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414
푸조 408, 패스트백 크로스오버로 돌아왔다.
조회 5,617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4-21 11:00
푸조 408, 패스트백 크로스오버로 돌아왔다.

205시절부터 푸조를 지켜 본 입장에서 가장 충격적인 변화는 2003년 만났던 206cc였다. 쿠페 카브리올레라는 전동 탈착식 하드톱이라는 장르로 변신한 것도 그렇지만 그때까지와는 다른 선과 면의 조합이 더 극적이었다. 90년대 후반부터 푸조는 많은 변신을 이루며 성공가도를 달렸었다. 규모의 경제 논리를 펴는 다른 메이커들과는 달리 여전히 독자적인 행보를 하고 있던 푸조는 흑자를 기록하며 당시만해도 토요타, 혼다, BMW와 함께 살아남을 수 있는 4대 메이커로 꼽히기도 했었다. 그 배경에는 보수적인 스타일링 디자인을 채용한 406부터 시작해 206에서 절정을 이룬 푸조만의 색깔이 있었다. 206은 그때까지의 피닌파리나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완성한 모델이었다.
글/채영석(글로벌오토뉴스 국장)

기존의 205를 보았던 사람이라면 엠블렘을 떼어내면 푸조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혁신적인 변화였다. 특히 그 동안의 푸조 라인업의 디자인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받아들이기 힘든 정도였다.
하지만 206은 이 변신이 대대적인 성공을 거두며 힘을 받게 된다. 206은 푸조가 공략하고 있는 시장에서 본다면 주력 모델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이 등급 모델의 성공 여부에 따라 메이커의 수익성이 좌우될 정도로 중요한 모델이었다.
달라진 점은 205시절까지 폭스바겐 골프 르노 5와 경쟁하며 컴팩트카의 지존 자리를 보수적인 색채로 경쟁했었던 전략을 바꾸어 아방가르드 이미지로 변신한 것이었다.
그러나 푸조의 약점은 르노와 마찬가지로 큰 차가 없었다는 것이었다. 2001년 중국의 WTO 가입으로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그동안의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데 비해 푸조는 그 거대한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하지 못했다. 폭스바겐과 마찬가지로 중국시장의 본격적으로 개방되기 전에 진출했던 것에 비해 실적은 부진했다.

가장 큰 이유는 대형 세단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결국은 C세그먼트 이하의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던 피아트와 함께 수년 전 스텔란티스그룹으로 통합되며 새로운 길을 걷게 됐다. 강한 독창성을 가졌던 브랜드가 이런 부진을 겪게 된 것은 자동차산업이 규모의 경제에 크게 지배를 받는다는 것과 결국은 시장이 답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때문이었다.
그리고 스텔란티스 그룹 산하로 내놓은 주력 모델이 ‘중형’ 세단 408이다.
405시절부터 판매대수는 2시리즈나 3시리즈에 비해 적지만 푸조의 얼굴로써의 존재감은 강했다. 푸조의 차명은 세대의 변화와 함께 8세대 모델은 408까지 바뀌었으나 중국시장을 의식해 더 이상의 숫자를 바꾸지 않고 모든 모델의 끝자리 숫자를 8로 통일했다. 그만큼 푸조도 중국시장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는 얘기이다.
이번에 선 보인 408은 2011년에 내놓은 408 세단 이후의 11년만의 풀 모델 체인지 차량이다. C세그먼트이지만 407시절에는 독일 기준으로는 D세그먼트, 프랑스 기준으로는 M2세그먼트였다. 하지만 507이 D세그먼트이고 607이 E(또는 F1) 세그먼트가 맞고 408은 C세그먼트가 맞다. 하지만 3박스 노치백 세단이라는 점과 스타일링의 자세의 차이로 실제 차체 크기는 D세그먼트 모델처럼 보였다.

새로 선 보인 408은 거기에 루프라인을 전형적인 유럽형 해치백이 아닌 패스트백 형태로 바뀌었다. 전고도 약간 더 높이 시각적으로는 크로스오버로 분류할 수 있는 스타일링이다. 그래서 시각적으로는 D세그먼트, 즉 중형 세단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트렁크 용량이 536~1,611리터나 되며 뒷좌석에 앉아도 머리 공간이 여유가 있다.
인상적인 것은 전체적으로 직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전체적인 이미지를 공격적으로 바꾸었다. 특히 루프라인 뒤쪽 끝 부분에 설계된 에어로파츠가 눈길을 끈다. 루프 스포일러의 와류를 피하기 위해 설계한 것이라고 한다. 그 대신 트렁크 리드의 스포일러는 위로 치숫아 있다. 이런 노력으로 공기저항계수 Cd치는 0.28 수준으로 억제했다고 한다. 이것을 전명 투영면적과 합해야 실제 저항을 계산할 수 있다.
앞 얼굴에서는 차체와 같은 컬러의 프레임레스 라디에이터 그릴이다. 그 가운데 엠블렘 부분에 레이더 센서를 교묘히 숨긴 센스도 눈길을 끈다. 사자의 송곳니를 모티브로 한 좌우 램프 유닛과 같은 맥락인데 사이버틱 이미지를 강조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그 아래쪽은 푸조가 WRC 에서 혁혁한 성적을 올린 브랜드라는 것을 강조하는 선을 사용하고 있다.
실내에서도 직선이 주제다. 이는 아이콕핏과 어울려 사이버틱한 맛을 만들고 있다. 푸조 특유의 대시보드 타입의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더 커졌다. 공간은 여유가 있다. 특히 뒷좌석 무릎 공간도 넉넉하다.
프랑스차는 핸들링을 중시한다. 408도 그런 원칙은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 맛은 물론 수동변속기와 더 어울렸던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전자제어로 대부분 컨트롤을 하기 때문에 205나 405 시절과는 이 시대의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거동으로 바뀌었을 수 있다. 핸들링 특성은 즐거움에 크게 기여하지만 운전자의 피로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408이 기다려진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
[EV 트렌드] '모델 3 대안 아이오닉 6, 테슬라 대신 현대차 · 기아 주목할 때'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테슬라, 스토어닷 XFC 배터리 시스템에 주목 '5분 충전으로 160km 달려'
-
현대자동차, 안산시 대부도서 '이동케어 똑버스' 운행
-
[Q&A]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개발 엔지니어 인터뷰
-
만트럭버스코리아, 강원지역 서비스 강화 ‘만트럭버스센터 동해’ 확장 이전
-
미국 AAI, 새로운 배기 가스 규제안 완화 요망
-
페라리, SF90 스트라달레 기반 SF90 XX 스트라달레 · SF90 XX 스파이더 공개
-
중국, 신에너지차 구매세 면제 2027년까지 연장
-
아우디, 마르쿠스 뒤스만 해임 게르노트 될너 9월 1일부로 CEO에 임명
-
GM, 쉐보레 블레이저EV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 개시
-
토요타다운 세계화. 토요타 크라운 크로스오버 2.5 하이브리드 시승기
-
2023 국제그린카전시회 개막
-
벤틀리, 특별한 컨티넨탈 GT '코리안 리미티드 에디션’ 티저 렌더링 이미지 공개
-
'과장 광고 말라' 영국서 현대차 아이오닉 5 초급속 충전 속도 때문에 제재
-
한국토요타, 세종문화회관과 아동ㆍ청소년 예술교육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
[EV 트렌드] '美 전기차 충전 대세는 NACS' 볼보ㆍ폴스타, 테슬라 충전 규격 채택
-
아우디, BMW 등 프리미엄 경쟁에서 밀린 마커스 듀스만 사장 해임
-
[공수전환] '11세대 E-클래스 Vs 8세대 5시리즈' 수입 베스트셀링 영원한 맞수
-
불면증 유발하는 이륜차 소음 기준 강화...인증치 5dB 초과시 과태료 200만원
-
美 최대 자동차 단체, EPA 환경 규제 합리적이지도 않고 달성할 수도 없다
-
르노의 고성능 브랜드 알핀, 2027년까지 신형 전기차 7종 출시할 것
- [유머] 한국과 완전히 반대라는 헝가리 스킨십 문화
- [유머] 탁구의 위험한 서브기술
- [유머] 우오오오! 임신해라! 임신해라! 임신해라앗!
- [유머] 맘스터치
- [유머] 이사왔는데 옆집 문상태가
- [유머] 31살이라고 전세계에서 생일축하받음
- [유머] 난리난 소비쿠폰의 효과
- [뉴스] 2년 공백기 가졌던 헤이즈 '최근 긴 슬럼프, 싸이 덕에 극복했다'
- [뉴스] 이하늬, 8월 중순 둘째 출산 예정... '애마' 제발회 참석할까
- [뉴스] '지오디' 손호영, 데니안·김태우와 다시 뭉쳤다... 오늘부터 '한솥밥'
- [뉴스] 영화 '인턴' 한국판 리메이크 버전 '찰떡 캐스팅'... 최민식X한소희 만난다
- [뉴스] '곡성' 나홍진 감독이 황정민과 두번째 호흡 맞춘 신작 '호프' 개봉 확정
- [뉴스] 홍현희, 얼굴 걸린 브랜드 '사기 피해' 줄이기 위해 나섰다... 무슨 일?
- [뉴스] 세계 1위 유튜버 미스터비스트, 구독자 4억 돌파... 세계 최초로 '몬스터 버튼' 받았다