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287
찢어진 모양의 헤드램프가 요즘 대세 라고요?
조회 6,17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2-11 17:25
찢어진 모양의 헤드램프가 요즘 대세 라고요?

요즘 차들의 디자인은 정말로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당연히 높아진 디지털 기술의 비중 덕분이기도 하겠지만, 사실상 디지털 기술 자체는 우리들의 눈에 직접 보이는 것은 아니기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됐다는 생각을 할 뿐, 실제로 적용되는 것 자체는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술이 적용됐다는 사실이 그야말로 눈에 ‘확’ 띄는 부품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차량의 헤드램프 일 것입니다.

실제로 최신형의 람보르기니 슈퍼카 리부엘토 같은 차들은 가는 줄무늬의 주간주행등이 마치 알파벳 Y를 옆으로 돌려놓은 형태로 앞쪽 끝에 샤프하게 디자인돼 있습니다. 저 흰색 띠 모양으로 램프가 켜진 부분의 폭은 10mm 정도밖에 되지 않을 것입니다.

마치 네온 간판의 불빛처럼 가늘고 긴, 그렇지만 매우 밝게 켜진 주간주행등은 차량의 전면을 매우 인상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1960년대의 람보르기니 400GT 모델을 보면 둥근 왕눈이 헤드램프를 달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한 개가 아니라 두 개를 넣은 이른바 ‘쌍 라이트’ 입니다.

물론 그 시기의 또 다른 람보르기니 모델 350GT는 타원형의 싱글 라이트이기도 합니다. 지금 저 차들의 모습을 보면 고성능 스포츠카이기보다는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인상이 더 눈에 들어옵니다.

그런데 이런 변화는 우리 주변에서도 보입니다. 제네시스의 플래그십 모델 G90의 헤드램프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램프 디자인 아이덴티티 요소인 ‘두줄’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이 단지 띠 모양의 주간주행등 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는 전방을 비춰주는 헤드 램프도 달려 있습니다. 이른바 픽셀 라이트 라고 불리는데요, 반도체 발광 소자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일렬로 배치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LED 는 반도체 기술이 응용된 것으로 원자 주변의 자유전자들이 흐를 때 빛을 내는 비소화갈륨(gallium arsenide) 같은 물질를 응용한 새로운 광원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구’ 라고 불리는, 에디슨이 발명한 이래 200년 가까이 쓰여온 백열전구는 빛을 낼 때 동시에 엄청난 열이 나므로, 그로 인한 전력 손실이 상당히 크지만 발광 다이오드(LED)는 거의 열을 내지 않는 냉광(冷光) 이라고 합니다. 자연계에서는 반딧불이의 불빛이 열이 나지 않는 냉광 입니다.

열 손실이 없으므로 LED는 당연히 적은 전류로 아주 밝은 빛을 내는 고효율 광원입니다. 그러나 LED는 한 개만으로는 빛을 확산시키기는 어려워서 조명으로 쓰려면 여러 개를 묶어서 배치하거나 일렬로 배치하고 확산렌즈를 결합시키는 등의 방법을 써야 합니다. 그 대신에 전구를 쓸 때 반드시 필요했던 커다란 면적의 둥근 반사경이 필요 없습니다. 이건 정말로 램프 디자인에 큰 혁신을 가져온 이유입니다.

전구를 커다란 둥근 반사경에 붙이고 열을 발산하기 위해 전구 앞으로 반드시 일정한 공간이 필요했던 과거의 둥근, 또는 사각형 헤드램프를 비롯해 테일 램프 등등의 모든 램프 디자인이 그저 LED를 긴 띠 모양이나 심지어 링 형태로 배열하는 것만으로도 배광 성능을 내는 게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커다란 왕눈이 이거나 아니면 커다란 사각형 틀 속에 둥근 반사경을 네모로 잘라서 집어넣었던 과거의 헤드램프 디자인이 이제는 가는 줄무늬 형태로 바뀌어 버렸습니다.

슬림한 96mm의 헤드램프 디자인으로 로 1992년에 나왔던 세피아 승용차는 전구를 사용한 헤드램프였기에 슬림한 헤드램프 하우징을 설계할 때 반사경 기능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지만, 잘 설계돼서 전구를 사용한 헤드램프로서는 가장 슬림 한 것 중의 하나가 되기도 했습니다.
물론 요즘은 96mm 두께의 램프는 거의 벽돌 크기 수준으로 슬림한 축에도 들지 못합니다. 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 류는 정말로 10mm 정도의 두께로 만들면서도 매우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주간주행등을 비롯해서 정말로 다양한 디자인의 램프 류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줄무늬 디자인은 우리나라 자동차는 물론이고 거의 모든 글로벌 자동차기업의 차들도 비슷한 그야말로 ‘쭉 찢어진’ 형태의 디자인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보면서 문득 드는 생각은 잊을만하면 뉴스에서 나오는 모습 중에 서양 사람들이 동양인의 모습을 비하하듯이 표현할 때 눈을 옆으로 찢은 듯이 만드는 행동이지만, 정작 그런 모습이 동서양의 자동차 모두의 헤드램프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진화론적 설명-그게 정말 맞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을 보면 인류가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대륙의 사막을 통과하면서 수백만 년의 시간 동안 모래바람을 맞았고 그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눈이 가늘게 진화한 것이라는 주장도 존재합니다만, 그 주장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생명체가 결국 환경에 적응해 살아나가는 것이라고 한다면, 동양인의 슬림 한 눈은 생물학적으로 더 강력한 생존력을 가진 상태로의 진화와 발전의 결과라고 말 할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그런 이야기를 굳이 거론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슬림 헤드램프는 기술 개발에 의한 더 효율적인 형태로의 진화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 지구상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가 눈 둘, 귀 둘, 코 하나, 입 한 개를 똑같이 가지고 있지만, 정말 놀라운 건 그럼에도 똑같은 얼굴을 가진 사람은 하나도 없이 모두가 다른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참으로 신기한 일입니다. 백수의 왕 사자를 비롯한 모든 동물들은 거의 모두가 똑같이 생겼습니다. 물론 자세히 보면 사자들도 얼굴이 잘생긴(?) 녀석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 같긴 합니다만….
아무튼 지구에 수십억의 사람들이 저마다 다른 자연환경과 문화 속에 살면서 다른 모습을 가지는 건 너무나 당연할 것입니다. 이야기가 조금 옆으로 샜습니다만, 오늘날의 가늘게 찢어진 램프가 대세가 된 건 기술 개발 덕분입니다. 디지털 기술의 LED 덕분에 더 효율적이면서도 더 멋진 램프를 단 차들을 만나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머스크, 정치 기부 줄이고 CEO 5년 연장…투자자들은 안심할까
[0] 2025-05-21 17:25 -
일론 머스크, 정치 후원 축소 선언…테슬라 CEO로 5년 더 재임 의지 밝혀
[0] 2025-05-21 17:25 -
토요타, 차세대 RAV4 공개…독자 OS '아린' 첫 탑재로 SDV 전환 본격화
[0] 2025-05-21 17:25 -
정부, 미국 관세 대응 위해 바이오·자동차 산업 긴급 지원책 발표
[0] 2025-05-21 17:25 -
미국, 멕시코산 자동차에 평균 15% 관세 적용
[0] 2025-05-21 17:25 -
르노, 기술 협력 통해 전기차 시대 대응…데 메오 CEO 발언 주목
[0] 2025-05-21 17:25 -
'PHEV, 전기 모드로 150km' 도요타, 6세대 신형 RAV4 세계 최초 공개
[0] 2025-05-21 17:25 -
GM 한국사업장 고객센터, KSQI 우수 콜센터 22년 연속 선정...서비스 역량 입증
[0] 2025-05-21 14:25 -
[EV 트렌드] '돌발 시 원격 대처' 테슬라, 내달 텍사스 오스틴서 로보택시 운행
[0] 2025-05-21 14:25 -
이 가격 실화? 도요타, 테슬라 모델 Y 절반 수준 2000만원대 'bZ5' 공개
[0] 2025-05-21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한국타이어, 영국 전기차 박람회 런던 EV 쇼 2023 아이온 제품군 공개
-
[EV 트렌드] 중국, 저가형 전기차만 산다, 폭스바겐 보급형 신규 EV 플랫폼 개발
-
대담하고 미래 지향적, 정의선 회장, 美 오토모티브 뉴스 올해의 리더 선정
-
[아롱 테크] 전기차 핵심 BLDC 모터, 희토류 등 광물 의존도 낮추기 위해 전력
-
[칼럼] 전기차 충전기 점령군 1톤 트럭...LPG 전환, 환경 개선 첨병으로 변신
-
'부산은 준비 끝' 현대차그룹 아트카 파리로...엑스포 유치를 위한 마지막 여정
-
[오토포토] 포르쉐, 3세대 완전변경 파나메라 '보기보다 많이 변했네'
-
글로벌 최초 공개 현장에서 3세대 '파나메라'… 포르쉐 75년 전례 없는 승차감
-
[기자수첩] 현대차 비상, 전미자동차노조
-
람보르기니, 디자인을 뛰어넘는 공기 역학 마스터 '레부엘토' 영상 공개
-
테슬라, 중국시장에 FSD 도입 추진?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골프 브랜드 테일러메이드와 손잡고 한정판 아이언세트 출시
-
중국 지리차 레이다 오토, 라오스에 전기 픽업트럭 RD6 출시
-
미국 플로리다법원, 테슬라 운전 지원 시스템 결함 인정
-
르노트럭, E-Tech T 및 E-Tech C 트럭 양산 개시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스웨덴 파업에 대해 “미친 짓”
-
폴스타 트루스 봇 출시, COP28에 앞서 기후 변화의 부정확한 정보 바로 잡는다
-
지프 랭글러 지프 랭글러 4XE 등 3만 2000대 '잠재적 화재 우려' 리콜
-
현대차 아산공장, UL 솔루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플래티넘 등급 획득
-
2024 올해의 트럭 '볼보FH일렉트릭' 대형 전기 트럭 최초...4번째 수상 기록
- [유머] 돌아버린 롯데리아 근황
- [유머] 극단적인 소녀
- [유머] 시장활성화 시킨 칸예
- [유머] 젝팟 터지고 48만원 받은 사람
- [유머] 젬버리 근황
- [유머] 카톡선물 하겐다즈케이크 후기
- [유머] 카페에서 고백받은 미남썰
- [뉴스] 소녀시대 3인방 미국서 뭉쳤다... '킹 오브 케이팝, 이수만 응원'
- [뉴스] 다운증후군 작가 정은혜, 결혼 비하인드 공개... '2세 계획 없어, 피임 교육도'
- [뉴스] 제주공항 화장실 세면대서 '핸드워시'로 머리감는 여성
- [뉴스] 의식없는 여성 성폭행한 장면 인터넷 방송으로 생중계한 BJ... 법원이 내린 처벌
- [뉴스] 제주 카지노 놀러온 외국인 관광객, 1000원 베팅했다가 2억 '잭팟' 맞았다
- [뉴스] 서울 지하철 1~8선 첫차 30분 앞당겨... 오전 5시부터 운행
- [뉴스] 소녀시대 수영 출연하는 '존 윅' 스핀오프 영화 '발레리나' 티저 공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