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414
메르세데스 벤츠, 상반기 글로벌 판매 5% 증가, 전기차는 123% 증가
조회 4,72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12 11:25
메르세데스 벤츠, 상반기 글로벌 판매 5% 증가, 전기차는 123% 증가

메르세데스 벤츠의 2023년 2분기 글로벌 신차 판매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51만 5,700대로 집계됐다. 상반기 전체로는 5% 증가한 101만 9,200대가 판매됐다. 특히 본국인 독일과 미국 판매가 증가세를 견인했다.
차종별로는 배터리 전기차가 123% 증가한 5만 6,300대로 증가했다. EQA(+73%), EQB(+83%) 및 EQE 세단(+157%)에 대한 수요에 의해 주도됐다. 상반기 전체로는 121% 증가한 10만 2,600대의 배터리 전기차가 팔렸다. 배터리 전기차의 점유율은 11%에 달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포함해 메르세데스 벤츠는 36% 증가한 18만 7,600대의 전동화차를 판매했으며 점유율은 18%였다.
국 시장은 메르세데스-벤츠 배터리 전기차의 점유율이 지난해 상반기 3%에서 6월 말 16%로 상승하는 등 전기차로의 전환을 이어갔다. Mercedes-Benz는 지난 주 북미 고객이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또 다른 단계인 Tesla Supercharger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메르세데스 벤츠의 2분기 시장별 판매 실적인 유럽이 5% 증가한 15만 7,100대, 상반기 전체로는 7% 증가한 32만 1,000대였으며 톱 엔 부문(+28%)과 배터리 전기차(+62%)의 강력한 판매가 증가세를 견인했다. 유럽시장의 배터리 전기차 점유율은 작년 같은 기간의 14%에서 18%로 증가했다. 독일의 2분기 판매(+23%)는 엔트리(+28%), 코어(+19%)에서 최고급(+26%)까지 모든 부문에서 강세를 보였다.
배터리 전기차 판매는 상반기에 2만대(+31%)로 증가하여 독일 시장에서 전체 판매의 17%를 차지했다. 벨기에에서는 2분기 판매량이 9,000대(+15%)로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배터리 전기 자동차의 급증(+186%) 때문이다.
아시아 판매는 2분기에 10% 증가한 23만 9,200대, 상반기에는 48만 6,900대(+7%)였다. 2분기 중국시정 2분기 판매는 E클래스(+43%)와 GLB(+77%)에 힘입어 12% 성장했다. 일본은 EQB, EQE 및 EQS의 시장 도입 이후 강력한 톱엔드 부문(+49%)과 배터리 전기차 판매(+734%)로 인해 2분기에 판매가 1만 2,800대(+16%)로 증가했다. 한국에서는 2분기에 판매량이 5% 증가한 2만 2,300대를 기록했다. 톱엔드가 8,400대(+28%)로 증가하여 전체 판매의 38%를 차지했다. 인도시장에서는 GLE(+138%)와 GLS(+51%)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8% 성장했으며 2분기 3,800대로 신기록을 달성했다. 인도의 톱 엔드 판매는 54% 증가하여 상반기에 2,000대가 팔렸다.
북미 판매는 2분기에 98,800대(+3%), 첫 6개월 동안 173,900대(+2%)에 달했다. 미국 내 판매는 배터리 전기차 판매(+697%)와 톱 엔드(+43%)의 급증에 힘입어 2분기에 6% 증가한 8만 8,100대를 기록했다. 새로운 EQS SUV 덕분에 미국에서 첫 6개월 동안 배터리 전기차 판매가 2만3,800대(+505%)에 달했다. 톱 엔드 세그먼트의 판매는 2023년 상반기에 메르세데스AMG(+65%), 메르세데스 마이바흐(+333%) 및 G클래스(+110%)가 주도해 5만 5,800대(+35%)에 달했다.
한편 메르세데스 벤츠가 2022년 3월부터 러시아에서 사업 활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나머지 시장에서의(-18%)의 연초 판매량은 전년도보다 감소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아이오닉 6ㆍGV 70ㆍEV9' 2024 북미 올해의 차 최종 후보로 선정
-
포르쉐 주펜하우젠 공장 대규모 확장, 내연기관 및 전기 스포츠카 혼합 생산
-
로터스, 강남 플래그십 전시장 오픈...진짜 고성능 '에미라ㆍ엘레트라' 투입
-
[공수 전환] 도요타 프리우스 Vs ?...대적할 상대가 없는 무적 하이브리드
-
카니발 11인승 자동차 검사 2년으로...국토부, 승합·화물차 검사 주기 완화
-
한자연, 배터리 소재를 주제로 기업 간 교류의 장 마련
-
현대차·기아, 실시간 교통 신호 정보 기반 차별화된 모빌리티 기술 개발 나선다
-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옴니버스 클라우드 서비스로 자동차 디지털화 촉진
-
로터스자동차코리아 플래그십 전시장 오픈
-
현대차그룹, 중국 기업사회책임 발전지수 자동차기업 부문 8년 연속 1위
-
현대차기아, 경찰청-도로교통공단과 협업 실시간 교통신호 데이터 공유
-
독일산 엔진은 이제 없다...BMW, 뮌헨에서 내연기관 엔진 생산 종료
-
[EV 트렌드] '중국산보다 싼 2000만 원대' 전기차로 부활하는 르노 트윙고
-
현대차그룹, 中 기업사회책임 발전지수 평가 자동차 부문 8년 연속 1위
-
폴스타, 새로운 전기차와 신기술로 약화된 EV 수요에 대응한다
-
폴스타, 폴스타 4 생산 시작…2023년 말 첫 번째 고객 인도 예정
-
중국 샤오미, 첫 배터리 전기차 내년 초 출시한다
-
볼보, 최첨단 소프트웨어 테스트 센터 오픈...미래차 개발 역량 강화
-
하이브리드가 짱! 10명 가운데 8명 선호...케이카, '높은 연비'로 인기 최고조
-
V6 3.3 심각한 결함, 기아 쏘렌토 美서 결함 조사...갑작스러운 출력 저하
- [유머] 비오는날 배달시키면 안되는 이유
- [유머] 싸구려 입맛들의 특징
- [유머] 진상 손님 참교육
- [유머] 한 호두과자점의 안내문
- [유머] 원룸에 지인방문시 3천원 내라는 집주인
- [유머] 현대인이라면 몸에 나쁜습관 하나쯤은 중독되어 있다
- [유머] 딸이 운영하는 수제 도박장에 들어온 아빠
- [뉴스] 폭염 속 쓰레기 집에 2살 아이 3일간 방치... '남친 만나러 갔다' 20대 엄마의 충격 고백
- [뉴스] 출동 중 배에서 음주·낚시 즐긴 해경... 징계받자 '사기진작'이라며 소송까지
- [뉴스] 김문수 '이재명 정부, 국민에게 증시 계엄령 수준 조세 폭탄 던져' 세제 개편안 강력 비판
- [뉴스] '게임하듯 살인'... 2년 전 오늘(3일), 분당 서현역 흉기 난동범 최원종의 충격적 범행
- [뉴스] 모바일 청첩장 조심하세요... '피싱 문자 10건 중 3건'
- [뉴스] 밖은 35도, 안은 영하 12도... 역대급 폭염에 24시간 풀가동 중인 '얼음 공장' (영상)
- [뉴스] '호남에 보답하겠다'... 정청래, 당대표 취임 첫날 '나주 수해 현장'서 복구 작업 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