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53KAMA,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 발표
조회 5,517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4-24 11:00
KAMA,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 발표

2022년 해외 자동차 시장은 중국, 인도, 멕시코, 아세안 등 신흥시장은 회복세를 보였으나, 유럽 및 미국, 러시아, 브라질 시장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이커 국적별로는 중국계가 24.3% 증가해 8개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으며, 미국계는 0.6% 증가로 전년 수준, 한국계 4.4%↓, 유럽계 5.5%↓, 일본계 5.9%↓각각 하락했다.
특히 한국계는 인도(17.5%↑)와 아세안(58.8%↑)시장에서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사업 중단과 중국시장 부진으로 전년대비 4.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 자동차산업의 팽창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글로벌 동등 경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 강남훈)는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등 해회 8개 주요 자동차 시장의 정책 동향을 담은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8개 주요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한 5853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0.6% 감소한 8,102만대(LMC 기준)이나, 보고서의 8개 주요시장 판매의 합계는 1.2% 증가했다.
시장별로는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흥시장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선진시장은 전쟁 및 인플레이션, 고금리의 영향으로 시장 축소 경향을 보였다.
미국시장은 공급망 차질과 이에 따른 신차 공급부족, 인플레이션 심화 등의 원인으로 차량가격은 상승한 반면,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소비자 구매력이 약화됨에 따라 8.1% 판매가 감소했다.
유럽시장은 러-우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둔화 영향으로 전년대비 4.1% 감소, 코로나 이후 3년째 내수 반등에 실패했다.

중국시장은 상반기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저조했으나, ‘22.6월 이후 시행된 소비 진작책 및 봉쇄 완화로 급격히 수요가 회복돼 9.7% 증가하면서 8개 시장의 판매 증가를 견인했다. 인구 최다 보유국인 인도시장에서는 코로나19와 반도체 공급난이 동시에 안정되고 강한 수요반등으로 이어지면서 역대 최고 판매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23% 증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 내수 시장으로 성장했다.
반도체 공급난 완화 이후 멕시코 시장은 5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져 7.1% 증가한 반면, 브라질은 고금리 영향으로 구매력이 약화되면서 0.8% 감소한 전년 유사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시장은 전쟁, 글로벌 메이커의 사업철수 등으로 반토막, 전년대비 58.8% 감소를 보였다.
해외 8개 주요시장의 메이커 국적별 증감률은 중국계(24.3%↑)가 큰 폭으로 성장, 미국계는 전년 수준(0.6%↑)을 보였으나 이외 유럽계(5.5%↓), 일본계(5.9%↓), 한국계(4.4%↓) 등은 모두 전년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중국계는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BYD 등 EV업체를 비롯한 로컬브랜드의 성장에 힘입어 24.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미국계(18.3%)의 점유율을 처음으로 넘어서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미국계는 내수 시장이 부진했던 미국과 유럽에서는 각각 0.7%, 0.3% 감소했으나, 멕시코 23.4%, 아세안 지역 33.9%의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증가를 보여, 전체 판매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0.6%↑)을 보였으며 시장점유율은 18.3%로 전년대비 0.1%p 하락했다.
유럽계는 판매비중이 높은 유럽시장이 전쟁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전년대비 5.5% 감소, 점유율도 1.8%p 하락했다.
한국계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전년대비 증가한 양호한 실적을 보였으나, 중국과 러시아 시장 리스크 지속으로 전년대비 4.4% 판매 감소, 시장점유율도 7.7% → 7.3%로 0.4%p 소폭 축소됐다.
일본계도 미국시장에서 반도체 등 공급 차질, 전동화 대응 지연 등으로 부진하여 전체 5.9% 감소를 가져왔으며, 시장점유율도 1.9%p 축소된 25.3%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정체 또는 하락 기조에도 불구하고 전기동력차 시장은 여전히 급성장세를 보였다.
8대 주요시장의 2022년 전기동력차 시장은 전년대비 43.4% 성장, 미국·유럽·중국 3개 시장이 99.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각 시장 내에서 전기동력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환경규제가 시장을 이끄는 유럽이 46.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중국이 NEV 보조금 등 강력한 정부 육성정책에 힘입어 31.2%, 미국은 12.3% 수준을 나타냈다.
이외 국가들은 전기동력차 판매 비율이 약 2% 미만이나 성장률로 보면 아세안이 810%, 브라질 45.7%, 인도 30.4%로 증가율이 높아 향후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다.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내연기관차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자국 산업육성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입법 추진을 강화하고 있으며, 신흥국에서도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국내 전기차산업 투자유치 및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주 대기자원국(CARB)은 2026년 이후 신규 차량에 대한 더욱 강화된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LEV4) 도입을 추진한다.
2035년 이후 새 휘발유차 판매를 금지하는 한편, 그 전까지의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허용기준 강화 및 시험항목 추가 등 배기가스 규제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EU 집행위는 현행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Euro 6보다 강화된 Euro 7 기준을 제안(’22.11.10)한데 이어 3월에는 미국 IRA법에 대응한 CRMA(핵심원자재법) 초안을 발표했다.
원회는 신규 경량 차량(승용차 및 밴)은 2025 7월 1일부터, 신규 대형 차량(트럭 및 버스)은 2027년 7월 1일부터 적용·발효할 것을 제안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규제를 넘어서 무공해차(ZEV)에도 적용되는 브레이크 마모, 미세플라스틱 방출 타이어, 베터리 내구성 규제를 포함한다.
중국은 코로나 봉쇄로 인한 자동차업체들의 손실을 보전하고 소비유도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종 지원책을 실시하며 내연기관차와 NEV, 중고차까지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시행했으며, 아세안 주요국들도 투자유치 및 전동화 전환을 위한 생산자 및 소비자 인센티브를 적극 시행한다.
KAMA 강남훈 회장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반도체 수급불안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한국계 브랜드는 현지화 제품 확대 및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우려하였던 중국의 글로벌 팽창이 현실화되면서 중국차의 점유율이 20%에 육박하는 한편, 각 국 정부는 환경규제는 강화하면서도 자국 산업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강남훈 회장은 이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리 산업이 도태되지 않고 전기차 생산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전기차 생산 전환 및 미래차 초격차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 면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세액공제를 경쟁국 수준으로 대폭 확대(25%)하고, 미래차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며, 아울러 해외시장에서 우리 업계가 차별받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외교적 노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BMW '창립 30주년 기념' 더욱 특별한 온라인 한정판 5종 출시
[0] 2025-04-04 14:00 -
[2025 서울모빌리티쇼] 제네시스, 자연부터 랠리 파워풀함을 뱅앤올룹슨으로
[0] 2025-04-04 14:00 -
세계 최고의 매체가 뽑은 최고의 타이어, 미쉐린도 굿이어도 아니었어
[0] 2025-04-04 14:00 -
[2025 서울모빌리티쇼] 21종 신차 공개, 프레스데이 가장 주목 받은 베스트 3
[0] 2025-04-04 14:00 -
[EV 트렌드] '안 팔릴 차였어' 사이버트럭 재고 수천억, 중고차 가격 반토막
[0] 2025-04-04 14:00 -
美 관세 '누군가는 웃는다' 포드, 모든 고객 임직원 할인가 파격 프로모션
[0] 2025-04-04 14:00 -
BMW 그룹,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즐기는 현장 이벤트 및 체험 프로그램
[0] 2025-04-04 13:45 -
현대차·엠티알 공동 개발, 11인승 전기 중형 승합차 ST1 기반 ‘CV1’ 공개
[0] 2025-04-04 13:45 -
'우리도 이제 전동화' 지프, 차세대 컴패스에서 3가지 파워트레인 탑재
[0] 2025-04-04 13:45 -
'공력 성능 향상으로 안정성 · 제동력 향상' BMW모토라드, 뉴 S 1000 RR 출시
[0] 2025-04-04 13: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 컨템포러리한 중형 세단 '쏘나타 디 엣지' 사전계약...2787만 원부터
-
캐나다→멕시코 1만 5700km, 아이오닉 5 총 연료비 62만 원...휘발유였다면?
-
[아롱 테크] 인간보다 눈치 빠른 '라이다와 카메라' 레벨3 자율주행 핵심
-
GMC 시에라, 이 거대한 차를 누가 샀나 했더니 '성공한 40대 남성' 니치 마켓 안착
-
테슬라, 미국시장에서 모델3 보조금 전 4만 달러 이하로 가격 인하
-
테슬라, 올 1분기 매출액 236억 달러 달성
-
2023 상하이오토쇼 폭스바겐 ID. 넥스트
-
기아 초록여행, 4월 장애인의 날 맞아 패키지여행 확대 발표
-
GM, 장애인이 운영하는 베이커리 오픈하며 다양성 및 포용성 가치 확대
-
GM 한국사업장, 지속 가능한 한국사업 위해 생산 하도급 현안 근본적 해결 추진
-
[상하이 오토쇼] 현대모비스, 미래형 전동화 플랫폼 ‘e-CCPM’ 공개...中 시장 공략 가속화
-
현대차, 의료용 착용로봇 ‘엑스블 멕스' 보행 장애 이동 약자 재활치료 지원
-
현대자동차, 의료용 착용로봇으로 보행 재활치료 돕는다
-
BMW 동성 모터스, 부산·경남 지역 최초로 해운대에 ‘M 퍼포먼스 개러지’ 오픈
-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대규모 전국 시승 이벤트 개최!
-
페라리 푸로산게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 카 디자인 어워드 2023 수상
-
제56차 제주 Smart e-Valley 포럼, 21일 제주시 난타호텔서 개최
-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 2023년 운영 계획 및 드라이버 라인업 발표
-
페라리 푸로산게, 카 디자인 어워드 2023 '최고의 양산차' 선정
-
맥라렌 아투라 GT4, 영국 GT 챔피언십 시즌 개막전 포디엄 석권
- [유머] 온 세상이 케이크
- [유머] 바람 거참 너무 한 거 아니오?
- [유머] 빵 하나도 나눠먹는 애틋한 자매 ㅠㅠ.jpg
- [유머] 당근 거래 현장
- [유머] 일본에서 출시된 고양이 전용 라면
- [유머] 넷플릭스 카이지
- [유머] 일본 화장실에서 발견한 희망
- [뉴스] 파면된 尹...박탈되는 '전직 대통령' 예우·특권 보니
- [뉴스] '마약 투약' 혐의 유아인 출연 작품, 또 나온다... 영화 '하이파이브' 6월 개봉 준비중
- [뉴스] '밤 12시의 저주와 약속된 죽음'... '그알', 헬스 유튜버 故 김웅서 사망 사건 추적
- [뉴스] 인기 여배우 하마베 미나미의 영화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9일 재개봉
- [뉴스] 신소율→정영주까지... '尹 탄핵 만세' 릴레이 글 올렸다
- [뉴스] 15년 열애·11년 동거 후 결혼 계획 밝혔던 '아모르파티' 여가수... 돌연 번복
- [뉴스] 故 장제원 전 의원 발인식... 노엘이 떠나는 아버지에게 남긴 마지막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