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412
“미국 캘리포니아, 전기차 보급으로 공기가 깨끗해졌다.”
조회 3,754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2-13 11:25
“미국 캘리포니아, 전기차 보급으로 공기가 깨끗해졌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켁 의과대학( Keck School of Medicine)이 전기차의 보급으로 캘리포니아의 공기가 더 깨끗해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3년에서 2019년 사이에 캘리포니아 전역의 실제 오염 수준, 전기 자동차 침투 및 응급실 방문을 추적하고 연구 기간 동안 캘리포니아 대기 질의 전반적인 개선을 통제했다고 밝혔다.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차량이 실제로 더 많은 지역에서 더 큰 이점을 가지고 공기를 깨끗하게 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인구 1,000명당 자동차 20대가 증가할 때마다(캘리포니아는 인구 1,000명당 자동차가 840대이므로 대략 자동차의 2%에 해당) 대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가 0.41ppb(10억분의 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 법은 평균 NOx 기준을 30ppb로 설정하므로 0.41의 감소는 특히 전기차 보급률의 2%에 불과한 것과 비교할 때 상당히 큰 수치이다.
이산화질소는 특히 차량 배기관과 관련된 오염의 한 형태이며 다양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모그 형성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도로에서 가스 자동차를 제거하면 NOx가 감소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차량 통행은 특히 연간 400만 건의 새로운 소아 천식 사례의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미국에서는 매년 10만에서 20만명이 대기오염으로 사망하며 그 중 가장 큰 부분은 차량 오염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캘리포니아 주민 1,000명당 전기차 20대당 천식 관련 응급실 방문이 3.2% 감소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응급실 방문은 미국 의료 시스템에서 매우 비싸기 때문에 응급실 방문이 감소하면 의료 비용도 감소한다. 이것은 건강 보험을 통해 비용을 합산하기 때문에 천식을 앓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관련이 있다.
IMF는 화석 연료가 매년 전 세계적으로 5조 3,000억 달러의 건강 및 환경 비용에 책임이 있으며 화석 연료 오염을 줄이면 이 수치를 줄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
연구 기간은 2013년부터 2019년까지만 추적했는데, 캘리포니아 전역의 전기차 등록 비율은 1,000대당 1.4대에서 14.7대로 증가했지만, 적은 수의 전기차로도 이러한 상당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참고로 캘리포니아주의 전기차 점유율은 2019년에 8%였지만 지금은 18%에 이른다.
캘리포니아는 2021년 4월 앞으로 4년 동안 배터리 전기차의 판매를 세 배 늘려 전체 신차 판매의 35%를 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휘발유 자동차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한다는 목표의 일환으로 설정된 공격적인 목표라고 밝혔다. 규정에 따르면 2026년 신차 판매의 35%가 탄소배출 제로 차량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배터리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 동력차가 포함된다.
장기적으로는 2035년까지 모든 신차가 탄소 배출 제로여야 한다. 하지만 가솔린 자동차가 완전히 금지되지는 않는다. 2035년까지 판매의 최대 20%는 배터리와 가스 전원의 조합으로 실행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의를 제기했다. 자동차 제조업체는 궁극적으로 채택되는 모든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확실히 노력할 것이지만 이러한 초안 요구 사항은 캘리포니아에서도 극도로 어려울 것이며 현재 캘리포니아의 프로그램을 따르는 모든 주에서 달성할 수 없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주별로 배터리 전기차로의 전환을 규정하고 있다. 뉴욕과 매사추세츠를 포함한 9개 주는 2025년까지 판매 및 기타 요구 사항을 설정하는 캘리포니아의 현재 무공해 차량 규칙을 따르기로 했다. 또 다른 5개 주는 향후 모델 연도에 대한 캘리포니아의 규칙을 따를 예정이다. 연방 정부가 캘리포니아의 새로운 계획을 승인하면 다른 주에서 이를 따를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지난달 워싱턴 주지사는 캘리포니아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2030년까지 주에 등록된 모든 신차를 전기차로 만드는 법안에 서명했다. 뉴욕은 2035년으로 정하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
[칼럼] 신차 증후군 유발하는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부상하는 TPE
[0] 2025-06-02 14:25 -
[시승기] '버텨줘서 고맙다 8기통'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그룹 ‘2023 자율주행 챌린지’ 개최
-
르노코리아,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추가 고객 혜택 마련
-
현대차그룹, 재난현장 소방관 위한 회복지원차 전달
-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제4회 ‘KAIDA 젊은 과학자상’ 수여
-
현대성우쏠라이트 ‘AAPEX 2023’ 전시 성료
-
중국 1~10월 전동화차 판매 BYD 점유율 36%로 1위/테슬라는 7.8%
-
시속 180km 서킷 달리는 자율주행차, 현대차그룹 '2023 자율주행 챌린지' 개최
-
현대차그룹, 유니버스 모바일 오피스 개조한 맞춤형 특장 버스 소방관 회복지원차 전달
-
한국수입차협회, 제4회 ‘KAIDA 젊은 과학자상’ 김봉섭 연구개발실장 선정
-
BYD, 팡쳉바오 브랜드 바오5 중국시장 출시
-
[영상] 영리하고 똑똑하다, 2024년형 볼보 C40 리차지
-
스위스,전기차에도 세금 부과 결정
-
중국 BYD, 연간 300만대 판매 목표 달성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 진행
-
닛산, 연말에 창립 90주년 기념 행사 개최
-
혼다, 2024회계연도 순이익 43% 증가 전망
-
토요타, 10월 미국시장 GM 제치고 1위에 올라
-
아우디, 헝가리 죄르 현장 PPE 전기 모터 생산...Q6 e-트론 시리즈 최초 적용
-
현대차, 채용전환형 '서비스 엔지니어 인턴’ 모집...우수 수료자 내년 4월 채용 예정
-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2025년부터 순수 전기차 폴스타4 위탁 생산 수출
-
한국수입자동차협회, 2023 자동차 정책세미나 개최
- [유머] 얼죽아, 디진다 돈까스 좋아한다는 인도 아역 출신 걸그룹 눈나
- [유머] 세상에서 제일 작은 햄스터
- [유머] 수상한 부동산 이름
- [유머] 배트맨과 범죄자
- [유머] 렌탈 여동생
- [유머] 키스하기 좋은 날
- [유머] 현상금 200억 걸린 아줌마
- [뉴스] '좀비딸', 올해 최고 사전 예매량 경신... '여름 흥행의 정석', 조정석 통했다
- [뉴스] 펭수, 머리둘레 측정 결과 무려 ○○○cm... '이 정도면 기네스 가능할 듯'
- [뉴스] 백두산 천지 올라 '태극기' 흔들다 빼앗긴 한국인 유튜버... 조사받고 각서까지 쓴 이유
- [뉴스] 李 대통령 '포스코이앤씨 사망사고,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 [뉴스] 서울 한복판 가로지르던 '59년 역사' 지름길 철거... 운전자들 '이곳'으로 우회하세요
- [뉴스] '소비쿠폰 안됩니다'라는 성심당.... 이 공지글에 '좋아요' 1800개 달렸다
- [뉴스] 트와이스 정연, 애장품 소개하는 '감별사' 캠페인 후 사비 더해 3천만원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