는 음식
- [유머] 내향인이 천재가 되는 순간
- [유머] 비오는날 배달시키면 안되는 이유
- [유머] 싸구려 입맛들의 특징
- [뉴스] 다운증후군 작가 정은혜, 알고보니 '아트센터 대표'... '자화상 작품 경매에서 950만원에 낙찰'
- [뉴스] 군대 간 차은우, 뭐하나 물었더니... '설거지 열심히 하고 있더라'
- [뉴스] '젤리서 마약 성분 검출?'... 서울시, 학원가 일대 '해외 수입 젤리' 불법 판매상 집중 단속
- [뉴스] 최서원 강제구인 당시 '염병하네'... 특검, 8년 전 청소부 발언 인용해 尹 저격
- [뉴스] 내일, 수도권에 120㎜ 폭우 온다... '물폭탄, 주의해야'
- [뉴스] 여친 폭행 후 방화 시도까지... 경찰, '불법체류' 중국인 체포
- [뉴스] '버닝썬 가해자' 변호한 전치영, 공직기강비서관 임명...국힘 '2차 가해, 즉각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