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15[김흥식 컬럼] 중국산 전기차 공세 맞서려면 '소박한 2000만 원대 보급형' 모델 필요
조회 4,39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2-11 17:25
[김흥식 컬럼] 중국산 전기차 공세 맞서려면 '소박한 2000만 원대 보급형' 모델 필요
중국 전동화 모델 판매 1위 BYD SONG PLUS DM-i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소비국이다. 올해 예상하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 대수 1400만 대 가운데 절반이 넘는 800만 대를 중국이 차지할 전망이다.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는 BYD '송(Song)'이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를 포함했을 때 3분기까지 누적 42만 8236대를 팔았다. 하지만 순수 전기차만 놓고 보면 테슬라 모델 Y(32만 2180대), BYD 돌핀(Dolphin, 24만 4387대) 순이다.
소형 SUV 송의 가격은 3000만 원대 후반, 소형 해치백 돌핀은 2300만 원대에 불과하지만 주행 거리가 400km를 넘는다. 가성비로 보면 대적할 차가 없다. 역시 2000만 원대인 BYD의 또 다른 저가형 전기차 얀(Yuan)도 24만 대가 팔렸다.
테슬라 모델 3가 순수 전기 단일 모델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성장세가 예년 같지 않다. 400km 이상을 달리는 전기차를 2000만 원대에 살 수 있다면 선택이 뻔해 올해 연간 판매량 아니면 내년 상반기에는 BYD 돌핀과 얀이 선두로 치고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유럽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기차도 테슬라 모델 3다. 모델 Y와 함께 3분기 누적 판매 대수가 27만여 대에 이른다. 폭스바겐 ID.4가 6만 4000여대로 추격하고 있지만 차이가 크다. 주목할 것은 유럽에는 기존 완성차와 스타트업의 3000만 원대 초반 순수 전기차가 많다는 점이다.
다치아 스프링, 시트로엥 e-C3, e.Go e.wave X, 르노 트윙고, 피아트 500e 등이 2만 유로(약 2800만 원)대에 팔리는 대표적 순수 전기차다. 이들 전기차의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20kWh~40kWh 정도인 저용량 배터리를 탑재했기 때문이다.
전기차의 성능이나 가치를 배터리 용량을 가리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거리로만 따지는 우리와 다르게 유럽에서는 완충 후 200km 내외에도 거부감이 크지 않다. 배터리 용량을 줄여 가격을 낮춘 전기차가 의외로 많이 팔리는 이유다.
국산 전기차 가운데 3분기까지의 누적 판매 대수가 가장 많은 기아 니로 일렉트릭은 이들 모델 대비 두 배가량의 주행 거리를 갖고 있지만 4만 유로가 넘는 가격으로 이 목록의 중간 아래로 떨어져 있다. 가격과 실용성이 주행 거리를 추월한 것이다.
이런 시장의 흐름에 맞춰 세계 최대 완성차 폭스바겐도 2만 유로대의 저렴한 전기차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폭스바겐은 저가의 보급형 전기차를 함께 개발할 파트너까지 찾고 있다. 이에 맞는 플랫폼 개발을 마친 폭스바겐은 르노와 협력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폭스바겐은 올해 초 2만 5000유로 미만의 ID 2 all 출시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보다 작고 효율적인 전기차 개발도 진행 중이다. 르노 역시 트윙고 e-테크 후속으로 2만 유로 미만의 레전드(Legend)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푸조와 피아트 등도 저렴한 가격대의 전기차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작고 효율적이며 저렴한 가격대의 전기차를 경쟁적으로 개발하는 이유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은 강력한 차별과 규제로 중국산 전기차와 배터리가 아예 발을 들이지 못하게 했지만 유럽은 아직 유연해 중국이 호시탐탐 노리는 시장이다.
중국 견제를 위한 것 이상으로 많은 전문가는 이제 고효율,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한 크고 비싼 전기차 수요가 한계에 이르렀다고 본다. 국내에서도 중국산 전기차 공세가 심상치 않다는 얘기가 요즘 자주 나온다. 상용차 특히 전기 버스 시장은 절반을 위협하고 있다. 내년에는 세계 최대 BYD의 승용 전기차 출시도 예고돼 있다.
국산 전기차는 극히 제한적 수요가 있는 일부 모델을 제외하면 대부분 출력이 어떻고 제로백이 몇 초 인지를 내세운 성능 그리고 첨단 사양을 적용했다며 초고가 위주로 상품을 구성하고 있다. 전기차의 제로백 또 첨단과 혁신이라는 포장이 왜, 고가(高價)의 변명이나 빌미가 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산 저가의 전기 승용차가 들어 온다면 절반가량을 점유한 버스 시장과 20%를 점유한 화물차 꼴이 나는 건 시간 문제다. 현대차와 기아의 2000~3000만 원대 보급형 전기차가 시급한 이유다. 멀리 가는 것보다 작고 저렴한 소박한 전기차가 진짜 대중화를 이끌어야 한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기아, 1분기 사상 첫 77만대 돌파… 3월 27만 8058대 전년 대비 2.2%↑
[0] 2025-04-01 17: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자동차 이상으로 빛날 부품기업들의 도전 현장
[0] 2025-04-01 15: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MW 코리아, i4 M50·iX M70 국내 최초 공개
[0] 2025-04-01 15: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전동화 기술 리더십 과시 및 소통 강화
[0] 2025-04-01 15:25 -
현대차, 특별교통수단ㆍ셔클 플랫폼으로 화성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제공
[0] 2025-04-01 15:25 -
전기차스럽게,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부분변경...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0] 2025-04-01 15:25 -
기아, 전기차 대중화 전초기지 '광명 EVO Plant' 고객체험 공간 운영
[0] 2025-04-01 15:25 -
제네시스, 프리미엄 SUV 경쟁 열세... BMW 우세 속 벤츠와 3파전
[0] 2025-04-01 15:25 -
'도로 위 강렬한 존재감' 국내서 위장막 없이 포착된 기아 PV5
[0] 2025-04-01 15:25 -
르노코리아, 쿠페형 SUV '아르카나' 업그레이드…2300만 원부터 시작
[0] 2025-04-01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중국, 2023년 신차 판매 3,000만대 돌파?
-
현대차·기아-현대백화점, 주차요금 카페이 도입 MOU 체결
-
넥센타이어, 국립해양박물관과 협업해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전시
-
[EV 트랜드] 테슬라 공개 충돌 장면에 경악...유럽, 사이버트럭 수입 금지 성명
-
[기자 수첩] '사이버공격과 테슬라 모델 3' 총 한방 쏘지 않고 미국을 무너뜨렸다
-
2023년 1~10월 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254.5GWh, 전년 동기 대비 52.8% 성장
-
2023년 1~10월 글로벌[1] 전기차 인도량[2] 1099.5만대, 전년 대비 36.4% 성장
-
2023년 1~10월 글로벌[1]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2] 552.2GWh, 전년 동기 대비 44.0% 성장
-
BMW 코리아, 12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3종 출시
-
[영상] 돌아보게 만드는 매력, 푸조 308 GT 시승기
-
[재미진카] 요구르트 색, 렉스턴 스포츠 쿨맨에 Ⅹ파리가 유독 많이 꼬이는 이유
-
만트럭, MAN 옵티뷰 사양 적용된 ‘뉴 MAN TGX 옵티뷰’ 1호차 전달...판매 박차
-
새로운 MLA-Flex 플랫폼 적용한 PHEV 최초 도입 '레인지로버 2024년형' 사전 계약
-
연식 넘어가는 이 때가 기회, 비수기 중고차 평균 가격 0.96%하락↓
-
현대차, 최고 중 최고의 정비사 '그랜드 마스터' 인증 평가...최종 20명 선정
-
찢어진 모양의 헤드램프가 요즘 대세 라고요?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2세대 완전변경 ‘더 뉴 GLC 쿠페’ 출시
-
폭스바겐, 11만 2000명 대상 가혹한 구조조정...14조 절감, 대규모 투자 속속 철회
-
[EV 트렌드] '막오른 전기차 대중화 시대' 내년 상반기 기아 EV3에 기대감 고조
-
BMW 공식 딜러사들 철학 담은 12월 온라인 한정 인디비주얼 에디션 3종 출시
- [유머] 흑인 혹은 한국인 머리색 지칭은 성희롱입니다
- [유머] 에드.. 워드.. 오빠...
- [유머] 혜자 도시락 신상 근황
- [유머] 즐거운 직장생활
- [유머] 겉절이 치킨
- [유머] 인형뽑기 빌런
- [유머] 하늘을 나는 마법새
- [뉴스] '커피 특공대' 자처한 충주맨... '산불'로 난리난 경북 안동 공무원들 울린 사연
- [뉴스] 청주 초등생들, '화산폭발 실험' 중 단체로 병원행... 현장에 무슨 일이?
- [뉴스] 대형 산불로 사망자 1명 더 늘어나... 이재민 3278명 대피소 생활
- [뉴스] 동덕여대 학생 10여명, '건조물 침입 혐의' 로 이번주 경찰 조사 시작
- [뉴스] '아내가 동기와 바람 나 '1호 불륜 부부' 됐어요'... 어느 사내 커플 남편의 하소연
- [뉴스] 지드래곤, 콘서트 뒤풀이서 '코'로 촛불 끄고 소주병 들고 춤 춰... 털털한 실제 모습
- [뉴스] 유명 야구선수 아내, 뒤늦게 학폭 가해자 들통... 결국 이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