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96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9-05 17:25
[김흥식 칼럼] 현대차ㆍ기아, 훔치기 쉽다고 소송까지 당했는데...美 도난 차 1위는?
미국에서 절도범들이 가장 많이 훔치는 차는 픽업트럭이다.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미국은 자동차 천국이다. 등록된 자동차만 2억 8000만 대, 한창때 연간 1700만 대가 팔린 거대 시장이기도 하다. 동시에 32초당 한 대, 연간 100만 대가 도둑의 표적이 되는 차량 범죄 천국이기도 하다.
범죄 영화를 보면 마약과 절도, 강도 등에 훔친 차량을 이용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미국 보험범죄국(NICB)에 따르면 도난 차량의 85%는 다시 주인을 찾는다고 한다. 이 가운데 34%는 단 하루, 45%는 이틀 만에 회수된다. 잘 훔치고 잘 찾는 나라다.
이런 미국에서 특정 연식의 현대차와 기아 특정 모델을 대상으로 한 도난 범죄가 지난 2021년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사회적 이슈가 됐다. 10대 청소년들이 여기 저기 SNS에 차량을 훔치는 영상을 공유하면서 일종의 놀이처럼 번졌다.
미국 사회가 들썩였다. 현대차와 기아는 자동차를 너무 쉽게 훔칠 수 있게 만들었다는 황당한 비난과 함께 캘리포니아, 워싱턴, 뉴욕, 밀워키 등 여러 도시와 소비자 단체로부터 소송까지 당했다.
이들은 현대차와 기아가 도난 방지 기술(엔진 이모빌라이저)을 장착하지 않은 탓에 도둑의 표적이 됐고 심지어 '차량 결함'으로 몰아 대규모 리콜과 거액의 손해 배상, 그리고 행정적 처분과 벌금 부과를 요구했다.
미국 교통안전국(NHTSA)은 '차량 결함 그리고 안전과 무관하다'며 리콜 요구를 거부했지만 현대차와 기아는 차량 도난 피해를 본 운전자들의 단체 소송 합의금으로 2억 달러(약 2650억 원)을 내놓기도 했다. 도난 방지를 위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도 천문학적 비용을 썼다.
그러나 정작 미국에서 도난 범죄에 가장 많이 노출된 차는 다른 모델이다. 미국 안전보험협회 산하 연구소(IIHS-HLDI)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2022년형 차량 가운데 가장 많이 도난을 당한 모델은 닷지 차저 SRT 헬캣(Hellcat)과 닷지 차저 HEMI다.
미국 보험범죄국(NICB)의 2022년 도난 차량 순위
일반적인 단순 도난 건수가 아닌 보험 청구 건수를 기준으로 한 순위지만 닷지 차저 SRT 헬캣은 다른 모든 차량의 평균보다 60배, 닷지 차저 HEMI는 20배 이상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주장대로 훔치기 쉬운 차를 품질 결함으로 본다면 이들 차도 심각한 수준이다.
현대차와 기아 모델 가운데 보험 청구 건수를 기준으로 한 가장 높은 순위는 6위 기아 스포티지 4WD(479건)다. 인피니티 Q50(878건),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4WD(611건)보다 순위가 낮다.
SNS 여파로 도난 범죄가 급증했다고 하지만 미국 보험범죄국(NICB)이 최근 발표한 2022년 도난 차량 순위에도 현대차와 기아는 상위권에 없다.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은 도난 건수를 기록한 모델은 4만 9903건을 기록한 쉐보레 픽업이다.
2위는 4만 8175건의 포드 픽업, 3위는 2만 7113건의 혼다 시빅이다. NICB에 따르면 미국에서 연간 발생하는 차량 절도 사건은 연간 100만 건이다. 쉐보레와 포드 픽업이 전체 차량 절도 사건의 1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차량 도난이 많은 건 그만큼 훔치기 쉽다는 얘기다. 쉐보레와 포드 픽업트럭은 가격만 놓고 봤을 때 소유주가 입게될 금전전 피해가 챌린지 대상이 된 현대차와 기아 모델의 2배~3배 이상이다. 매우 심각한 상황인데도 쉐보레나 포드의 품질 결함, 손해 배상, 청소년 범죄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
국산차 가운데 현대차 쏘나타가 2만 1707대로 혼다 어코드(2만 7089대)에 이은 5위로 가장 높은 순위에 있다. 그리고 현대차 엘란트라(1만 9602대), 기아 옵티마(1만 8221대) 그리고 도요타 캠리(1만 7094대) 순이다.
최근에는 미국의 범죄 증가 현상이 현대차와 기아 차량 절도 때문이라는 허무맹랑한 주장까지 나왔다. 물건을 훔친 범죄자를 두고 현대차와 기아 탓만을 하고 있는 정치인 그리고 저명한 언론까지 도둑놈 편을 드는 한심한 일이 지금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자신들이 무조건 정의롭고 바르며 정직하다고 믿고 그래서 모든 잘못을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전형적인 미국식 사고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자동차·기아,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 ‘로테이터캠’ 공개
-
IAA 모빌리티 2023 5신 - 메르세데스-벤츠, MMA 기반의 소형차 라인업 재편
-
SK온, 최고 전도도의 새로운산화물 기반 고체 전해질 공동 개발 성공
-
테슬라, 기가 상하이 누계 200만대 생산 돌파
-
[아롱 테크] 썩지 않는 합성 고무 대신 쌀겨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 타이어
-
현대차 '2024 아이오닉 6' 선호 사양 기본화, 1주년 기념 패키지도 출시
-
안전기준 부적합 르노 35억 · 벤츠 30억 · 현대차 24억 과징금 철퇴
-
기아, 롯데글로벌로지스와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및 물류 전용 PBV 개발 위한 MOU 체결
-
KATECH-KEIT-KETI-KOMERI-RISE 첨단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
-
[공수전환] 신국면 맞이한 LFP 배터리, 토레스 EVX Vs 신형 코나 일렉트릭
-
기아, 롯데글로벌로지스 물류 전용 친환경 PBV 개발...봉고III EV 먼저 공급
-
하만과 폭스바겐 ID.7 만남, 청음ㆍ엔지니어와 대화ㆍ특별한 라이프스타일 체험
-
[IAA 2023]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가장 주목받는 순수전기 5대
-
포드, 새로운 전기 픽업트럭 F-200 상표 출원
-
5세대 싼타페, 아이덴티티와 패밀리 룩 그 사이 어디쯤
-
IAA 모빌리티 2023 4신 - 중국 전기차 제조사, 거대한 벽에 직면하다
-
IAA 모빌리티 2023 - BYD, 전기차 6종과 신기술 선보여
-
‘채널 폭스바겐’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3’ 본상 수상
-
디자인 공모 실물 크기 전기 슈퍼카 '폴스타 시너지'…핫 휠즈와 협업
-
BMW, 딜러의 철학 담은 컬러 적용 온라인 한정판 ‘i4 인디비주얼 에디션’ 출시
- [유머] 메이플 피방 재획하다가 현실 시비걸림
- [유머] 한여름에 양산을 써야 되는 이유
- [유머] 제발 좀 닥쳐
- [유머] 간식먹다 흘린 고양이
- [유머] 못마땅한 물범
- [유머] 완벽한 휴가
- [유머] 초코바 쟁탈전
- [뉴스] 화단에 심겨진 꽃 '뿌리째' 뽑아 간 할머니... 인기척 느껴지자 그대로 '줄행랑'
- [뉴스] 추성훈, '♥야노시호' 위해 '1000만원' 명품 반지 플렉스
- [뉴스] '엑셀방송' 악플 시달리던 서유리 '사법기관에 도전하지 말라' 강력 경고
- [뉴스] 손민수♥임라라, 쌍둥이 성별 알자마자 터진 한마디... '운 다 썼다'
- [뉴스] 공연 도중 공격 받아 사망한 20살 래퍼... 관객들 앞에서 최후 맞은지 12년
- [뉴스] 윤혜진, 엄태웅 복귀에 도시락 싸주며 내조... 애정 폭발
- [뉴스] 파킨슨병 투병 중에도 끝까지 무대에... 76세 '록의 전설'이 건넨 마지막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