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81[아롱 테크] 인구 1000만명 '메가 서울' 교통문제는 무엇으로 풀 것인가
조회 4,56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1-06 11:25
[아롱 테크] 인구 1000만명 '메가 서울' 교통문제는 무엇으로 풀 것인가
[오토헤럴드=김아롱 칼럼니스트] 김포시를 서울시로 편입하는 일명 ‘메가 서울’ 이슈가 정치권은 물론 서울과 김포 주민뿐 아니라 모든 국민의 메가급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데요. 서울이 김포를 편입하면 약 941만 명의 세계 10대 도시에서 100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메가시티'가 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뿐만 아니라 대도시로의 인구집중화 현상은 전 세계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현재 전 세계 인구는 약 80억 명에 가까운데요 이중 70% 이상이 도시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구의 도시 집중화로 초거대도시인 메가시티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일반적으로 거주인구가 1000만명이 넘는 초 거대도시를 메가시티로 정의하고 있는데요, 미국 뉴욕이나 중국 상하이, 일본 도쿄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의 도시집중화는 지난 수십여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오고 있는데요.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다양한 산업과 서비스 등 경제활동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일자기 기회가 많을 뿐 아니라 수준 높은 교육과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문화 및 즐길거리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과 달리 대도시화는 사회나 경제적인 문제뿐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인구밀도가 높다보니 전기에너지를 비롯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에너지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해 환경오염이 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다양한 산업활동과 자동차로 인한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의 증가로 교통체증이 심할 뿐 아니라 주차문제 또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고속도로안전협회(NHTS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단 5%의 자동차만 지속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나머지 95%의 차량 대부분은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도시의 교통혼잡을 유발시키는 원인 가운데 주차할 곳을 찾으러 다니거나 주차를 위해 서행하는 등과 같은 주차문제가 25~30%를 차치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 바로 전기차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량입니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하고 사고 예방 그리고 사고가 발생해도 탑승자와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화해 줄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특히 자율주행차는 이러한 교통사고 제로(Zero)를 위한 안전사양 뿐 아니라 메가시티와 같은 도시집중화에 따른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되고 있기도 합니다.
자율주행기술은 차량과 교통신호체계 등 도시인프라가 서로 통신(V2I, Vehicle to Infra)을 통해 교통흐름을 최적화해 교통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함으로써 교통체증과 같은 교통혼잡을 줄일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버스나 자율주행 택시와 같은 자율주행 기반의 대중교통 수단 역시 편리하교 효율적인 대중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와 같은 전동화차량 기반의 자율주행차의 경우 배출가스 제로 또는 원활한 교통흐름으로 인해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지요.
또한 심각해지고 있는 주차난과 관련해서도 스스로 주차할 곳을 찾아가는 스마트주차 및 자동주차시스템을 통해 주차로 인해 유발되는 교통혼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주차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에 적용된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메가시티에서의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도 일조하고 있기도 합니다.
자율주행차는 이외에도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자 등 교통약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들수록 인지능력이 떨어져 운전하기가 어려워질 뿐 아니라 이동수단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충분히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수단이 없어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자율주행차는 교통약자들이 직접 운전하지 않고도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러한 이유로 자율주행차는 메가시티의 사회적 문제는 물론 교통문제와 환경문제, 도시인프라 개선을 위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김아롱 칼럼니스트/[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현대차, 일본 오키나와 EV 렌터카 프로모션…“여행하며 전기차 체험”
[0] 2025-04-18 14:00 -
'하루 한대꼴' 르노코리아 판매왕 정의영 마스터 '카톡에 고객 5000명'
[0] 2025-04-18 14:00 -
중국 정부 '스마트ㆍ자율주행' 광고 금지... ADAS 무선 업데이트도 제동
[0] 2025-04-18 14:00 -
[시승기] 르노 아르카나 하이브리드 E-Tech '시작부터 끝까지 놀라운 연비'
[0] 2025-04-18 14:00 -
[EV 트렌드] BYD, 프리미엄 브랜드 방청바오 '타이3' 2000만원대 출시
[0] 2025-04-18 14:00 -
수동변속기로 6분 56.294... 포르쉐 911 GT3, 뉘르부르크링 신기록
[0] 2025-04-18 14:00 -
혼다 네이키드 모터사이클 ‘CB1000호넷SP’50대 한정 온라인 상담 시작
[0] 2025-04-18 13:45 -
비겁한 변명, 음주운전 왜 했나 물었더니 '대리운전이 없어서'가 최다
[0] 2025-04-18 13:45 -
현대차, 美 시사주간지 선정 ‘최고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3개 차종 수상
[0] 2025-04-18 13:45 -
캐딜락 플래그십SUV ‘더 뉴 에스컬레이드’ 하루만에 초도 물량 완판
[0] 2025-04-18 13: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폭스바겐코리아, 골프 50주년 기념 ‘8세대 골프 X가수 권은비개그맨 김민수’ 화보 공개
-
조향감, 제동감 이런 거 없다...미래 자동차 '펀 투 드라이브' 사라진다.
-
한국타이어 후원 포뮬러 E ‘2024 한국 멕시코시티 E-PRIX’ 파스칼 베를라인 우승
-
'방향지시등 작동 확률 30%' 테슬라 사이버트럭 황당한 품질...단차 논란 여전
-
폭스바겐그룹, 2023년 12% 증가한 924만 대 기록...전기차 34.7%↑
-
[공수전환] 제네시스 3.5세대 G80 Vs BMW 8세대 5시리즈 '당신의 선택은?'
-
[김흥식 칼럼] 비(非)중국? 해괴한 기준으로 BYD를 깍아 내리는 한국
-
폭스바겐, 타임리스 아이콘 '8세대 골프와 가수 권은비ㆍ개그맨 김민수'의 만남
-
포르쉐, 작년 911ㆍ타이칸 실적 견인 총 32만221대 판매...중국 판매 주춤
-
현대차,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 기반 게임 ‘현대 퓨처 어드벤처’ 출시
-
[EV 트렌드] '이렇게 나오면 대박' 볼보, 전기 세단 ES90 예상 디자인 등장
-
'오로라 프로젝트, 잘 되고 있죠?' 파블리스 캄볼리브 르노 브랜드 CEO방한
-
못 말리는 인기, 美 베스트셀링카 톱 3 또 픽업트럭...포드 F-시리즈 75만 대
-
'전 차종으로 확대 계획' 아이오닉 5 N 퍼포먼스 콘셉트 'NPX1' 최초 공개
-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완벽한 밸런스'를 위해 총 350만km 극한 테스트
-
제네시스 3세대 G80 F/L,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
중국, 2023년 신차 판매 12% 증가한 3,009만대
-
IEA,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 증가 가능”
-
메르세데스 벤츠, 2023년 전기차 판매 73% 증가
-
콘티넨탈, ‘2023 AFC 카타르 아시안컵’ 공식 후원 기념 아시아 전역에서 소비자 이벤트 진행
- [유머] 아시아나 문짝 연 사람 근황
- [유머] 코난 30년 후 모습
- [유머] 점점 판을 키우는 다이소 근황
- [유머] 가장 어울리는 캐스팅은...?
- [유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
- [유머] 일본에서 제일크다는 12살
- [유머] ???: 따라해 쌀때 사서...
- [뉴스] '나만의 관식'... 해외 유부녀들 사이에서 '밈'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관식이병'
- [뉴스] 이봉주, '난치병 극복'하고 다시 뛰었다... 가수 션이 전한 감동 근황
- [뉴스]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루머에 분노한 아내 김송... 악플러에 일침 날렸다
- [뉴스] 자택 안방서 살해당한 여교수... 고작 '4만원' 때문에 살인 저지른 범인
- [뉴스] 박보검이 촬영장서 딱 한 번 '정색'했던 이유... 아이유 '어른으로서 멋지다고 생각'
- [뉴스] '네가 남긴 숙제를 이해했어'... 故 설리 친오빠, 또 의미심장 글 올렸다
- [뉴스] 85명의 '정자 기증자'로 수천명의 아기 태어난 '이 나라'... 전국적으로 '근친혼' 우려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