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96[기자 수첩] 가장 더러운 연료, 석탄으로 만든 태양광은 친환경인가?
조회 4,224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8-01 11:00
[기자 수첩] 가장 더러운 연료, 석탄으로 만든 태양광은 친환경인가?
테슬라 전기차를 소유한 미국의 유명 유튜버는 최근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거액을 들여 설치한 테슬라 솔라 루프(Solar Roof. 사진) 덕분에 지난 1년간 단 한 푼의 전기료도 내지 않았다고 자랑했다.
그는 1년 전 정부 보조금을 받아 9만 3000달러(약 1억 1900만 원)를 들여 태양광 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 루프, 이를 저장하는 3개의 파워월(Powerwall)을 설치했다.
가장 이상적인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하는 태양광으로 친환경 전기차를 운행한 셈이다. 하지만 그가 자랑한 태양광 설비가 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 후보(2018년)였던 마이클 셸런버거(Michael Shellenberger)가 이끄는 진보 환경단체 '인바이런메탈 프로그레스(Environmental Progress, EP)' 최신 보고서는 태양광 설비의 생애 주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70~250gCO2/kWh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그동안 주장해 온 배출량 48gCO2/kWh보다 최대 5배 이상 많은 수치다. 지금까지 태양광 발전은 매년 수 십억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가장 깨끗한 재생 에너지 가운데 하나로 알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새만금 태양광 설비는 297MW에서 42만 6000MWh 전기를 생산, 연간 19만tCO2eq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탄 19만 톤을 사용해야 얻을 수 있는 발전량이다.
중국의 경우 옥상태양광발전(RPVs)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27억 200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도 천연가스 발전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62.5%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 태양광 설비에서 나온다는 주장의 근거는 무엇일까?
두 기관이 제시한 태양광 발전 탄소집약도에 이렇게 큰 차이가 난 것은 '중국' 때문이다. EP는 IPCC가 중국의 생산 방식을 배제하면서 탄소 배출량이 낮게 산출되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한다.
전 세계 태양광 패널의 80%, 핵심 부품인 태양광 웨이퍼의 97%는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에서 만들어지는 태양광 주요 설비가 모두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의 석탄 사용량이 탄소 집약도 계산에서 빠지는 바람에 턱없이 낮은 수치가 나왔다는 주장이다. EP는 태양광 산업이 화석연료에 절대 의존하는 중국 공급망에 의존하면서 2040년 최대 180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추가 배출될 수 있다는 경고도 했다.
중국이 태양광 산업을 장악한 비결은 아이러니하다. 미국과 일본, 독일이 지배해 왔던 태양광 패널은 이들 국가가 석탄 사용을 규제하면서 무너졌다. 반면 중국은 정부의 비호와 묵인으로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핵심 소재를 전부 석탄에 의존해 생산하고 있다.
저렴한 석탄과 값싼 노동력으로 생산한 중국산 태양광 패널이 세계 시장을 완전히 장악해 버린 것이다. 전 세계 태양광 발전 설비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중국의 석탄 사용량에 따라 탄소배출량 역시 증가할 것으로 우려하는 이유다.
EP는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의존하는 미국의 에너지 정책을 수정하고 수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라고까지 주장한다. 그런데도 미국은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 발전량의 30%를 태양광으로 채우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의 석탄에 의해 만들어진 10억 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이 필요하다.
태양광 핵심 소재의 생산 과정에서 석탄이 배제된다면 모르겠다. 그러나 가장 더러운 에너지인 석탄을 태워 만든 태양광 패널이 지붕을 덮고 이를 통해 생산한 전기로 굴러 다니는 전기차가 과연 친환경차인지 의심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기아, ‘2030 중장기 전략’ 발표…전기차 확대·PBV·픽업까지 전방위 공략
[0] 2025-04-09 17:25 -
정부, 美 관세 대응 정책 금융 2조원 추가'… “자동차 산업 보호 총력전”
[0] 2025-04-09 17:25 -
볼보, '트럭 구독' 서비스 개시...R&M Trucking, 첫 고객으로 전기 트럭 도입
[0] 2025-04-09 14:25 -
영국 정부, 자동차 산업 지원 강화… 전기차 전환 유예 및 규제 완화
[0] 2025-04-09 14:25 -
현대모비스, 인도에 통합 R&D 센터 개설… 소프트웨어 개발 거점 확대
[0] 2025-04-09 14:25 -
[영상] 모험 가득한 일상, 기아 타스만 온오프로드 시승기
[0] 2025-04-09 14:25 -
[영상] 브라우저부터 OTT까지, 르노코리아의 디지털 드라이브
[0] 2025-04-09 14:25 -
한강 리버버스 이 정도는 돼야, 스톡홀름을 뜨겁게 달군 '하이드로포일'
[0] 2025-04-09 14:25 -
레이싱카ㆍ튜닝카까지... 서울모빌리티쇼 ‘X-ROAD’ 테마관 인기 폭발
[0] 2025-04-09 14:25 -
5년간 900개, '기아 엔진 도난 사건'... 경찰, 내부 소행으로 보고 수사
[0] 2025-04-09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아롱 테크] 물 만나면 힘 빠지는 자동차 '완벽한 안전은 예방과 회피'
-
한국 떠나는 렘펠의 마지막 선물 트레일블레이저, 장담하는데 최고의 소형 SUV
-
현대차, 모두의 기회가 평등한 세상을 위해 ‘2023 FIFA 여자 월드컵' 후원
-
쉐보레, ‘더 뉴 트레일블레이저’ 공식 출시
-
현대차, ‘2023 FIFA 여자 월드컵™’ 후원
-
르노코리아 노사, 2023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도출...기본급10만원 인상
-
세계 최고 부자나라 미국이 1990년대 일본의 중고 경트럭을 수입하는 까닭
-
[EV 트렌드] 캐딜락, 리릭 이어 두 번째 전용 전기차 '옵틱' 디자인 유출
-
'경쟁 밀려난 테슬라와 저가 중국산 공세' 국산 전기차 가격 딜레마 경고
-
쉐보레 부분변경 트레일블레이저 출시 '확 바뀐 인테리어' 시작가 2699만원
-
BMW, 한국교통안전공단ㆍKAMA와 '전기차 배터리 자율등록제’ 참여
-
현대차ㆍ기아, 본격적인 휴가철 ‘여름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안전기준 부적합' 르노 마스터 · 혼다 오딧세이 등 6개 차종 1만 2358대 리콜
-
GM 전기 밴 브라이트드롭, 배터리 공급문제로 생산 중단
-
포드, F-150 라이트닝 가격 최대 1만 달러 인하
-
테슬라, 태양광으로 충전 가능한 차지 온 솔라 출시
-
스텔란티스, 반도체 공급망 생태계 구축 위해 112억 달러 계약 체결
-
100년 가까이 계승된 디자인 아이콘, BMW의 '키드니 그릴'
-
볼보자동차코리아, ‘XC40 세이지 그린' 에디션 온라인 통해 25대 한정 판매 실시
-
자동차 국내 생산 400만 대 간다...KAMA, 수출 전망치 262만 대로 상향 조정
- [포토] 망사 스타킹
- [포토] 누드 몸매
- [포토] 뒤태의 유혹
- [포토] 수위높은 노출
- [포토] 판타스틱 베이비2
- [포토] 섹시 몸매
- [포토] 블래과 레드의 양상볼1
- [유머] 최면어플
- [유머]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 [유머] G컵 여자가 안 보고 고른 옷을 입는다!
- [유머] 남자들이 생각하는 여자 방
- [유머] 감기걸려서 유치원 빠지고 집에서 쉬는 딸
- [유머] 라식한 여친과 하는 카톡
- [유머] 쉬는 시간 때문에 사무실 싸움남
- [뉴스] 이요원, 10살 막내아들 공개... '운동선수 엄마로 살고 있어'
- [뉴스] '국힘 경선 흥행 실패할 듯...'잡룡' 소리 듣는 분들까지 나와' 금태섭 직격
- [뉴스] 대선 출마 선언하자마자... 김동연 테마주 10%대 '급락'
- [뉴스] '끝없이 일해도 돈 없다' 하소연한 김성경... 수천억 자산가 남편이 한 말
- [뉴스] 신동엽 닮은꼴 개그맨이 '챗 GPT 지브리 변환' 했다가 일어난 대참사 (사진)
- [뉴스] 택시서 209만원 훔친 승객, 벌금 200만원... 피해금액도 못 받은 택시기사 '내가 내준 꼴이다'
- [뉴스] 가슴 수술해 46kg에 'E컵' 되더니... 이세영, 파격 비키니 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