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867회 댓글 0건
3
머니맨
2023-08-28 11:25
[기자 수첩] 전기차 대세론 무색 '하이브리드카 잠재력을 보게 될 것'
지난해 독일 유력 자동차 매체가 실시한 평가에서 도요타 RAV-4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모델 누적 판매 대수가 100만 대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7월 기준 99만 7469대를 기록한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는 월평균 2만 대 수준을 넘고 있어 이달 새로운 기록을 세울 것이 확실하다.
반도체와 부품 이슈로 시작한 공급량 부족 사태가 올해 초 풀리면서 신차 출고 기간이 확 줄었지만 하이브리드카는 다르다. 8월 기준 국산 하이브리드카 예상 출고 기간은 최소 3개월에서 일부 인기 모델은 최대 12개월에 달한다. 그런데도 계약 추세가 꺽이지 않을 정도로 하이브리드 모델 인기는 최고조다.
S&P 글로벌 모빌리티(Global Mobility) 최근 보고서는 전기차 등장 후 쓸모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했던 하이브리드카가 향후 몇 년 사이 미국 시장에서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 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내 하이브리드카 판매량이 향후 5년 이내에 3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2028년까지 순수 전기차는 37% 증가하고 하이브리드카는 24%로 이보다 낮겠지만 현재 기준에서 보면 이때 ICE 점유율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은 80% 이상일 것으로 전망했다. 증가율은 전기차가 높겠지만 현재의 낮은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전체 비중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S&P 글로벌 모빌리티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정부 지원과 보조금, 세액 공제 등의 혜택을 받아도 여전히 매우 비싸고 주행 거리가 짧으며 충전에 걸리는 시간을 낭비해야 하는 것을 전기차를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 지목했다. 전기차 대세론이 나오기 시작한 5년 전부터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불만이다.
전기차가 대세라는 요란법석에도 하이브리드카 인기가 여전하고 앞으로도 건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전기차 수요가 정점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요즘 자주 나온다. 억지스러운 측면이 있지만 전기차를 사들인 '얼리 어답터'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는 이유도 나온다.
새로운 문물에 열광하는 얼리 어답터가 충전과 주행 거리의 불편을 감수하고 고가의 전기차를 열성적으로 구매해 왔지만 이 수요가 다했다는 것이다. 정책적 배려가 줄고 전기차가 갖고 있는 사용 불편을 경험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도요타는 디자인을 대폭 변경하고 첨단 편의 및 안전 사양으로 무장한 5세대 프리우스를 지난해 출시했다.
글로벌 컨설턴트 모도 인텔리전스(mordorintelligence)는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 모델을 찾는 사람이 늘면서 세계 시장의 하이브리드카 수요가 오는 2028년 28.9%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시장 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시장의 니즈에 충실해야 하는 완성차들은 이런 불만을 두고 보지 않고 있다. 미국의 빅3(지엠, 포드, 크라이슬러)는 물론, 일본 브랜드 그리고 현대차와 기아 등이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하이브리드카는 60개 이상이다. 도요타가 렉서스 포함 18개로 가장 많고 현대차와 기아가 7개, 링컨을 포함한 포드는 6개, 스텔란티스는 3개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팔고 있다. 지엠도 올해 말 새로운 하이브리드 신차를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국토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등록 차량 가운데 순수 전기차는 7월 기준 47만여 대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승용차는 36만여 대로 전체 등록 차량 가운데 2%가 되지 않는다.
7월 신규 등록 대수의 비중도 전체의 1% 수준이다. 전기차가 내는 요란한 소리에 비하면 초라한 비중이다. 반면 하이브리드카 누적 비중은 6%나 된다. 7월 신규 등록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승용 기준 26%에 달했다.
하이브리드카 시장이 건재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전동화 전략에 소극적이었던 도요타 중심의 일본 업체, 그리고 나름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현대차와 기아는 상대적으로 안심을 하는 눈치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시장 특성과 변화에 맞춰 전기차, ICE, HEV 등을 적절하게 투입할 수 대응 능력을 갖춘 유일한 제조사'라고 말했다. 전기차에 몰방하고 있는 유럽과 미국, 하이브리드카의 기술 진화에 더 투자한 일본, 그리고 현대차 대응 전략 가운데 무엇이 통할지 궁금해진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3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11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1-01 16:45 -
토요타, '주행거리 746km' 신형 bZ4X 일본 출시…전기차 부진 털어낼까
[0] 2025-10-14 14:25 -
기아, 'PV5' 기부 사회공헌 사업 'Kia Move & Connect' 시작
[0] 2025-10-14 14:25 -
2025년 10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0-01 17:45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BMW, 한국교통안전공단ㆍKAMA와 '전기차 배터리 자율등록제’ 참여
-
현대차ㆍ기아, 본격적인 휴가철 ‘여름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안전기준 부적합' 르노 마스터 · 혼다 오딧세이 등 6개 차종 1만 2358대 리콜
-
GM 전기 밴 브라이트드롭, 배터리 공급문제로 생산 중단
-
포드, F-150 라이트닝 가격 최대 1만 달러 인하
-
테슬라, 태양광으로 충전 가능한 차지 온 솔라 출시
-
스텔란티스, 반도체 공급망 생태계 구축 위해 112억 달러 계약 체결
-
100년 가까이 계승된 디자인 아이콘, BMW의 '키드니 그릴'
-
볼보자동차코리아, ‘XC40 세이지 그린' 에디션 온라인 통해 25대 한정 판매 실시
-
자동차 국내 생산 400만 대 간다...KAMA, 수출 전망치 262만 대로 상향 조정
-
보릿고개 맞은 폭스바겐 향후 3년 간 최대 100억 유로 운영비 절감
-
영화처럼, 번호판 인식 카메라가 AI를 만나면? 마약 밀매 차 콕 짚는다
-
[공수전환] 5세대 싼타페 Vs 4세대 쏘렌토, '디자인만 놓고 보면 감이 딱'
-
강렬한 표정의 슈퍼카, 람보르기니 리부엘토
-
이베코코리아, 2023년 하계 순정 부품 캠페인 실시
-
BMW 모토라드, M 1000 R과 함께 하는 ‘BMW 모토라드 버디’로 배우 김남길 선정
-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영국 굿우드서 첫 하이브리드 레이싱 프로토타입 ‘SC63’ 최초 공개
-
KG 모빌리티, 아.중동.CIS 지역 콘퍼런스 갖고 수출시장 공략에 박차
-
포드, 美 상반기 리콜 31건 410만 대...작년 이어 올해도 '최다' 불명예
-
'묘하게 매력적 컬러' 볼보, XC40 세이지 그린 온라인 25대 한정 판매
- [유머] 고양이를 화나게 하면 안되는 이유
- [유머] 한국 지하철에서 에어드랍 4번 받은 일본인.jpg
- [유머] 고속도로 길막 레전드
- [유머] 왕 게임
- [유머] 여자는 약하나 어머니는 강하다
- [유머] 원숭이 아저씨의 대모험
- [유머] 굉장한 안경
- [뉴스] '48세' 김희선, 역시 미모 원톱... '샵 직원들이 뽑은 미녀 1위'
- [뉴스] 이천수♥심하은, 쌍둥이 남매 '가정보육'하기로 결정... '결혼 13년차, 이사만 8번'
- [뉴스] 아이브 레이, '체인소맨 레제' 완벽 재현... 애니 찢고 나온 비주얼로 팬들 '심장 저격'
- [뉴스] '45세' 송지효, 결혼 생각에 솔직 고백...'생활 리듬 맞는 사람이면 평생 함께할 것'
- [뉴스] '학폭하면 대학 못 가'... 국립대 6곳, 가해자 45명 불합격시켰다
- [뉴스] '월급은 그대로인데'... 10월 소비자물가 2.4% 상승,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
- [뉴스] 시진핑이 '맛있다' 극찬한 경주 황남빵, 되팔기에 짝퉁까지 '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